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13:02:25

Esports World Cup 2024/리그 오브 레전드

EWC 2024 롤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Esports World Cup 202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eaeaea><tablebg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EWC 2024
경기 종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Rocket_League_shield_(white).png 파일:dota2_white.png 파일:포트나이트 아이콘white.png 파일:rainbow-six-siege.png 파일:PUBG_Mobile_Simple_logo_white_TM.png
로켓 리그 도타 2 포트나이트 레인보우 식스 시즈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파일:EWC_MLBB.png 파일:SC2_Mini.png 파일:Counter-Strike_2_default_darkmode.png 파일:Hok_White_1x1.png 파일:free-fire-logo-1x1.png
모바일 레전드:
Bang Bang
스타크래프트 2 카운터 스트라이크 2 왕자영요 Free Fire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화이트.svg 파일:fc24-primary-logo.svg 파일:EWC_SF2.png 파일:EWC_TK8.png 파일:league-of-legends.png
오버워치 2 EA SPORTS FC™ 24 스트리트 파이터 6 철권 8 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tft_logomark_new2021.png 파일:EWC_APEX.svg 파일:콜 오브 듀티 시리즈 로고 화이트 (2023).svg 파일:EWC_RENNSPORT.png 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
전략적 팀 전투 Apex 레전드 콜 오브 듀티: 워존 2.0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
RENNSPORT 배틀그라운드 }}}}}}}}}

파일:T1 Esports World Cup 2024 WIN.jpg
파일:2024 EWC LoL.jpg
Esports World Cup 2024
<colbgcolor=#eaeaea><colcolor=#000> 대회 기간 2024년 7월 4일 ~ 7월 7일[1]
주최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
주관
개최지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참가 팀 8팀
패치 버전 14.13
경기장 키디야 아레나
중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eaea><colcolor=#000> 중계 플랫폼 온라인
<colbgcolor=#f5f5f5>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일:SOOP 아이콘.svg
파일:글로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중계진 캐스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박상현
파일:글로벌 아이콘.svg 브랜든 발데스, 조슈아 하워드, 맥스 앤더슨, 울프 슈뢰더
해설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김동준, 이현우
현장 인원 및 분석데스크
파일:글로벌 아이콘.svg 스티브 캥거스, 다니엘 곤잘레스, 댄 해리슨, 아테나 장, 켈툼 바다제
}}}}}}}}} ||
일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8강
7월 4일 ~ 7월 5일
4강
7월 6일
결승
7월 7일
}}}}}}}}} ||
상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eaea><colcolor=#000> 총상금 $ 1,000,000
MVP $ 50,000
우승 $ 400,000
준우승 $ 200,000
3-4위 $ 100,000
5위-8위 $ 50,000
}}}}}}}}} ||
결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eaea><colcolor=#000> 우승 T1
준우승 Top Esports
MVP 이상혁 (T1 Faker) }}}}}}}}}

1. 개요2. 참가팀3. 일정4. 대회 진행5. 결과6. 여담
6.1. LoL e스포츠 내에서의 위상
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이 개최하는 국제 e스포츠 대회, Esports World Cup 2024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 대하여 다룬다.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이 대회가 초대 대회인 만큼 향후 어떤 식으로 시드 배분이 이뤄질지 알 수 없으나, 이번 대회의 경우 사전 초청으로 대진이 정해진다는 것이 발표되었고 메이저 4대 리그 소속 8팀이 초청되었다.

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 Esports World Cup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참가팀
}}} ||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 LPL 파일:lec 심볼.svg LEC 파일:LCS 심볼_Black.svg LCS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Gen.G Bilibili Gaming
DreamSmart
G2 Esports Team Liquid
Honda
파일:T1 로고.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
T1 Top Esports Fnatic FlyQuest
8팀 모두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의 초청으로 참여하였으며, 동시에 2024 Mid-Season Invitational에 참가한 메이저 리그 1, 2시드팀이기도 하다.

