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컬링선수권대회 | ||||
| 2018년 | ← | 2019년 | → | 2021년 |
1. 개요
2019년에 열린 세계선수권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 여기서는 남녀 4인 단체에 대한 내용만 다룬다.여자부 대회에서는 스위스가 우승했다. 투어 랭킹은 상위권을 유지했지만 국가대표로서 제대로 된 타이틀은 없었던 실바나 티린초니가 마침내 세계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다. 스웨덴의 안나 하셀보리 팀은 2년 연속 준우승했고, 동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은 남녀 통틀어 첫 세계선수권 메달이었다. 한편 캐나다는 1999년 이후 20년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남자부 대회에서는 스웨덴이 2년 연속 우승했다.
2.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 2019 세계 여자 컬링 선수권 대회 2019 LGT World Women's Curling Championship | ||
| 장소 | (실케보르 스포츠센터) | |
| 기간 | 2019년 3월 16일 ~ 24일 | |
| 후원 | LGT | |
| 금메달 | | |
| 은메달 | | |
| 동메달 | | |
2.1. 참가 팀
| 진출 자격 | 진출팀 목록 |
| 개최국 | |
| 아메리카 지역 | |
| 2018 유럽선수권[1] | |
| 2018 아시아태평양선수권 | |
| 2019 세계선수권 최종예선 |
| 월드 컬링 투어 랭킹[2] | ||
| 국가(스킵) | 순위 | 포인트 |
| 2위 | 414.259 | |
| 4위 | 382.473 | |
| 6위 | 307.215 | |
| 11위 | 218.129 | |
| 14위 | 200.786 | |
| 26위 | 147.937 | |
| 28위 | 134.55 | |
| 34위 | 123.048 | |
| 36위 | 118.046 | |
| 65위 | 59.901 | |
| 84위 | 48.474 | |
| 134위 | 18.751 | |
| 152위 | 14.526 | |
2.2. 참가 선수 명단
| | | | | |
| [스킵] 김민지 [서드] 김혜린 [세컨드] 양태이 [리드] 김수진 | [스킵] 마델레이네 두폰트 [서드] 데니세 두폰트[4] [세컨드] 줄리 회그 [리드] 리나 크누드센 [핍스] 가브리엘라 크비스트 | [스킵] 다니엘라 옌치[5] [서드] 에미라 아베스 [세컨드] 클라라 헤르미네 폼 [리드] 아날레나 옌치[6] [핍스] 미아 회네 | [스킵] 이베타 스타사 사르수네 [서드] 산타 블룸베르가 [세컨드] 이에바 크루스타 [리드] 에벨리나 바로네 [핍스] 티나 실리나 | [스킵] 알리나 코발레바 [서드] 아나스타샤 브리즈갈로바 [세컨드] 갈리나 아르센키나 [리드] 예카테리나 쿠즈미나 [핍스] 율리아나 바실례바 |
| | | | | |
| [스킵] 제이미 싱클레어 [서드] 새라 앤더슨[8] [세컨드] 테일러 앤더슨[9] [리드] 모니카 워커 [핍스] 비키 퍼싱어 | [스킵] 안나 하셀보리 [서드] 사라 막마누스 [세컨드]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리드] 소피아 마베리스 [핍스] 요안나 헬딘 | [포스] 알리나 패츠 [스킵/서드] 실바나 티린초니 [세컨드] 에스터 노이엔슈반더 [리드] 멜라니 바르베자트 [핍스] 마리사 빙켈하우젠 | [스킵] 소피 잭슨 [서드] 나오미 브라운 [세컨드] 밀리 스미스 [리드] 소피 싱클레어 [핍스] 로렌 그레이 | [포스] 키타자와 이쿠에 [서드] 마츠무라 치아키 [스킵/세컨드] 나카지마 세이나 [리드] 이시고오카 하스미 [핍스] 시미즈 에미 |
| | | | ||
| [포스] 왕루이 [스킵/서드] 메이지에 [세컨드] 야오밍웨 [리드] 마징이 [핍스] 장리쥔 | [스킵] 첼시 캐리 [서드] 새라 윌크스 [세컨드] 데이나 퍼거슨 [리드] 레이첼 브라운 [핍스] 질 오피서 | [스킵] 오나 카우스테 [서드] 에스테르 주하즈 [세컨드] 말랴 살미오비르타 [리드] 로타 이모넨 [핍스] 말료 히피 |
2.3. 예선 라운드로빈
| 순위 | 국가 | 승 | 패 | 승자승 | DSC | 샷 성공률 |
| 1 | 11 | 1 | 22.30 | 85% | ||
| 2 | 9 | 3 | 1-0 | 57.45 | 78% | |
| 3 | 9 | 3 | 0-1 | 35.55 | 83% | |
| 4 | 8 | 4 | 38.22 | 81% | ||
| 5 | 7 | 5 | 41.20 | 80% | ||
| 6 | 6 | 6 | 2-0 | 43.87 | 79% | |
| 7 | 6 | 6 | 1-1 | 50.91 | 76% | |
| 8 | 6 | 6 | 0-2 | 34.95 | 81% | |
| 9 | 5 | 7 | 62.05 | 73% | ||
| 10 | 4 | 8 | 35.64 | 79% | ||
| 11 | 3 | 9 | 1-0 | 64.18 | 76% | |
