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11:43:11

8대학공학계연합회

파일:8대학공학계연합회 로고.svg

8대학 공학계 연합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홋카이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도호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도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tokyotech.png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도쿄대학 도쿄과학대학
파일:나고야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교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오사카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규슈대학 교표_White.svg
나고야대학 교토대학 오사카대학 규슈대학
}}}}}}}}} ||
<colbgcolor=#0d509a><colcolor=#fff> 八大学工学系連合会
팔대학공학계연합회
Eight-University Engineering Association
파일:8대학공학계연합회 로고.svg
설립 2015년
분류 일반사단법인
대표 위치 東京都文京区本郷7-3-1
東京大学工学部列品館3F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소속3. 설립 목적4. 위상5.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의 공학 계열 8개 대학의 협동 연합.

현재 구제국대학 7곳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도쿄대학, 나고야대학, 교토대학, 오사카대학, 규슈대학) 및 도쿄과학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소속

파일:홋카이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도호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도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tokyotech.png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도쿄대학 도쿄과학대학
파일:나고야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교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오사카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규슈대학 교표_White.svg
나고야대학 교토대학 오사카대학 규슈대학

3. 설립 목적

일본에서는 메이지 초기에 선구적인 공학부가 설립된 이래,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도쿄대학, 도쿄과학대학, 나고야대학, 교토대학, 오사카대학, 규슈대학에 속해 있는 공학부 · 공학계 연구과는 일본의 공학 교육 · 연구를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큰 역할을 해 온 곳이다.

2015년부터는 이 대학들이 모여 8대학공학계연합회라는 연합을 만들어, 현재 이 대학들의 공학부장이 모여 공학 교육, 연구 정보의 공유, 과제, 문제점 등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또한, 이 논의점들을 기반으로, 대외적으로 의견이나 요구 등을 발언하는 것을 통해, 일본공학 교육, 학술연구, 과학기술 등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소속된 공학계의 학부, 대학원이 협력하여 공동으로 공학 교육, 연구 정보의 공유, 과제, 운영 등에 대해 계속적으로 논의하고 있으며, 이 논의점들을 기반으로, 대외적으로 의견이나 요구 등을 발언하는 것을 통해, 일본공학 교육, 학술연구, 과학기술 등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 위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tablebordercolor=#663334,#663334><tablebgcolor=#663334,#66333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96em; letter-spacing: -.2px"
<rowcolor=#fff>
<rowcolor=#fff> 이름[1] 연도·부문 업적[2]
유카와 히데키 1949
물리학
중간자의 존재 예측
도모나가 신이치로 1965
물리학
양자 전기역학의 기초 연구
가와바타 야스나리 1968
문학
섬세한 감수성으로 일본인의 정신적 본질을 표현한 서사적 기량
에사키 레오나 1973
물리학
반도체초전도체의 터널효과 발견
사토 에이사쿠 1974
평화
비핵 3원칙 제창
후쿠이 겐이치 1981
화학
화학 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도네가와 스스무 1987
생리·의학
항체 다양성의 유전학적 원리 해명
오에 겐자부로 1994
문학
시적인 힘으로 현대 인간의 딜레마를 불편하게 비추는 세계를 창조
시라카와 히데키 2000
화학
전도성 고분자 물질 개발
노요리 료지 2001
화학
키랄 촉매에 의한 비대칭 반응 연구
고시바 마사토시 2002
물리학
우주 중성미자 검출과 관련한 선구자적 연구
다나카 고이치 2002
화학
생체​고분자의 질량 분석을 위한 연성 탈착 이온화 방법의 개발
고바야시 마코토 2008
물리학
CP 대칭깨짐 원리 발견
마스카와 도시히데
난부 요이치로[3]
시모무라 오사무 2008
화학
녹색 형광 단백질 GFP 발견 및 개발
스즈키 아키라 2010
화학
팔라듐 촉매교차​결합법(스즈키 커플링 / 네기시 커플링) 개발
네기시 에이이치
야마나카 신야 2012
생리·의학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
아카사키 이사무 2014
물리학
청색 LED 발명
아마노 히로시
나카무라 슈지[3]
오무라 사토시 2015
생리·의학
회충 감염의 새로운 치료법 발견
가지타 다카아키 2015
물리학
중성미자 진동 관측
오스미 요시노리 2016
생리·의학
자가포식(오토파지) 매커니즘 연구
이시구로 가즈오[4] 2017
문학
우리가 세상과 맺고 있다고 믿는 허상의 연결에 숨겨진 심연을 표현
혼조 다스쿠 2018
생리·의학
음성적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치료법 발견
요시노 아키라 2019
화학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
마나베 슈쿠로[3] 2021
물리학
기후변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 모델 제시
일본 원수폭 피해자 단체 협의회 2024
평화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
사카구치 시몬 2025
생리·의학
말초 면역 내성에 관한 발견
기타가와 스스무 2025
화학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1] 일본 국적을 보유한 적이 없는 일본계 외국인 수상자는 포함하지 않은 집계.[2] 일본 국적 보유 당시에 업적을 달성하지 않은 1986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리위안저(대만일치시기 일본 국적) 및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김대중(일제강점기 일본 국적)은 제외.[3] 수상 당시 미국 국적 보유.[3] [4] 수상 당시 영국 국적 보유.[3]
}}}}}}}}}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수는 2025년 기준으로 단체 수상을 제외한 개인 수상자는 31명인데,[1] 이 중에 28명이 위 8대학 출신이다.[2]

노벨상 수상자의 주요 소속 연구기관까지 고려하면 무려 31명 중 30명이 이 8대학을 거쳐갔고[3] 노벨상 과학분야만 한정할 경우, 수상자 전원이 이 8개 대학을 거쳤다. 이는 위 8개 대학의 학술 분야에 있어서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보면 될 것이다.

5. 관련 문서



[1] 니혼 히단쿄의 단체 수상을 포함한다면 모두 32회 수상했다.[2] 학사, 석사, 박사 기준.[3] 포함되지 않은 1명은 노벨문학상을 받은 이시구로 가즈오. 그는 일본에서 태어났으나 성인이 되어 영국 국적을 취득하여 소설가가 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대학을 졸업하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