2.1.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ports World Cup 2024/리그 오브 레전드/로스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 Esports World Cup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경기 일정
}}} ||
브래킷 8강 (7/5~7/6)
4강 (7/7)
결승 (7/8)

6월 22일, 전체 일정이 공개되었고, # 6월 25일, 별도의 추첨 과정 없이 흥행 위주의 8강전 대진과 일정이 공개되었다. # 8강전 대진 공개 직후 대진 브래킷과 4강전 세부 일정 또한 공개되었다. #

4. 대회 진행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 Esports World Cup 2024
리그 오브 레전드 대진표
{{{#!wiki style="margin: -10px -5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1
파일:T1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1 로고.svg
2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1 }}} {{{#!wiki style="margin: -10px -5px"
결승 (7/8)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1 로고.svg
3
파일:TES 로고 2019.svg
1 }}}
{{{#!wiki style="margin: -10px -5px"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2
파일:Fnatic 로고.sv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0
파일:TES 로고 2019.svg
2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TES 로고 2019.svg
2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
{{{#!wiki style="margin: -10px -5px"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
1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EWC 우승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8강과 4강은 BO3로, 결승전은 BO5로 진행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eaeaea> 파일:Esports_World_Cup_icon.pngEsports World Cup 2024
우승팀
}}} ||
파일:T1 로고.svg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상금 클럽 포인트 비고
1위 파일:T1 로고.svg T1 $400,000 1,000 우승
2위 파일:TES 로고 2019.svg TES $200,000 600 준우승
3-4위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L $100,000 275 4강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5-8위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50,000 60 8강
파일:Fnatic 로고.svg FNC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파일:플라이퀘스트 로고 2021.svg FLY

6. 여담

  • 참가 팀 문단에서도 볼 수 있듯 모든 초청 팀이 2024 Mid-Season Invitational에 참여했던 메이저 리그 팀들인데, 이 때문에 대회가 시작하기 전부터 야 다시 떠이라는 드립이 난무하고 있다. 예상보다 빨리 탑독의 부담감을 떠안은 채 또 한번 국제 대회에 나서게 된 젠지를 필두로 MSI의 설욕을 원하는 숱한 강자들이 만나 예상보다 재밌는 대회가 될 것 같다는 기대가 많다. 그리고 8강에서 한 경기를 제외하면 모두 리벤지에 성공하면서 MSI와는 전혀 다른 구도가 나오게 되었다.
  • 4대 메이저 리그 팀들이 치르는 첫 대회지만 LCK는 경험자들이 지척에 있어서 현지 적응 문제는 낯선 곳에서의 국제 대회인 점을 감안해도 적을 듯하다. 왜냐하면 이 대회가 지난 2년간 열린 Gamers8이 현 명칭으로 바뀐 건데, 작년 대회의 스타크래프트 부문에서 연관된 출전자가 있기 때문.
    젠지는 소속 아카데미 강사이자 SOOP 방송인인 장민철[2] 스타크래프트 2 부문 레전드 매치, 전신인 삼성 시절 스타 팀의 마지막까지 플레잉 감독으로 활동한 전설인 송병구[3] 스타크래프트 레전드 매치에 출전했고, T1은 당시 광동 프릭스 코치 부임 전이었던 정명훈과 은퇴 후 개인 방송만 하던 김택용이 스타크래프트1 레전드 매치 출전자라서 현지 상황에 대해 조언을 직간접적으로 들을 수 있는 상황이다.[4]
  • 대한민국에서는 아프리카TV LCK 채널에서 중계됐으며 프릭업 스튜디오에서 뷰잉 파티도 개최되었다.# 한국 중계진은 박상현 캐스터와 김동준, 이현우 해설위원으로 확정되어 2022년 이후 만 2년 만에 다시 한 번 클동이 호흡을 맞추게 되었고, # 글로벌 중계진은 LCK 중계진 Valdes, Atlus, Wolf, Aux와 LPL의 Kitty[5] 등이 포함되었다. 참고로 LEC 중계진들은 전원 보이콧한 관계로 참여하지 않는다. #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므로 LCK 유튜브에서는 중계되지 않는다.

  • 개막 직전에 G2브로큰블레이드캡스, 한스 사마, 젠지쵸비가 출연한 영상이 공개되었다. G2의 세 선수가 교수 컨셉으로 출연하여 그동안 동양 팀이 국제 대회 토너먼트를 계속 이겨왔지만 e스포츠 월드컵은 모두 첫 출전이라 동양 팀 선수들도 우승 횟수가 0회이므로 G2가 우승하겠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쵸비가 우리가 MSI 챔피언인 것을 잊었냐며 두고 보자고 하는 내용이다. G2는 8강전에서 승리했으나 젠지가 8강에서 탈락해버려 두 선수가 이번 대회에서 만날 일은 없게 되었다.
  • 이 대회에 참가한 팀 중 평균 연령이 가장 높은 팀은 평균 25세 292일의 Team Liquid Honda, 가장 낮은 팀은 평균 21세 146일의 FlyQuest이며 최고령 선수는 'CoreJJ' 조용인, 최연소 선수는 'Peyz' 김수환이다.#

