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D 마이너 4D Miner | |
<nopad> | |
<colbgcolor=#660080><colcolor=#fff> 개발 | Mashpoe |
유통 | Mashpoe |
엔진 | 자체 엔진 |
ESD | Steam | itch.io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장르 | 샌드박스, 서바이벌 |
출시일 | 데모: 2022년 11월 |
정식: 미정 | |
한국어 지원 | 지원 예정 |
심의 등급 | 미정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clearfix]
1. 개요
2022년에 처음 발매된 샌드박스 게임이다. 대다수의 샌드박스 블록 게임들과 달리 세계가 4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2025년 현재 스팀에 데모 버전이 공개되어 있으며, 개발중인 스냅샷 버전에서는 멀티플레이어와 한국어 지원, 물과 용암같은 신규 블록 등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냅샷 버전은 무료가 아니며, 후원자에게만 지원되고 있다. 또한 게임이 완성되어 데모 단계가 끝나면 유료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설명
2차원 모니터상에서 4차원을 직접적으로 묘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게임은 3차원 존재인 플레이어가 4차원 세계의 3차원 단면만을 볼 수 있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마우스 휠을 돌리는 방식으로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공간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Shift+Q 또는 Shift-E 키를 눌러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단면을 4차원 공간상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파일:4D_Miner_Rotation.gif
월드의 블록들은 정팔포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레이어의 3차원 공간이 XZ/XW/ZW 평면에 정렬된 경우 블록들은 평범한 정육면체처럼 보이지만, 마우스 휠 스크롤을 통해 공간을 회전시키면 각도에 따라 삼각기둥, 직육면체, 심지어 육각기둥 형태로도 나타난다.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아직 제작대나 화로 역할을 하는 블록은 없으므로, E키로 인벤토리를 열거나 상자를 열면 오른쪽에 조합창이 표시되며, 여기서 모든 제작법을 처리한다. 심지어 제련이 필요한 아이템도 나무[1]와 조합하는 식으로 해결한다. 조합창에 특정 배치로 아이템을 놓아야 원하는 아이템을 제작 가능한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4D 마이너에서는 인벤토리(상자 포함)에 레시피에 필요한 아이템들이 모두 있으면 조합창에 표시되고 제작할 수 있다.
3. 게임플레이
3.1. 조작법
키 설정을 사용자 정의로 변경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하며, 모드를 사용해야만 가능하다.키 설명 | 키 |
앞/뒤/좌/우로 이동 | W, A, S, D |
점프 | 스페이스 |
달리기 | Ctrl |
웅크리기 | Shift |
인벤토리 열기/닫기 | E |
아이템 버리기 | Q |
채팅창 열기[2] | T |
4차원 공간상에서 3차원 단면 회전 | 마우스 휠 스크롤 |
4차원 공간상에서 수직으로 이동 | Shift+Q 또는 Shift+E |
4차원 공간상에서 시점 회전 | 마우스휠 클릭 또는 M |
방향 재설정 | Ctrl+R |
3차원 단면을 XZ/XW/ZW 평면에 정렬 | Ctrl+X+Z, Ctrl+X+W, Ctrl+Z+W |
공격/파괴 | 좌클릭 |
배치/사용 | 우클릭 |
청크 재로딩 | H |
메뉴 열기/닫기 | Esc |
GUI 내에서 아이템 집기/놓기 | 좌클릭 |
GUI 내에서 아이템 반만 집기 | 우클릭 |
아이템을 집은 상태에서 하나 놓기 | 우클릭 |
인벤토리 핫바 1~8칸 선택 | 1~8 |
인벤토리 핫바 내 아이템 선택 | Ctrl+마우스 휠 스크롤 |
스크린샷 | F2 |
3.2. 세계
- 건설 가능한 최대 고도는 128블록이다. 스팀에 공개된 데모 버전(0.2.1.4 알파) 기준 최대 고도를 초과하는 좌표에 블록을 배치하려 시도할 경우 아이템이 소모되는 버그가 있다.
- 각 청크는 8x128x8x8 크기이며, 65536개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 월드 맨 밑에 파괴 불가능한 블록이 있어 공허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4D 마이너에는 기반암층이 없으며, 대신 공허는 용암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수직으로 파는 행위를 할 경우 100% 확률로 용암에 빠지게 된다. 플레이어나 몹이 공허에 빠지면 즉시 체력이 0이 되며 사망한다.
3.3. 블록
- 돌(Stone) - 가장 기본적인 월드 구성 블록으로, 모든 생물군계에서 나타난다.
- 흙(Dirt) 및 잔디(Grass) - 잔디는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주변 흙으로 퍼지지 않는다. 막대로 캐면 50% 확률로 바위를 드랍한다.
