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0:49:49

제102기갑여단

102기갑여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102보병여단의 전신(前身)에 대한 내용은 제102보병여단(제8군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수도포병여단
I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II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III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V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VII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1방공여단
항공사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특전사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1기갑여단 제2기갑여단 제3기갑여단 제5기갑여단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30기갑여단 제102기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제102기갑여단
第102機甲旅團
The 102nd Armored Brigade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위풍당당 정예기갑 동해선봉 일출부대
창설일 1955년 X월 XX일(제36보병사단 제57보병연대)
1988년 6월 1일(제102보병여단)
2008년 10월 1일(제102기갑여단)
상징명칭 일출(日出)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3군단
규모 여단
역할 제3군단 기갑 지원
여단장 준장 김대봉(육사 50기)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충용대(여단본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일출대], 고성군 토성면[설악대]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3.2. 제33전차대대 풍호3.3. 제58전차대대 불사조3.4. 제131기계화보병대대 충마3.5. 제536포병대대 일출선봉
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훈련5.3. 여단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제102기갑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다섯 번째 독립 기갑여단으로서[4] 2007년 12월 1일 창설되었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23년 5월 1일, 제8군단이 해체함으로써 이에 따라 제3군단에 흡수되었다.

2. 상세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양양군 일대에 주둔하고 있으며, 사령부는 양양군 손양면 간리에 있다.

과거 보병여단 시절에는 해안 경계[5]를 담당했던 부대였다. 2007년 이후로 기갑여단으로 개편되면서 수많은 K-1 전차를 필두로 하는 영동 최대의 기계화 부대가 되었다.

1988년 6월 1일 강원도 삼척에서 36사단 57연대[6]를 모체로 제102보병여단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일출대 자리에는 동해안경비사령부(동경사)가 위치해 있었다. 이후 제68보병사단이 완편 후 제23보병사단으로 전환되면서[7] 부대 이동 후 강릉 이남 지역의 해안경계를 도맡고, 제102보병여단이 양양 지역과 속초 일부의 해안 경계를 담당했다. 국방개혁 2020의 첫 타겟으로 선정되면서 2007년 9월 1일부로 해안 경계 임무를 22사단과 23사단에게 넘기고 2007년 12월 1일 기갑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제2차 한국전쟁 발발 시 동해안으로 밀고 들어올 인민군 전차부대를 막기 위한 여단이다.

여담으로 본래 일출대 자리는 동해안경비사령부(동경사)로 출발했기 때문에 일출대에는 별도의 사서함을 가진 우체국이 있다. 또한 동해안경비사령부는 현재 7군단의 모태가 된 부대이다.

3. 예하부대

제102기갑여단은 예하 2개의 전차대대와 1개의 기계화보병대대, 1개의 포병대대, 그리고 여러 직할대들로 편제되어 있다. 전투근무지원대대는 일반 예하부대가 아닌 직할부대로 직할부대중 유일한 대대급 이상 부대이다.

제102기갑여단의 부대 주둔지는 크게 세 곳으로 나뉜다. 기존에는 일출대와 설악대 두 곳이었는데 2023년 5월 8군단이 해체되며 2023년 6월부터 충용대 부지도 여단 주둔지에 추가되었다.
  • 충용대(양양군 손양면)[8] : 여단본부 본청[9], 본부(근무)대, 정보통신대, 화생방중대, 기갑수색중대[10], 전투근무지원대대 대대본부, 전투근무지원대대 본부중대[해체], 전투근무지원대대 보급수송중대, 전투근무지원대대 의무중대
  • 일출대(양양군 강현면)[12]: 제536포병대대, 방공대, 정보중대, 여단교육대[13]
  • 설악대(고성군 토성면)[14]: 전투근무지원대대 일반정비중대[15], 제33전차대대, 제58전차대대, 제131기계화보병대대
  • 기타: 공병대[16]

5분전투대기부대(오대기) 담당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충용대 - 기갑수색중대
  • 일출대 - 제536포병대대
  • 설악대 - 제131기계화보병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33전차대대 풍호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전차대대 제3전차대대 제5전차대대 제6전차대대 제7전차대대 제8전차대대
파일:육군기계화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육군기계화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제61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9전차대대 제11전차대대 제12전차대대 제15전차대대 제16전차대대 제17전차대대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0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8전차대대 제19전차대대 제21전차대대 제22전차대대 제26전차대대 제28전차대대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0기계화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29전차대대 제32전차대대 제33전차대대 제35전차대대 제36전차대대 제37전차대대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38전차대대 제39전차대대 제51전차대대 제52전차대대 제53전차대대 제55전차대대
파일:9여단.jp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6전차대대 제57전차대대 제58전차대대 제59전차대대 제80전차대대 제81전차대대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83전차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K1E1 운용.