  • 우승 트로피가 정말 티배깅 끝판왕으로 이루어진 컨셉으로 유명하다. 우선 참가팀들은 우승 후 트로피에 꽂을 수 있는 키를 하나씩 가져가고, 승리하면 계속 키를 가지고 있는 채로 일정을 진행하며 최종 우승을 달성하면 트로피에 직접 키를 꽂아서 들어올리는 세리머니를 할 수 있다. 반대로 탈락한다면 패배팀 주장은 자신들의 키를 승리팀 주장에게 헌납하고, 그걸 다시 주최 측에 반납한 뒤 키를 유압프레스로 구겨서 쓸 수 없게 만든다. 또한 이렇게 박살난 키들은 전체 종목 우승 결과가 새겨진 비석 밑바닥에 흩뿌려지며, 우승 팀은 그중 3개를 골라 트로피 맨 밑바닥에 박제할 수 있다. 주최 측에게 줘야 하는데 굳이 승리팀에게 먼저 주는 것은 자신을 탈락시킨 승자에게 우승키를 직접 반납함으로써 패자의 굴욕감을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의도로 보인다.[6] 이 컨셉은 EWC 전 종목 공통으로 적용된다.

    한편 우승 팀인 T1은 트로피에 박제할 3개의 키로 8강 상대 BLG, 4강 상대 TL, 결승 상대 TES를 선택했다. LPL 팀 2개가 들어가긴 했지만 T1은 자기들이 잡은 '사냥감'이라 할 수 있는 팀 3개를 선택한 것이기 때문에 박제될 만한 팀들이 들어갔다는 명분이 확실해서 타 팀 팬덤의 반발은 별로 없고 수긍하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 신생 대회인 만큼 대회가 상당히 미숙하게 진행되었다. UI의 색감과 배치 및 가독성이 엉망이고 옵저빙 실력이 다소 떨어지고, 과거 있었던 리그 오브 레전드 IEM이나 KeSPA Cup처럼 긴급 이슈에 유연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며 퍼즈 시간이 길어 시청자들이 이에 대한 피로감을 토로할 정도. 애초에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신생일지라도, 대회 자체는 3년차인데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더욱 비판받았다.
  • 진행과 더불어 카메라 워크까지 미숙하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는데, 1990년대 음악 방송에서 볼 법한 카메라 회전을 보여주었고 그런 것에서 끝났으면 단순히 재미거리로 여겨졌겠지만, 김정수 감독의 밴픽 노트를 대놓고 촬영한 게 방송을 타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당연히 특정 팀의 밴픽 노트는 대외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카메라 워크 부분에서도 드러나지 않게 주의를 하는데 이는 제작진들의 명백한 실수이며, 일단 해당 노트는 단순히 챔피언 이름들만 나열되어 있는 정도에다 이번 대회 경기에 영향이 미치지 않긴 했으나 이후 이루어질 2024 서머 역시 한 경기 한 경기가 매우 중요한 마당에 이러한 변수가 어떻게 영향력을 끼칠지 알 수 없는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6.1. LoL e스포츠 내에서의 위상