- 미드나이트 흙(Midnight Dirt) 및 미드나이트 잔디(Midnight Grass) - 미드나이트 생물군계에서 표면을 구성하는 블록이다. 일반 흙/잔디와 마찬가지로 막대로 캐면 50% 확률로 바위를 드랍한다.
- 나무(Wood) -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처음부터 맨손으로 나무를 캘 수는 없고, 적어도 돌 망치가 필요하다. 또한 조합창에서 광석이나 유리를 제련하는 연료로도 사용된다.
- 나뭇잎(Leaf) - 맨손으로 캘 수 있는 얼마 되지 않는 블록 중 하나로, 도구 없이 캐면 일정 확률로 막대를 드랍한다.
- 미드나이트 나무(Midnight Wood) - 미드나이트 생물군계에서만 나타나는 나무이다. 조합법에서 일반 나무와 교차 불가능하며, 4D 안경의 재료로만 사용된다.
- 모래(Sand) - 사막(스냅샷에서는 바다와 해변 포함)에서 나타나는 블록이다. 특이하게도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철광석(Iron Ore) - Y좌표 51 이하에서만 나타나는 광석으로, 돌 망치 이상의 도구로 채굴할 수 있다.
- 솔레노이드 광석(Solenoid Ore) - Y좌표 35 이하에서만 나타나는 광석으로, 돌 망치 이상의 도구로 채굴할 수 있다. 맥락상 일종의 구리 광석으로 추측된다.
- 치명적인 광석(Deadly Ore) - Y좌표 20 이하에서만 나타나는 광석으로, 철 곡괭이 이상의 도구로 채굴할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로 치면 다이아몬드에 해당하는 위상을 지니나, 발견하기는 더 쉬운 편이다. 이름과 달리 접촉해도 피해를 받지는 않는다.
- 상자(Chest) - 32개의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조합창에서 철괴 3개와 나무 3개로 제작 가능하며, 상자를 연 상태에서도 조합창에 접근할 수 있다.
- 용암(Lava)[3] - 공허를 구성하는 용암과 동일한 텍스처를 가진 블록이다. 히트박스가 없으며, 다른 블록을 놓으면 사라진다. 치트나 모드를 제외하면 평지 월드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상자에서만 얻을 수 있다. 스냅샷 버전의 액체 용암과는 달리 플레이어가 접촉해도 피해를 입지 않는다.
물(Water)- 바다나 오아시스 생물군계에서 찾을 수 있는 액체 블록이다. 4차원이므로 7개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접촉한 개체를 밀어내는 성질 또한 가진다.[스냅샷]용암(Lava)- 화산 생물군계에서 찾을 수 있는 액체 블록이다. 4차원이므로 7개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접촉한 개체에게 피해를 입힌다.[스냅샷]반 블록(Slab)- 잔디, 흙, 돌, 나무, 반고체 암석, 사암, 얼음, 유리, 화산암 등을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건축 블록이다. 일반적인 블록들과 달리 1x0.5x1x1 크기의 직팔포체 형태이다.[스냅샷]표지판(Sign)- 바닥이나 벽에 붙일 수 있는 표지판이다. 4차원 블록의 표면은 3차원이기 때문에 글자를 직접 표기하기 어려우므로 우클릭하여 GUI를 열어야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또한 글자를 적은 이후로도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스냅샷]
3.4. 아이템
도구 등 특수한 아이템을 제외하면, 한 슬롯당 4096개까지 겹칠 수 있다. 블록일 경우 8x8x8x8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양이다.- 막대기(Stick) - 나뭇잎을 맨손으로 부수면 일정 확률로 얻어지는 아이템이다. 재료로서의 기능도 하지만 초반에는 거미를 처치할 수 있는 낮은 데미지의 무기로도 사용된다.
- 바위(Rock) - 흙이나 잔디(미드나이트 흙/잔디 포함)를 막대기로 캐면 얻어진다.
- 하이퍼실크(Hypersilk) - 거미를 처치하면 얻어지는 아이템이다. 돌 망치를 비롯해 일부 도구의 재료로 사용된다.
- 체력 포션(Health Potion) - 거미를 처치하면 일정 확률로 얻어진다. 플레이어의 체력이 100 미만일 때 소비하면 20의 체력이 회복된다.
- 클라인의 병(Klein Bottle) - 체력 포션을 소비하면 얻어지는 아이템으로, 아직 용도가 없다.
- 렌즈(Lens) - 나비를 처치하면 얻어지는 아이템으로, 빨강, 초록, 파랑 버전이 있다. 4D 안경을 제작하려면 3가지 색상의 렌즈가 모두 필요하다.