1986년 창설 당시 포항 송라면 조사리에 위치한 제2야전군[30]직할 전차대대였다. 장비는 M47이었다.

이후 제50보병사단 예하 전차대대로 전환되었다가 102기갑여단 개편•창설 당시 여단 예하로 예속전환되어 설악대로 이주하였다. 50사단 예하 시절 M-48A2C를 굴렸던 최후의 가솔린엔진 탑재 전차를 운용한 부대였으며, 2007년 겨울 마지막 해안 전차포 사격을 끝으로 장비교체를 진행했다. 당시 사격훈련은 플래툰 지에도 소개가 되었다.
설악대(고성 토성면)에 위치.

3.3. 제58전차대대 불사조

K1E1 운용.

8군단 직할 전차대대였다가[31]102기갑여단 개편으로 배속되었다.

설악대(고성 토성면)에 위치.

3.4. 제131기계화보병대대 충마

구 제36보병사단 제57보병연대 제2대대
제102보병여단 제2대대[32]

K200A1운용

설악대(고성 토성면)에 위치.

3.5. 제536포병대대 일출선봉

K55A1 운용

예하대대 중 유일하게 양양군에 위치해 있다.

일출대(양양 강현면)에 위치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102기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호승 예) 준장 여단장
14대 백홍식 예) 준장 육사 36기 여단장
15대 김보선 예) 준장 육사 39기 여단장
16대 김태훈 예) 대령 여단장
17대 박신원 예) 소장 학군 24기[33] 여단장 제37보병사단
18대 유영찬 예)준장 학군 25기[34] 여단장 육군기계화학교 교육여단장
19대 최진규 예)중장 학사 9기 여단장 수도군단
20대 황영술 예)대령 육사 44기 여단장
21대 이진우 중장 육사 48기 여단장 수도방위사령관
22대 표창수 소장 육사 47기 여단장 보병학교
23대 주강식 준장 육사 47기 여단장 제5기갑여단[35]
24대 문기수 준장 육사 49기 육군기계화학교 독일육사출신 [36]
25대 김대봉 준장 육사 50기 여단장 前 국방부 방위정책차장

4.2. 장교/부사관

4.3.

제102보병여단 시절에 복무.
  • 강태율 - 야구선수[37]
  • 송덕호 - 배우
  • 이기창 - 배우
  • 이상엽 - 배우
  • 이완 - 배우
    김태희 동생으로 유명한 그 이완이다. 상무대 교육 후 제102기갑여단으로 자대배치될 예정이었으나 막바지에 연예병사로 차출됐다.
  • 한경빈 - 야구선수
    2020년도 입대하였으나 복무 중 의가사 제대
동헌송덕호는 같은 입대 날짜에 같은 훈련소 출신(제12보병사단/신병교육대)이며 같은 예하 대대로 자대 배치 받았다.

5. 기타

5.1. 근무환경

제8군단이 2023년 6월 해체함으로써 102기갑여단 본부가 옛 8군단 사령부 부지인 '충용대'로 이전했다. 양양군 손양면 간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교통이 매우 편하고[38] 인근에 서피비치 등 관광명소가 있다. 매년 가을에 시행하는 송이축제, 38선 돌파[39] 행사에 군부대 부스지원을 나가고 있다.

일출대(속초공항)는 양양군 강현면 장산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인근에 물치항과 물치해수욕장이 있어서 피서객 주로 서핑을 즐기러 오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강현면사무소가 자리해있어 소규모의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단 위병소기준으로 차를 타고 약 20분 정도 가면 속초시내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택시는 잘 잡히는 편이다. 부대 바로 옆에 제515항공대대가 있어 소음이 심한 편이다. 강풍도 많이 부는 편. 속초 시내버스(주로 9번)가 자주다니기는 하는데,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동해대로 위에 있는지라 걸어가기에는 조금많이 멀다.

설악대는 미시령 아래 깊은 산속인 고성군(강원도) 토성면 신평리에 위치한 데다, 인적이 드문 곳에 있다. 동해상사고속에서 운행하는 버스가 하루에 5회에 그치고, 근처에 이름난 지형지물그나마 알려진게 세계잼버리장 정도이 있는 것도 아니라서 면회객들이 부대위치를 몰라서 굉장히 애를 먹는다. 거기에다 속초에 있는 버스 터미널(속초시외버스터미널, 속초고속버스터미널)로 가려면 부대인 설악대 위치가 고성에 위치한 관계로 시작부터 시외 할증이 붙어버리기에 택시비도 2만 원 가까이 나오기에 동기들끼리 4인 파티 꾸려서 외박이나 휴가나가기에는 그럭저럭 괜찮지만 혼자 이용하면 금액부담이 매우 큰 편이다. 그래도 부대 앞 편의점이 있는 것이 큰 위안이다.