과거 2015년에 개최된 MSI와 마찬가지로 팀을 초청하는 방식과 공식 대회를 주최하는 라이엇 게임즈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벤트전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여러 리그의 우승팀이 참가하며 비공식 국제 대회로서 기존에 진행되었던 여러 비공식 대회와는 차별화되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초청되는 팀이 직전 2024 MSI에 진출했던 각 4대 리그의 1, 2시드인 만큼 대회의 수준은 보장되어 있으며, 참가팀들 역시 상대팀을 분석하고 새로운 패치에 맞춰 각 팀의 색깔을 나타내는 참신한 전략을 구사하며 진지하게 임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상금에 대해 자세히 얘기하자면, 기본적으로 라이엇은 LoL e스포츠를 운영하면서 서드 파티 대회의 주최를 강력하게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대회에서 타 종목에 비해 압도적으로 파이가 큰 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상금 규모가 굉장히 작게 배분되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인기를 생각하면 총 상금 500만 달러가 걸린 도타 2 이상의 상금을 걸어도 이상하지 않으나 그보다 못한 상금이 걸렸다. e스포츠 월드컵이 월즈 이상의 상금을 가지게 될 경우[8] 공식 연간 결산 국제 대회라는 유구한 위상의 월즈를 상회하는 서드 파티 대회가 개최되기 때문에 라이엇이 이것을 절대 용납할 리가 없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월즈 상금을 올려야 하는데 또 그러기는 싫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다행히 참가팀들은 작은 상금을 대신할 거액의 참가비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게임단들 입장에서 새로운 수익 창구라는 메리트는 충분하다. 최근 대부분의 프로게임단이 수익에 대한 애로사항을 갖고 있기에 이러한 서드 파티 대회 시도는 게임단에게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기회가 될 것이다. 애초에 전 세계 최강팀들이 시즌을 중간에 접고 사우디아라비아까지 온 만큼 그 위상은 거의 비공식 MSI급이라고 보는 것이 맞으며, 라이엇이 이전까지 서드 파티 대회를 금지하고 이 대회 또한 개최 불발 직전까지 갔던 것을 감안하면 이 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나게 된다면 게임단들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익 창출이라는 명분과 경기 수 증가 등 팬들의 오랜 요구사항들이 일부 충족될 것으로 보인다.

본격적인 경기가 진행됨에 따라 팬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위상을 인정받는 분위기인데, 각 4대 리그의 MSI 진출팀 전원을 데려와 경기의 수준이 높은 것은 물론 기존 e스포츠에서는 보지 못했던 도발적인 세리머니가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다. 무려 패배한 팀의 키를 주장 선수가 직접 넘겨주고, 그걸 유압프레스로 부순 다음 우승자의 트로피에 박는다는 글자 그대로 패자를 박제하는 장면을 라이브로 전 세계에 생중계해 버린다. 순식간에 대회가 단순 이벤트성 매치가 아닌 선수들은 물론이고 팬들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가 되어버린 것. 첫 경기인 8강 T1-BLG전에서 T1이 이기자 곧장 빈이 제우스에게 키를 넘기고 이를 주최 측이 프레스로 찍어버렸는데 이 장면이 굉장히 강렬했다. 그 바람에 근본 없던 경기에 강제로 근본을 주입시켰다며 반드시 이겨야 하는 경기로 인식된다는 반응이 늘어났다. 물론 단순히 팬들의 반응이 높다고 대회의 위상도 높아지는 건 아니지만, 많은 여론이 집중되고 롤 또한 결국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인 만큼 팀과 선수 입장에서도 나름 중요한 경기가 된 셈이다.

이번 대회가 초대[9] 대회이고, 주최 측도 의지가 큰 만큼 향후 주최 측의 의지와 게임단 및 게임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 대회의 위상과 평가는 크게 높아질 여지가 있다.

그러나 결국 많은 상금과 자극적인 소재로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는 것 자체가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에 기댄 부분이 크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권위가 하락된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스타크래프트에서 공식 리그로 인정받진 못했지만 World Cyber Games스타리그MBC GAME 스타리그에 버금가는 역사를 지녔고, 국가를 대표해서 나간다는 자긍심과 모든 선수들이 예선부터 같은 위치에서 시작한다는 공정성도 있었기에 양대 리그와는 차별화되는 하나의 대회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런데 EWC는 그러한 과정을 생략한 채 시작한 데다가, 내년부터는 새로운 라이엇 주관 국제 대회와 윈터 시즌을 포함해 1년 6개 대회 체제로 진행될 텐데 그렇다면 필연적으로 올 시즌과 같은 포맷은 불가능할 것이고 하물며 매 해마다 공식이 아닌 만큼 라이엇의 입김이 다른 대회에 비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어 WCG와 같은 위상은 얻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허나 대회의 본질은 명예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금 역시 대회의 가치를 높여주는 요소 중 하나이며, 오일머니 참가비와 상금으로 인해 우승의 가치는 작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내년부터 MSI가 새로운 포맷으로 7월 초에 개최되는 것이 확정되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EWC가 MSI를 대체한다는 루머가 퍼졌으나, 7월 13일 라이엇 e스포츠 글로벌 전략책임자가 향후 몇 년 동안 그럴 계획이 없다고 확실히 못박으면서 적어도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 한하여는 게임사인 라이엇의 이해관계에 따라서 상징적 위상이 현재의 비공식 국제전 이상으로 조정될 일은 요원해 보인다.#

요약하자면 주최 측의 의지, 어마무시한 총 상금과 참가비를 비롯한 상위 게임단들의 참여, 팬들의 좋은 반응에 힘입어서 성황리에 이루어진 매력적인 신흥 대회라는 가능성이 있지만 2024년 7월 기준으로 라이엇이 비공식 대회 그 이상을 원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대회 운영에 집중하고자 한다는 한계점이 공존하기에 여러모로 아이러니한 대회라고 할 수 있다.