- 철/솔레노이드/치명적인 주괴(Iron/Solenoid/Deadly Bars) - 광석을 나무와 조합해 얻을 수 있다.
- 4D 안경(4D Glasses) -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단면에 인접한 개체(거미, 나비, 떨어진 아이템, 상자, 조준의 등)들을 플레이어가 위치한 공간상에 투영시켜 보여준다.
- 나침반(Compass) -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단면의 각도와 좌표를 보여준다. 높이(Y)축을 제외하고 보여주므로 4차원 공간은 3차원으로,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단면은 2차원 평면으로 표시된다.
- 조준의(Alidade) - 망원경 비슷한 장치가 달려있는 황동 재질의 기계로, 우클릭으로 월드에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조준의를 우클릭하면 플레이어가 위치한 3차원 공간의 각도가 배치 당시의 각도로 재조정된다.
- 망치(Hammer) - 가장 기초적인 채굴 도구로, 바위와 하이퍼실크, 막대로 조합 가능하다. 대부분의 블록을 채굴할 수 있으나, 최고 티어 광석인 치명적인 광석은 캐지 못한다.
- 철/치명적인 곡괭이(Iron/Deadly Pick) - 돌 망치보다 더 빠르게 블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며, 거미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 울트라헤머(Ultrahammer) - 플레이어가 채굴한 블록으로부터 3x3x3x3 공간 내의 모든 동일한 블록들을 일시에 채굴할 수 있다. 아이템 다수는 플레이어 시야 밖으로도 떨어지므로 솔레노이드 수집기와 같이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솔레노이드 수집기(Solenoid Collector) - 일종의 전자석으로, 우클릭하면 주변 4차원 공간 내의 아이템들을 끌어모은다. 떨어진 아이템들을 모으기 위해 일일히 마우스를 스크롤하며 찾는 수고를 크게 덜어준다.
양동이(Bucket)- 물 또는 용암과 같은 액체를 담거나 월드에 배치할 수 있다.[스냅샷]
3.5. 몹
몹들은 월드 표면이 아닌 월드 최대 고도(Y=128) 부근에서 스폰된 뒤 아래로 떨어진다. 때문에 나무 위나 윗쪽이 뚫린 동굴에서도 몹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참고로 4D 마이너에 추락 대미지는 없다.- 거미(Spider) - 4차원 초거미(Hyperspider)라고도 불리는 몹으로, 플레이어에게 약간의 데미지를 입힌다. 몸통은 정백이십포체이며, 각 다리는 길쭉한 오포체 2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리 개수가 무려 32개에 달한다. 4D 안경으로 볼 경우 정백이십포체 형태로 보인다. 망치 및 기타 도구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아이템인 하이퍼실크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몹이므로 난이도를 쉬움으로 하면 테크 진행에 차질이 발생한다.
- 나비(Butterfly) - 유일한 비행 몹이자 수동적 몹으로, 처치 시 렌즈를 드랍한다. 나비의 날개는 정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해파리(Jellyfish) - 유일한 수중 몹으로, 플레이어가 접촉시 대미지를 입는다. 처치 시 해파리 독이 담긴 클라인의 병을 드랍한다.[스냅샷]
3.6. 생물군계
월드가 4차원인 관계로, 모든 생물군계는 3차원으로 생성된다. 또한 온도/습도차가 큰 생물군계는 절대로 붙어서 생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타이가 옆에 사막이 나타나는 경우는 없다.- 잔디 언덕(Grassy Hills) - 초록색 잔디와 갈색 흙으로 뒤덮힌 생물군계로, 빨간 잎을 가진 나무들이 생성된다.
- 미드나이트(Midnight) - 보라색의 미드나이트 잔디와 파란색 미드나이트 흙으로 뒤덮힌 생물군계로, 미드나이트 나무들이 생성된다.
- 사막(Desert) - 모래로 뒤덮힌 생물군계이다. 미드나이트 생물군계와 인접해서 생성되는 경우가 흔하다.
- 타이가(Snowy Taiga) - 눈으로 뒤덮혔으며, 간혹 얼음이 나타나는 생물군계이다. 가장 나무 밀도가 높다.
- 툰드라(Snowy Tundra) - 타이가와 같이 눈으로 뒤덮힌 생물군계이나, 나무가 생성되지 않는다.
바다(Ocean)- 대량의 물로 구성된 생물군계이다.[스냅샷]오아시스(Oasis)- 사막 생물군계 한가운데서 간혹 나타나는 생물군계로 작은 호수 형태를 가진다. 호수 주변에는 야자수 또한 나타난다.[스냅샷]화산(Volcano)- 화산석으로 뒤덮힌 생물군계로, 용암이 도처에 깔려있어 위험하다.[스냅샷]
4. 팁
- 초반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뭇잎 블록을 부숴 막대를 얻는 일이다. 마인크래프트와 달리 나무 원목이나 흙을 맨손으로 캐는 건 불가능하다.