여름을 제외한 계절은 심할 땐 태풍 이상으로 강한 바람이 자주 분다. 주둔지에도 바람이 너무 불어서 실외 기자재들이 날아가곤 하는데, 특히나 부대 건물들의 지붕은 남색 기와로 마감되어있어 정말 심하게 불면 이 기와들도 떨어져나가기 때문에 실외 활동 시 어지간 하면 방탄모 착용하고 가라는 방송이 밥먹듯 나온다.죽기 싫으면 곱게 방탄쓰고 나가자 실제로 기와가 바람에 날려 건물 주변의 간부 자가차량이 파손된 사례가 꽤 있는 편이다. 조립식 판넬로 된 야외 창고 지붕에 환풍기가 있지만 바람 때문에 날아가 없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문 열어 놓으면 알아서 환기 된다.

5.2. 훈련

기본적으로 FTX는 기계화장비를 타고 다닌다.

단 11월쯤에 숙영기간이 무려 3주에 달하는 호국 훈련과 공지 합동 훈련의 존재로 인해 훈련에서 마냥 편한 부대는 아니다.

5.3. 여단가

동해의 푸른파도 태백에 넘쳐 태양도 새역사의 문을 열도다
천지를 진동하는 힘찬 기백은 끓는피 충정되어 나를 부르네
아아아 우리는 조국의 방패 동해의 선봉이다 102기갑여단

-102기갑여단가 (2020년 일부가사 개정)

제102보병여단 창설 시절 만들어진 노래라 현재 102기갑여단하고는 괴리감이 꽤 있다.[40] 창설 당시엔 부대가 삼척에 위치해있는 해안경계부대였기 때문.

6. 사건사고

7. 여담

2009~2010년도 당시 33전차대대 병영식당 옆에 설치되어 있던 노래방 컨테이너가 간밤에 바람에 휩쓸려 탄약고 방향 낭떠러지 펜스에 걸쳐 굴러 떨어 질 뻔 했다. 그리하여 노래방과 플스방은 막사 뒷편으로 이전했다.[41] 마찬가지로 연병장의 축구 골대는 자고 일어나면 굴러가서 1~3종 창고로 향하는 일이 잦아 결국엔 골대에 두툼한 말뚝을 박아 고정시켰었다.

설악대 위치가 산 중턱에 있다보니 눈이 오면 상당히 많이온다. 막사 지붕의 기와에서 쓸려 내려와 쌓인 눈은 건물 2층에서 사람이 뛰어 내려도 푹 박히는 정도이다. 기업은행 ATM기기 딱 하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일출대는 속초비행장 활주로를 따라 세워진 것이 특징으로 주둔지가 옆으로 긴 모양이다. 그리고 하루에도 여러 번씩 헬기가 날아다니고 그 소리가 작지 않기 때문에특히 새벽부터 아침에는 무조건, 야간 비행이라도 하면 잠자는 장병들이 고통받는다.

최근 국방뉴스에서 102기갑여단이 "동시통합훈련"이라는 이름하에 러시아의 탱크 바이애슬론을 모방한 훈련을 진행했는데, K1E1으로 러시아 전차들마냥 점프를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일출대와 충용대 사이 양양읍에는 제3공병여단 제136공병대대[42]가 위치하고 있다. 가끔 여단이랑 교류하는 모양이다.

22사단 28전차대대(고성군 토성면 학야리)와 같이 훈련하거나 훈련 협조를 구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

국방TV에서 3부작으로 일출부대에 관한 영상이 방영되었다.





