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xelloscope의 BMS곡}}}에 대한 내용은 [[Apollo]]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Apollo#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Apollo#|]]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xelloscope의 BMS곡: }}}[[Apollo]]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Apollo#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Apollo#|]]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SEGA의 아케이드 리듬게임 온게키 시리즈의 수록곡. 아티스트는 TJ.hangneil. 神威, MxMxM Star, ozma를 잇는 네번째 TJ.hangneil 명의의 곡이다. 장르 표기는 progressive/regressive.
카무이와 ozma에서도 사용된 샘플링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후반에는 카무이의 멜로디도 일부 들어가 있다.
ozma가 오즈마 계획을 모티브로 한 것 비슷하게 이쪽은 아폴로 계획, 그리고 아폴로 11호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PV의 내용은 달 탐사대가 어둠 속에 가려져있던 달의 정체불명의 존재에게 하나 둘 씩 삼켜지는 내용으로,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달 뒷면의 어둠 속 수수께끼와 공포를 행네일 특유의 기괴하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으로 잘 표현했다.
2. 온게키 시리즈
온게키 시리즈의 15레벨 이상 수록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5.7(15+) | |||||||||||||||||||||||||||||||||||||||||||||||||||||||||||
| ||||||||||||||||||||||||||||||||||||||||||||||||||||||||||||
Recollect Lines | ||||||||||||||||||||||||||||||||||||||||||||||||||||||||||||
15.6 | ||||||||||||||||||||||||||||||||||||||||||||||||||||||||||||
| ||||||||||||||||||||||||||||||||||||||||||||||||||||||||||||
μ3 | ||||||||||||||||||||||||||||||||||||||||||||||||||||||||||||
15.5 | ||||||||||||||||||||||||||||||||||||||||||||||||||||||||||||
| ||||||||||||||||||||||||||||||||||||||||||||||||||||||||||||
girls.exe | ||||||||||||||||||||||||||||||||||||||||||||||||||||||||||||
15.4 | ||||||||||||||||||||||||||||||||||||||||||||||||||||||||||||
| | | | | ||||||||||||||||||||||||||||||||||||||||||||||||||||||||
LAMIA | Apollo | Selenadia | FestA of PandemoniuM | MY GLORY WANTED!!! | ||||||||||||||||||||||||||||||||||||||||||||||||||||||||
15.3 | ||||||||||||||||||||||||||||||||||||||||||||||||||||||||||||
| | | | | | |||||||||||||||||||||||||||||||||||||||||||||||||||||||
光焔のラテラルアーク | MarbleBlue. | MeteorSnow | And Revive The Melody | DIE IN | Sargasso | |||||||||||||||||||||||||||||||||||||||||||||||||||||||
15.2 | ||||||||||||||||||||||||||||||||||||||||||||||||||||||||||||
| | | | | | |||||||||||||||||||||||||||||||||||||||||||||||||||||||
Stardust:RAY | Regulus | I Wanna | 宿星審判 | Lazulis Gambit | Λzure Vixen | |||||||||||||||||||||||||||||||||||||||||||||||||||||||
15.1 | ||||||||||||||||||||||||||||||||||||||||||||||||||||||||||||
| | | | |||||||||||||||||||||||||||||||||||||||||||||||||||||||||
Op.I《fear-TITΛN-》 | Magical Panic Adventure | 脳天直撃 | 雪男 | |||||||||||||||||||||||||||||||||||||||||||||||||||||||||
15.0 | ||||||||||||||||||||||||||||||||||||||||||||||||||||||||||||
| | | | |||||||||||||||||||||||||||||||||||||||||||||||||||||||||
怨撃 | AMAZING MIGHTYYYY!!!! | ω4 | Opfer | |||||||||||||||||||||||||||||||||||||||||||||||||||||||||
| | | | |||||||||||||||||||||||||||||||||||||||||||||||||||||||||
Scythe of Death | POTENTIAL | Stellar:Dream | Distorted Fate | |||||||||||||||||||||||||||||||||||||||||||||||||||||||||
보라색 배경 - MASTER 난이도, 하얀색 배경 - LUNATIC 난이도 | ||||||||||||||||||||||||||||||||||||||||||||||||||||||||||||
온게키의 수록곡 | ||||
곡명 | Apollo | |||
아티스트 | TJ.hangneil | |||
장르 | オンゲキ | |||
BPM | 339[1] | |||
대전상대 | | |||
챕터 | 4-06 STARRED | |||
수록일 | 2021년 9월 16일 | |||
버전 | 온게키 R.E.D. PLUS | |||
해금방법 | 챕터 4-06 | |||
온게키 난이도 체계 | ||||
보면 | 난이도 | 노트수 | BELL | 패턴 제작자 |
BASIC | 6 | 522 | 106 | |
ADVANCED | 10 (10.4) | 866 | 215 | |
EXPERT | 13+ (13.7) | 1508 | 180 | みそかつ侍 |
MASTER | 15 (15.4) | 3390 | 200 |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 |
- [EXPERT 채보 영상 펼쳐보기|접기]
채보 캡처 영상
LAMIA와 함께, 온게키 최초로 EXPERT 13+을 가지고 나왔다.
