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maimai 시리즈 수록곡. 작곡가는 승리의 여신: 니케 총괄 사운드 디렉터이자, DataErr0r로 유명한 한국인 작곡가 Cosmograph이다.
Cosmograph가 오랜만에 리듬게임에 투고한 곡으로, maimai 시리즈에 처음으로 제공하는 악곡이 되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데뷔곡이 보스곡이라는 것이다.
자켓 일러스트의 주인공은 어린 시절의 애시드(アシッド). 상당한 퀄리티의 외모와 디자인으로 인해 공개 직후부터 현재까지도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중이다.
2. maimai 시리즈
Straight into the lights | ||||||
| ||||||
아티스트 | Cosmograph | |||||
장르 | maimai | |||||
BPM | 90[1] | |||||
버전 | でらっくす BUDDiES | |||||
최초 수록일 | 2024/02/02 | |||||
maimai DX 난이도 체계 | ||||||
DELUXE | ||||||
난이도 | <colcolor=green,#0c0> BASIC | <colcolor=orange> ADVANCED | <colcolor=red> EXPERT | <colcolor=#8324ff> MASTER | ||
레벨 | 4 | 8 | 12(12.5) | 14+(14.8) | ||
노트 수 | TAP | 158 | 286 | 310 | 777 | |
HOLD | 30 | 27 | 81 | 62 | ||
SLIDE | 4 | 7 | 40 | 87 | ||
TOUCH | 19 | 22 | 40 | 121 | ||
BREAK | 9 | 6 | 51 | 64 | ||
합계 | 220 | 348 | 522 | 1111 | ||
보면제작 | - | - | サファ太 | Jack |
7sRef3 지방의 PERFECT CHALLENGE 악곡으로 등장했다.
2.1. MASTER
AP 플레이 영상.[2]
AP 스크린 캡쳐 영상.[3]
느린 슬라이드 출발 타이밍 사이사이에 많은 탭들이 끼어드는 채보. 레날리와 비교하면 기본 속도는 많이 느리기 때문에 지구력은 레날리 쪽이 더 크게 필요로 하지만 48비트 트릴과 난타, 긁기 및 96비트까지 가속하는 회전 등 순간적인 피지컬 요구량은 이 쪽이 한 수 위. 패턴 구성 역시 교차 긁기, 간접 유도 등등 이쪽이 훨씬 복잡하다.
기본 BPM이 2배 기준으로도 14.8에선 느린 편인데다 상술한 위험구간들이 마지막 48비트 트릴을 제외하고는 그렛 좀 내고 넘기면 되기 때문에, SSS+까지는 14.8 중상위권 정도로 평가받는다. 한편 AP부터는 상술한 구간들이 전부 킬링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확 뛰는데, 이런 점이 SSS+까지는 14.8 최상위권임에도 AP 난이도는 꽤 평가절하되는 레날리와 대비된다.
3. 타사 리듬 게임 수록
3.1. Arcaea
[include(틀:Arcaea/채보/대립/Eternal, 곡명=Straight into the lights, 작곡링크=Cosmograph, 작곡표기=Cosmograph, BPM=90,FTR제작=nora::kuma, ETR제작=反水 × 夜浪,
PST레벨=4, PRS레벨=7, FTR레벨=9, ETR레벨=10,
PST세부레벨=4.0, PRS세부레벨=7.5, FTR세부레벨=9.5, ETR세부레벨=10.5,
PST노트=583, PRS노트=714, FTR노트=1226, ETR노트=1280,
배경=maimai, 확장자=webp, 특이사항=,)]
3.1.1. 채보
3.1.1.1. Past
3.1.1.2. Present
3.1.1.3. Future
특유의 빠르게 꺾이는 아크와 사이사이에 낀 잡노트들로 인해 9.5 치고는 꽤 어렵다고 평가받는다.3.1.1.4. Eternal
채보 영상.
아크와 롱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헷갈림을 유발하는 패턴들로 중무장했다. 후반부는 비교적 쉬운 편이고, 익숙해지면 난이도가 떨어지지만 기본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유형인 만큼 상당한 숙련도를 요구하는 채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