[충용대(여단본부)] [일출대] [설악대] [4] 6번째는 같은 군단 예하의 제20기갑여단이며, 7번째는 제30기갑여단이다.[5] 원래는 22사단의 후위 방어를 맡는 예비부대였으나, 1996년과 1998년의 무장공비 침투를 계기로 양양 지역의 해안경계를 추가로 맡게 되었다.[6] 1998년 12월에 창설된 구 23사단 57연대랑은 다르다.[7] 인구 급감으로 인한 문재인 정부 국방개혁 2.0 정책으로 제23경비여단으로 개편되었다.[8]제8군단 사령부 부지이며, 2023년 6월 이후, 102기갑여단 본부와 각종 직할대 부지로 쓰이고 있다. 본부대와 정보통신대는 서로 붙어있어(같은 막사 건물은 아님)(구 8군단 본부대 막사) 식당을 공유하고, 화생방중대 막사(구 8군단 군사경찰대 막사)와 기갑수색중대 막사(구 148정보대대 막사)도 계단만 오르내리면 바로 오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깝기에 이들 역시 식당을 공유한다. 전투근무지원대대 막사 건물(구 108정보통신단 막사)과 여단 본청 건물(구 8군단 본청)은 본래 군단 본청이라 여단급 치고는 규모가 크다보니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여담으로 충용대 안에는 3군단 직할인 103정보통신단의 일부 부대와 수많은 작은 국직부대들도 같이 얹혀살고 있다.[9] 지휘부★, 인사참모처❁❁, 정보참모처❁❁, 작전참모처❁❁, 군수참모처❁❁, 화력참모처❁❁, 감찰부❁, 정훈부❁, 군종부◆◆◆로 구성.[10] 충용대 내 유일한 전투부대이다.[해체] [12] 제102기갑여단 사령부가 제8군단 해체 후 충용대 부지를 쓰게 되기 전까지 소재하던 주둔지이다. 영내에 제13항공단 제515항공대대 및 국방부 직할 드론부대, 타 부대의 공중 및 지상정찰중대 등이 함께 있으며 근처에 제303경비단 등이 있다. 현재 방공대와 정보중대, 여단교육대는 같은 막사 건물을 사용 중이다.[13] 여단교육대는 인사참모처 소속이다. 교육대장은 장교가 아닌 상사~원사가 맡으며, 여단 군기교육대인 '미소담캠프'도 이에 포함됨.[14] 전근대 정비중대는 제33전차대대 막사 3층에 얹혀 사는 중이다. 기갑수색중대도 똑같이 33전차 막사 3층에 얹혀살다가 2023년 6월 이후로 새로운 여단사령부전용 주둔지(충용대) 경계를 주목적으로 충용대로 이전하였다.[15] 전투근무지원대대 예하부대 중 유일하게 따로 떨어져 주둔하고 있다.[16] 설악대 근처 인흥리 화암사길에 독립주둔. 사실상 설악대랑 같이 엮여서 취급된다.[충용대] [18] 약칭 전근대이며, 102보병여단 의무실을 모체로 한다.[19] 운영과, 지원통제과, 본부중대[충용대](폐지), 보급수송중대[충용대], 의무중대[충용대], 일반정비중대[설악대](구 전근대 정비근무대. 일반정비소대 + 궤도정비소대.)로 구성되어있다.[20] 방공대, 정보중대와 같은 막사를 사용하다가 군단 예하 포병대대 해체 부지로 부대 이전을 하여 약 2개월 가량의 막사 리모델링 기간동안 컨테이너 생활을 하다가 막사 리모델링이 완료되고 현재 신막사를 사용 중이다. 부대 주둔지에는 강풍이 많이 부는 편이라 제대로 서있는 나무가 적고, 거의 다 휘어있다.[독립주둔] [충용대] [23] 구 제882방공중대[일출대] [25] 구 제102보병여단 (제69)전차중대로서(102기갑여단 기갑수색은 102보병여단 수색중대의 후신이 아님.), 고성 설악대에서 제102기갑여단 본부(옛 8군단 사령부) 충용대로 이전하였음. '해룡'을 상징하는 흉장을 달고 다님.[충용대] [충용대] [28] 구 기갑수색중대 지상감시소대. 2021년 11월 1일 정보중대로 개편 및 창설되었다.[일출대] [30]제2작전사령부[31] 따라서 131기보대대나 33전차대대와 달리 아주 오래 전부터 현 설악대에 자리잡고 있었고 그에 따라 막사나 시설도 낡은 편이다.[32] 당시엔 일출대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기보대대로 개편된 이후 설악대로 이전하였다.[33] 대구대학교[34] 경희대학교[35] 과거에 131기계화보병대대장으로 복무한 경력이 있다.[36] 독일 육군사관학교(Preußische Hauptkadettenanstalt)는 1873년에 독일 육군군관학교로 첫 설립되어 1882년 독일 육군사관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으며, 이후 1994년에 폐교 조치 처분될 때까지 모두 121년 역사를 남긴 사관학교이다.[37] 복무 당시에는 개명 전이였다. 강동관[38]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양양국제공항, 양양읍내가 있으며 터미널도 금방 간다.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 또한 훌륭하다.물론 고속도로는 교통체증이 엄청나고, 양양공항은 사실상 폐항상태긴 하다.[39] 국군이 인천상륙작전 성공 후 1950년 10월 1일 최초로 38선을 돌파한 곳이 바로 양양군이며 이것을 기념한 것이 국군의 날이다. 그 주인공은 3사단 23연대 3대대[40] 지금은 딱히 '동해'나 '태백', '일출'과는 큰 관련이 없다. '동해의 선봉'인 부대라고 보기도 어렵다.[41] 현재 플스방은 사라졌다.[42] 구 8군단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