| 12 | 3 | 9 | 0-1 | 57.01 | 73% | |
| 13 | 1 | 11 | 51.13 | 73% |
2.4. 결선 토너먼트
| 결선 토너먼트 | ||||||
| <colbgcolor=#87ceeb><colcolor=#ffffff> 메달 결정전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 준결승 | | | ||||
| 준준결승 | ↑ | | ↑ | | ||
| 예선 | 1위 | 3위 | 6위 | 2위 | 4위 | 5위 |
| 스웨덴 | 러시아 | 일본 | 대한민국 | 스위스 | 중국 | |
◎ 표시는 후공
- 준준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0 | 2 | 0 | 0 | 1 | 0 | 0 | 0 | X | X | 3 | |
| 0 | 0 | 2 | 4 | 0 | 2 | 1 | 2 | X | X | 11 |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2 | 1 | 0 | 0 | 1 | 0 | 1 | 0 | 0 | 2 | 7 | |
| 0 | 0 | 2 | 1 | 0 | 1 | 0 | 2 | 0 | 0 | 6 | ||
- 준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0 | 1 | 0 | 2 | 0 | 0 | 2 | 0 | 1 | X | 6 | |
| 0 | 0 | 1 | 0 | 1 | 0 | 0 | 1 | 0 | X | 3 |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결과 | |
| ◎ | 0 | 1 | 0 | 0 | 0 | 1 | 0 | 0 | 0 | 1 | 0 | 3 | |
| 1 | 0 | 0 | 1 | 0 | 0 | 0 | 1 | 0 | 0 | 2 | 5 | ||
- 동메달 결정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0 | 0 | 0 | 1 | 1 | 0 | 1 | 0 | 2 | 0 | 5 | ||
| ◎ | 0 | 0 | 1 | 0 | 0 | 2 | 0 | 1 | 0 | 3 | 7 | |
- 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결과 | |
| ◎ | 1 | 0 | 1 | 0 | 2 | 0 | 2 | 0 | 0 | 1 | 0 | 7 | |
| 0 | 1 | 0 | 2 | 0 | 1 | 0 | 2 | 1 | 0 | 1 | 8 | ||
3.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
| 2019 세계 남자 컬링 선수권 대회 2019 Pionner Hi-Bred World Men's Curling Championship | ||
| 장소 | (ENMAX 센터) | |
| 기간 | 2019년 3월 30일 ~ 4월 7일 | |
| 후원 | Pionner Hi-Bred | |
| 금메달 | | |
| 은메달 | | |
| 동메달 | | |
3.1. 참가 팀
| 진출 자격 | 진출팀 목록 |
| 개최국 | |
| 2018 아메리카 챌린지[10] | |
| 2018 유럽선수권[11] | |
| 2018 아시아태평양선수권 | |
| 2019 세계선수권 최종예선 |
| 월드 컬링 투어 랭킹[12] | ||
| 국가(스킵) | 순위 | 포인트 |
| 1위 | 431.406 | |
| 4위 | 355.316 | |
| 5위 | 354.921 | |
| 9위 | 291.162 | |
| 13위 | 242.221 | |
| 21위 | 165.873 | |
| 30위 | 117.489 | |
| 46위 | 91.666 | |
| 49위 | 89.474 | |
| 54위 | 77.239 | |
| 56위 | 74.037 | |
| 74위 | 53.765 | |
| 146위 | 25.565 | |
3.2. 참가 선수 명단
| | | | | |
| [포스] 바우터르 회스헌스 [스킵/서드] 야프 판 도르프 [세컨드] 라우런스 후크만 [리드] 카를로 흘라스베르헌 [핍스] 바르트 클롬프 | [스킵] 망누스 람스펠 [서드] 미카엘 멜렘세테르 [세컨드] 외르겐 뮈란 [리드] 안드레아스 호르스타 [핍스] 스테펜 발스타 | [스킵] 김수혁 [서드] 이정재 [세컨드] 황현준 [리드] 정병진 [핍스] 이동형 | [스킵] 마르크 무스카테비츠 [서드] 다니엘 노이너 [세컨드] 리안 셰라트 [리드] 도미닉 그레인들 [핍스] 베니 캅 | [스킵] 세르게이 글루호프 [서드] 아르투르 알리 [세컨드] 드미트리 미로노프 [리드] 안톤 칼랄프 [핍스] 예브게니 클리모프 |
| | | | | |
| [스킵] 존 슈스터 [서드] 크리스 플라이스 [세컨드] 맷 해밀턴 [리드] 존 랜즈타이너 [핍스] 코리 드롭킨 | [스킵] 니클라스 에딘 [서드] 오스카르 에릭손 [세컨드] 라스무스 브라노 [리드]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핍스] 다니엘 망누손 | [포스] 브누아 슈바르츠 [서드] 스벤 미셸 [스킵/세컨드] 피터 드 크루즈 [리드] 발렌틴 타너 [핍스] 클라우디오 패츠 | [스킵] 브루스 모왓 [서드] 그랜트 하디 [세컨드] 바비 래미 [리드] 해미 맥밀런 주니어 [핍스] 로스 화이트 | [스킵] 조엘 레토르나 [서드] 아모스 모사네르 [세컨드] 세바스티아노 아르만 [리드] 시모네 고닌 [핍스] 알베르토 핌피니 |