- [MASTER 채보 영상 펼쳐보기|접기]
채보 캡처 영상
5-0-0 영상
LAMIA와 함께 온게키 최초의 15레벨을 달고 나왔다.[2]
3. maimai 시리즈
Apollo | |||||
| |||||
아티스트 | TJ.hangneil | ||||
장르 | オンゲキ&CHUNITHM | ||||
BPM | 339[3] | ||||
버전 | でらっくす BUDDiES | ||||
최초 수록일 | 2023/12/09 | ||||
maimai DX 난이도 체계 | |||||
DELUXE | |||||
난이도 | <colcolor=green,#0c0> BASIC | <colcolor=orange> ADVANCED | <colcolor=red> EXPERT | <colcolor=#8324ff> MASTER | |
레벨 | 7 | 8+ | 13(13.0) | 14+(14.7) | |
노트 수 | TAP | 268 | 330 | 718 | 866 |
HOLD | 11 | 29 | 64 | 113 | |
SLIDE | 9 | 6 | 42 | 90 | |
TOUCH | 19 | 29 | 17 | 53 | |
BREAK | 10 | 6 | 19 | 89 | |
합계 | 317 | 400 | 860 | 1211 | |
보면제작 | - | - | 鳩ホルダー | EL DiABLO[4] |
2023년 12월 9일 maimai DX BUDDiES 에 업데이트된 히든 지방 裏・月面ちほー(달 뒷면 지방)의 첫번째 PERFECT CHALLENGE 해금곡으로 수록되었다.
곡의 존재가 드러나고 첫 클리어자가 나올 때까지의 타임라인
3.1. MASTER
AP 스크린 캡쳐 영상.
AP 플레이 영상.
축연타가 조금 두드러지지만 전반적으론 종합 패턴. BPM 250의 몸이 꺾이는 16비트 트릴, BPM 274의 8비트 축연타 및 동시치기 때문에 피지컬에 따라 개인차가 갈리나, 보통은 14.7 하위권으로 평가 받는다.
마지막에 갔다가 돌아오는 슬라이드는 한 바퀴만 도는 슬라이드가 겹쳐있어 한 바퀴 이상 미리 그어버리면 FAST로 나간다.
프로젝트 라퓨타 개발 비화에서는 보스를 raputa로 잡았기 때문에 Apollo는 연출에 힘을 썼다고 밝혔다. 그 말대로 스크린 캡쳐 영상 기준 0:57부터 시작하는 우주미아 연출 슬라이드[5], 지구가 보이는 부분이 포함된 구간인 1:53~2:07에 나오는 슬라이드가 地球 MASTER의 0:46부터 나오는 슬라이드 패턴을 변형한 것, 달의 앞뒷면을 표현한 마지막 함정 슬라이드 등등 상당히 공을 들인 것이 보인다.
4. Apollo -onoken AxSwing Remix-
2023년 12월 14일, 온게키에 onoken의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4.1. 온게키 시리즈
온게키의 수록곡 | ||||
곡명 | Apollo -onoken AxSwing Remix- | |||
아티스트 | onoken | |||
장르 | オンゲキ | |||
BPM | 118 | |||
대전 상대 | | |||
챕터 | 刹那 オンゲキーズ王決定戦 | |||
수록일 | 2023년 12월 14일 | |||
버전 | 온게키 bright MEMORY | |||
해금 방법 | 통상 해금 | |||
온게키 난이도 체계 | ||||
보면 | 난이도 | 노트 수 | BELL | 보면 제작자 |
<colcolor=white> BASIC | 3 | 482 | 40 | |
ADVANCED | 8+ | 846 | 95 | |
EXPERT | 12+ (12.8) | 1512 | 164 | ロシェ@ペンギン |
MASTER | 13+ (13.8) | 1826 | 138 | ものくろっく |
- [EXPERT 채보 영상 펼쳐보기|접기]
채보 캡처 / 이론치 영상
- [MASTER 채보 영상 펼쳐보기|접기]
채보 캡처 / 이론치 영상
[1] 실 BPM은 210~274~339.[2] 15레벨 보스곡 자리는 μ3에게, 최종보스곡 자리는 Recollect Lines에게 넘겨준 상태. 지금 난이도 상수 15.4도 Selenadia와 FestA of PandemoniuM의 출시로 위상이 낮아졌다.[3] 210-274-339, 해당 곡 이후 등장하는 퍼챌곡과 함께 인게임 표기상 최고 BPM이다.[4] あまくちジンジャー와 동일 인물.[5] 이 부분은 개발 비화에서도 2단 로켓 슬라이드(2段ロケットスライド)라고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