- 나무 막대로는 흙과 잔디를 부숴 바위 아이템을 얻을 수 있으며, 거미를 처치해 하이퍼실크를 얻을 수 있다.
- 바위와 하이퍼실크, 나무 막대를 모두 얻었다면 조합창에 돌 망치의 레시피가 표시되며 제작이 가능해진다.
- 돌 망치로는 나무 뿐 아니라 치명적인 광석을 제외한 모든 광석의 채굴이 가능하다. 나무와 광석을 얻었다면 해당 광석의 주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 철괴와 막대로 철 곡괭이를 만든 뒤에는 치명적인 광석을 채굴할 수 있다. 치명적인 주괴로는 최상위 티어 아이템들을 제작 가능하다.
- 채굴된 블록에서 떨어진 아이템은 플레이어의 시야 밖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럴 때는 마우스휠 스크롤이나 Shift+Q/E를 통해 플레이어의 3차원 공간을 이동시켜주면 찾을 수 있다.
5. 제3자 컨텐츠
5.1. 모드
4D 마이너에도 비공식 모드로더를 포함해, 다양한 모드들이 존재하며, 심지어 게임 해킹 프로그램도 있다.[13] 그러나 아직 게임 자체의 한계로 인해 블록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직 모드 커뮤니티가 크지 않으며, 커스포지와 같은 모드 플랫폼에서도 지원하지 않으므로 모드 파일은 주로 깃허브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 4DModLoader - 4D 마이너의 비공식 모드로더 및 모드 개발 플랫폼이다. 4D 마이너가 C++ 기반이기 때문에 모드 또한 C++로 개발된다.
- 4D Miner Axes Mod - 더미 데이터로 있는 도끼 아이템을 추가해주는 모드이다. 특이하게도 본 게임의 개발자인 Mashpoe가 개발하였다.
- 4DFly - 플레이어가 비행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모드이다. 4D 마이너에 크리에이티브 모드가 아직 없는 관계로 건축시 유용하다.
6. 여담
- 플레이어가 사망할 경우 화면에 "죽었습니다!" 등의 문구나 사망 메시지가 뜨지 않으며, 단순히 화면이 검게 변한 뒤 마젠타/시안색의 해골만이 나타난다. 또한 리스폰 버튼에 리스폰 대신 다시 시작(Retry...)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특이한 점은 리스폰 후에도 플레이어가 가진 아이템은 그대로 유지된다. 4차원 공간상에서 아이템을 흘릴 경우 되찾기 어렵기 때문에 사망시 아이템을 잃지 않도록 한 것으로 추측된다.
- 본 게임에 따로 지역 제한은 없는 편이나, 독일에서만큼은 스팀에 지역락이 걸렸다 풀렸다를 반복중인 상황이다. 독일 정부에서 미심의 게임들을 규제하는 법안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 4D 마이너에도 머나먼 땅(일명 파랜드)이 존재한다. 월드 원점(XYZW 좌표가 모두 0인 곳)으로부터 수백만 블록 이상을 이동하면 렉이 늘어나며 블록들이 떨리는 것처럼 보이기 시작하는 점은 마인크래프트에서 발생하는 현상과 완전히 동일하다. 지형이 청크 경계에서 부자연스럽고 각지게 생성되는 등 지형이 깨지는 현상도 나타난다. 이렇게 먼 좌표에서는 청크 렌더링 버그로 화면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일이 흔하며, 게임이 충돌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또한 블록의 히트박스가 불안정해져서 쉽게 끼이므로 탐사가 매우 어렵다. 4D 마이너는 X/Z/W 방향으로 모두 청크를 생성하므로 오류 없이 플레이 가능한 구역은 정육면체 형태이다. 아직 4D 마이너에 순간이동 명령어가 없음은 물론 플레이어가 걷거나 뛰는 것보다 빠른 이동수단도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 데이터 파일(players.json)을 수정하거나 모드를 사용해야만 접근 가능하다.
[1] 아직 석탄 등 다른 연료 아이템은 없으며, 미드나이트 나무는 제련에 사용할 수 없다.[2] 구버전에서는 T키를 누를 시 월드 맨 위로 텔레포트되었다.[3] 스냅샷 버전에서는 반고체 암석(Semi-molten Rock)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스냅샷] 데모 버전에는 없으며, 스냅샷 버전에서만 볼 수 있다.[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스냅샷] [13] 이론상 멀티플레이에서 사용시 치트로 간주될 수 있으나, 4D 마이너의 멀티플레이는 개발자를 후원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관계로 이로 인한 문제는 아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