2024 월즈에서 EWC에서의 전적을 공식 전적으로 표기하였다. 스위스 스테이지 2일차 젠지와 TES의 경기에서 2024년 상대 전적으로 EWC에서의 매치를 표기한 것. 여전히 골든 로드에 포함되는 등의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라이엇 측에서도 단순 이벤트성으로 가볍게 보는 경기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10] 그러나 GPR에서 2024 시즌 경기 전적을 계산할 때는 EWC에서의 전적이 포함되지 않았다. 젠지와 T1의 월즈 4강에서 젠지의 패배 수가 3경기로 표기된 바가 있다. 스프링과 서머 정규시즌에서 KT에게 졌고 서머 결승전에서 한화생명에게 패배한 것까지 포함하면 정확히 3패가 된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fe3f9><tablebgcolor=#0fe3f9>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기타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주요 대회 요약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svg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파일:ECEA 로고.sv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로고 (화이트).svg
아시안 게임 한중일 e스포츠 대회 시즌 킥오프
2022 | 2023 | 2024 2013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 2018 하계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 | 2022 하계 아시안 게임 (평가전, 본선) 2021 | 2022 | 2023 | 2024 2023 | 2024 | 2025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folding [ 기타 국제 대회 펼치기 · 접기 ]
기타 국제 대회
<rowcolor=#000> 연도 대회명 출전 한국팀
2011. 12 2011 WCG EDG
2012. 1 온게임넷 LoL Invitational MiG, EDG, StarTale, Team OP
2012. 4 나이스게임TV 배틀로얄 NaJin e-mFire 외 9팀
2012. 8 MLG 2012 Summer Arena Azubu Blaze
2012. 8 GIGABYTE StarsWar League NaJin Shield, Xenics Storm
2012. 10 나이스게임TV 용쟁호투 IM, CJ Entus, RoMg, kt Rolster A, kt Rolster B
2012. 10 World e-Sports Masters 2012 IM
2012. 11 IEF 2012 MVP White, MVP Blue
2012. 11 MLG 2012 Fall Championship Azubu Blaze, NaJin Sword
2012. 11 IPL 5 Azubu Blaze
2012. 12 IEM Season VII - Cologne SKT T1 #1, CJ Entus
2013. 1 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 NaJin Sword, NaJin Shield, MVP White, SKT T1 #1
2013. 1 IEM Season VII - Katowice Azubu Blaze, Azubu Frost
2013. 1 IEM Season VII - Sao Paulo IM
2013. 3 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CJ Blaze, CJ Frost, SKT T1 #1, IM
2013. 3 MLG 2013 Winter Championship kt Rolster B
2013. 6 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kt Bullets
2013. 10 IEF 2013 Xenics Storm, SoNiC
2013. 11 IEM Season VIII - Singapore CJ Frost
2013. 11 2013 WCG CJ Blaze
2014. 3 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kt Bullets
2014. 12 IEF 2014 Xenics Storm, HUYA Tigers, IM, Prime Clan
2015. 3 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GE Tigers, CJ Entus
2015. 11 IEM Season X - San Jose Jin Air Greenwings
2015. 12 IEM Season X - Cologne ESC Ever
2016. 3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SKT T1, ESC Ever
2016. 11 IEM Season XI - Oakland Longzhu Gaming
2016. 12 IEM Season XI - Gyeonggi Samsung Galaxy, KONGDOO Monster
2017. 2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ROX Tigers, KONGDOO Monster
2018. 8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 대한민국 대표팀
2020. 5 2020 Mid-Season Cup T1, Gen.G, DragonX, DAMWON Gaming
2021. 9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대표팀
2022. 9 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NS Challengers, DK Challengers, T1 Challengers, Korean Streamer
2022. 11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대표팀
2023. 9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NS Esports Academy, DK Challengers, DRX Challengers, HLE Challengers
2023. 9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평가전 대한민국 대표팀
2023. 9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 대한민국 대표팀
2023. 12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대한민국 대표팀
2024. 7 Esports World Cup 2024 Gen.G, T1
2024. 9 2024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KT Challengers, DK Challengers, KDF Challengers, T1 Esports Academy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지역 리그}}}}}}}}}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24 시즌
국제 대회
파일:Mid-Season_Invitational_2024.webp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로고.sv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2024 월드 챔피언십 로고 (화이트).svg
2024 MSI 2024 Worlds
지역 대회
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파일:LPL_2020_icon.png 파일:lec 심볼 민트.svg 파일:LCS 심볼_Black.svg파일:LCS 심볼_White.svg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윈터 스프링 서머 지역 결승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파일:PCS_logo.png파일:PCS_white.png 파일:VCS 심볼.svg파일:VCS 심볼 화이트.svg 파일:CBLOL_2021_notext.png파일:CBLOL 심볼 화이트.svg 파일:LLA 2020.png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오프닝 클로징
기타 대회 기타 국제 대회
파일:Season_Opening.webp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로고.png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아이콘.svg파일:asci 2022 logo_white_notext.svg 파일:ECEA 로고.svg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svg파일:이스포츠 월드컵 로고 화이트.svg
시즌 오프닝 2024 ASCI 2024 ECEA EWC 2024
기타 지역 대회
파일:EM small logo.png파일:em logo white.png 파일:LJL_2020_logo.png 파일:LCO로고.png파일:LCO white.png 파일:TCL_2023_lightmode.png파일:TCL_2023_darkmode.png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윈터 서머