| | | | ||
| [스킵] 마츠무라 유타 [서드] 시미즈 테츠로 [세컨드] 타니다 야스마사 [리드] 아베 신야 [핍스] 아이타 코스케 | [스킵] 쩌우창 [서드] 왕즈위 [세컨드] 샤오즈린 [리드] 쉬징타오 [핍스] 바더신 | [스킵] 케빈 쿠이 [서드] B.J. 뉴펠드 [세컨드] 콜튼 플래시 [리드] 벤 허버트 [핍스] 테드 어펠먼 |
3.3. 예선 라운드로빈
| 순위 | 국가 | 승 | 패 | 승자승 | DSC | 샷 성공률 |
| 1 | 11 | 1 | 15.46 | 89% | ||
| 2 | 9 | 3 | 1-1 | 22.95 | 88% | |
| 3 | 9 | 3 | 1-1 | 30.92 | 87% | |
| 4 | 9 | 3 | 1-1 | 36.60 | 86% | |
| 5 | 8 | 4 | 1-0 | 35.60 | 87% | |
| 6 | 8 | 4 | 0-1 | 18.72 | 87% | |
| 7 | 7 | 5 | 30.03 | 83% | ||
| 8 | 4 | 8 | 2-0 | 38.24 | 76% | |
| 9 | 4 | 8 | 1-1 | 26.65 | 81% | |
| 10 | 4 | 8 | 0-2 | 35.47 | 83% | |
| 11 | 2 | 10 | 1-0 | 29.96 | 81% | |
| 12 | 2 | 10 | 0-1 | 54.19 | 76% | |
| 13 | 1 | 11 | 38.69 | 78% |
3.4. 결선 토너먼트
| 결선 토너먼트 | ||||||
| <colbgcolor=#87ceeb><colcolor=#ffffff> 메달 결정전 | 결승 | 동메달 결정전 | ||||
| 준결승 | | | ||||
| 준준결승 | ↑ | | ↑ | | ||
| 예선 | 1위 | 4위 | 5위 | 2위 | 3위 | 6위 |
| 스웨덴 | 일본 | 미국 | 스위스 | 캐나다 | 스코틀랜드 | |
◎ 표시는 후공
- 준준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결과 | |
| ◎ | 2 | 0 | 0 | 2 | 0 | 0 | 1 | 0 | 1 | 0 | 1 | 7 | |
| 0 | 1 | 1 | 0 | 1 | 1 | 0 | 0 | 0 | 2 | 0 | 6 |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2 | 0 | 2 | 0 | 0 | 0 | 1 | 0 | 1 | 0 | 6 | |
| 0 | 1 | 0 | 2 | 0 | 0 | 1 | 0 | 1 | 0 | 5 | ||
- 준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2 | 0 | 0 | 3 | 0 | 0 | 2 | 1 | X | X | 8 | |
| 0 | 1 | 0 | 0 | 0 | 1 | 0 | 0 | X | X | 2 | ||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결과 | |
| 0 | 0 | 1 | 0 | 1 | 0 | 0 | 2 | 0 | 1 | 0 | 5 | ||
| ◎ | 0 | 2 | 0 | 0 | 0 | 1 | 0 | 0 | 2 | 0 | 1 | 6 | |
- 동메달 결정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0 | 0 | 0 | 3 | 0 | 1 | 0 | 0 | 0 | X | 4 | ||
| ◎ | 0 | 0 | 1 | 0 | 1 | 0 | 4 | 1 | 1 | X | 8 | |
- 결승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결과 | |
| ◎ | 0 | 0 | 0 | 1 | 0 | 1 | 0 | 2 | 3 | X | 7 | |
| 0 | 0 | 1 | 0 | 1 | 0 | 0 | 0 | 0 | X | 2 | ||
[1] 2018 세계선수권에서 이탈리아가 꼴찌를 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페널티로 유럽 지역 참가팀은 8팀에서 7팀으로 줄었고, 덴마크가 개최국으로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며 최종 6팀이 됐다.[2] 세계선수권 개최 직전 기준[3] 춘천시청 컬링팀[4] 마델레이네 두폰트의 언니[5] 아날레나 옌치의 언니[6] 다니엘라 옌치의 동생[7] 중부전력 컬링팀[8] 테일러 앤더슨과 쌍둥이 자매[9] 새라 앤더슨과 쌍둥이 자매[10] 2018년 11월 개최[11] 2018 세계선수권에서 독일이 꼴찌를 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페널티로 유럽 지역 참가팀은 8팀에서 7팀으로 줄었다.[12] 세계선수권 개최 직전 기준[13] 서울시청 컬링팀[14]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컬링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