[1] 한국시각 7월 5일 ~ 7월 8일[2] 다만 젠지 유니폼을 안 입고 본인의 당시 소속 스타 크루의 유니폼을 입고 경기를 치렀다. 애사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당시에는 젠지가 조성호를 영입하며 스타크래프트 부문 활동을 하기 전이었고, 롤 대회 결승전서도 그러려고 했다가 타 종목 대회서 그러는 건 매너가 아니란 생각에 취소한 적이 있는데다가 대회 시점이 소속 크루가 우승한 대회와 딱 겹친 것도 있었다.[3] 장민철과 마찬가지로 당시 소속 크루가 대회에 참가한 와중에 배우자와 같이 출국했다.(배우자는 장민철과 같은 크루원)[4] 해당 매치에서 장민철과 정명훈은 결승전에서 각각 스테파노, 이제동을 3:1로 이기고 우승을 했다.[5] 2023년에 LPL 영어 중계에 참여한 인터뷰어이며 한스 사마의 여자친구로 유명하다.[6] 실제로 개막전으로 치러진 T1 vs BLG 경기에서 제우스에게 매우 굴욕적인 표정으로 키를 헌납하고 그 키가 박살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나왔다. 한국 팬들에게선 만약 눈앞에서 이걸 당했다면 기분이 어땠겠냐며 이벤트전이고 뭐고 절대로 져선 안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으며, 오히려 그러한 점 때문에 재밌게 느껴진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다.[7] 이게 얼마나 큰 금액인지 체감이 잘 안 될 수도 있지만, LCK 우승 상금이 2억 원인데 8강 탈락만 해도 LCK 우승 상금에 버금가는 금액을 추가 상금으로 지급하는 것부터 사우디아라비아의 엄청난 재력을 실감할 수 있다.[8] 최근 몇 년간 늘긴 했으나 월즈 상금은 200만 달러+@로 기성 스포츠는 물론 도타 2의 The International에 비해서도 적다. 특히 TI 상금은 최근 몇 년간 기록서 미판매 이슈로 개박살나면서 위상이 크게 줄었으나 어쨌든 300만 달러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상금 액수는 높다. 다만 월즈 우승 선수는 우승 시 수여되는 우승 스킨 수익을 배분받는데 이 수익금이 대회 상금을 상회할 정도라고 한다.[9] EWC 자체는 시작한 지 3년째이지만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올해 처음 추가되었다.[10] 진짜 이벤트성으로 승리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경기는 매치에 넣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T1 vs G2 경기의 경우 매치 전적에 작년 월즈 직후 진행된 Red Bull League of Its Own에서의 경기 결과는 포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