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에이 특촬물 슈트 액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bgcolor=white,#191919> 나카야시키 테츠야 | 이토 마코토 | 에이토쿠 | 오카모토 지로 |
와타나베 준 | 타카이와 세이지 | 후지타 사토시 | 오카다 카즈야 | |
나카타 유지 | 나와타 유야 | 칸자키 하지메 | 츠카고시 야스나리 | |
토미나가 켄지 | 니이보리 카즈오 | 오노 유우키 | 이마이 야스히코 | |
하루타 쥰이치 | 후쿠자와 히로후미 | 오시카와 요시후미 | 아사이 코스케 | |
오카다 료지 | 야베 케이조 | 미즈타니 타케시 | 나가세 나오키 | |
하시모토 케이코 | 시라이 마사시 | 고미 료코 | 오카다 마사루 | |
나카무라 분야 | 야마구치 타케히사 | 카와라자키 히로시 | 나카무라 유 | |
이와이 준이치 | 카라사와 토시아키 | 오구라 토시히로 | 카네다 신이치 | |
타카다 마사시 | 요코야마 카즈토시 | 이토 노리히토 | 히토미 사나에 | |
사토 다이스케 | 타케우치 야스히로 | 카네코 타츠야 | 츠쿠이 미나미 | |
후지이 유고 | 후지타 요헤이 | 우치카와 지로 | 노베 다이치 | |
아즈마 케이스케 | 카지 코타로 | 사노 나츠미 | 테라모토 쇼고 | |
이와카미 히로카즈 | 아라카와 마코토 | 마츠오카 코헤이 | 아키야마 토모히코 | |
마에다 히로시 | 마크 무사시 | 이토 시게키 | 코모리 타쿠마 | |
사카에 단키 | 하치스카 유이치 | 쿠사노 신스케 | 츠타무네 마사토 | |
이시이 야스아키 | 모리가미 다이스케 | 아리조노 케이고 | 카타오카 츠루타로 | |
아다치 나츠미 | 타카사키 모모카 | 모리 히로츠구 | 미야자와 유키 | |
오오하시 아키라 | 요시다 미즈호 | 스나오시 유미 | 히노 아야코 | |
와타나베 토모타카 | 이가라시 무츠미 | 하야시모토 나나 | 이시가키 히로후미 | |
우사미 스즈카 | 카와시마 쇼타로 | 시모조노 아유미 | 요네오카 타카히로 | |
이시이 야스아키 | 사이토 켄야 | 오오바야시 마사루 | 카미오 나오코 | |
콘도 유타 | 키타무라 카이 | 쿠사카 히데아키 | 사카나시 유메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후쿠자와 히로후미 [ruby(福沢, ruby=ふくざわ)][ruby(博文, ruby=ひろふみ)] | Fukuzawa Hirofumi | |
출생 | 1970년 2월 7일 ([age(1970-02-07)]세) |
나가노현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활동기간 | 1988년 ~ |
신체 | 180cm, 265mm, A형, B102cm, W86cm, H96cm |
직업 | 슈트 액터, 배우, 액션 감독 |
장르 | TV드라마, 영화, 무대 |
가족 | 아내 카미오 나오코[1] |
소속사 | 레드 엔터테인먼트 딜리버 |
링크 | 프로필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전 슈트 액터, 현 액션 감독. 제2의 니이보리 카즈오라 불릴 만큼 2000년대에 들어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주로 레드를 많이 맡아왔다.[2]2012년 신작 특명전대 고버스터즈부터는 액션 감독을 맡게 되었다. 이 때문에 더 이상 슈트 액터로서의 활동은 없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3] 이를 의식해서인지 고카이저 최종화 스폰서 화면에서는 그가 마지막으로 연기한 배역으로 고카이 레드가 레드 버스터와 바톤터치를 하는 장면이 독특하게 표현된다. 간단한 연출[4]이지만 그야말로 간지폭풍.
그리고, 극장판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에서 아바레드의 슈트 액션을 맡았고, 동물전대 쥬오우저 28~29화에서 해적전대 고카이저 모두가 특별 출연하면서 오랜만에 고카이 레드로 돌아왔다. 텐 고카이저[5]에서도 고카이 레드 역할을 맡으면서 5년 만에 슈트 액터로 복귀하였다.
여담으로 슈트를 입었을 때 넓은 어깨와 날렵한 역삼각형 체형이 돋보이며 다른 슈트 액터들에 비해 키가 큰 편이다.
2. 출연작
2.1. 슈퍼전대 시리즈
- 초수전대 라이브맨 - 짐머
-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울러 병사
- 지구전대 파이브맨 - 바츨러 병사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용성왕[A]
- 초력전대 오레인저 - 머신수, 오 레드[A]
- 격주전대 카레인저 - 부장 젤모더, 레드 레이서[A], 폭주황제 에그조스, 노리시론-12
- 성수전대 긴가맨 - 검장 부드, 어둠의 상인 비즈니라[A], 긴가 레드[A]
- 구급전대 고고파이브 - 야수남작 코볼다, 고 레드[A]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가오 레드, 가오 머슬, 가오 헌터[12]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VS 슈퍼전대 - 긴가 블루[13]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허리켄 레드, 굉뢰신, 요스케의 아르바이트 동료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아바 레드, 키라오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데카 레드, 데카 베이스 로보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마지 그린,[14] 마지 킹, 천공성자 루나젤, 5무신 타이탄(메인)
- 굉굉전대 보우켄저 - 보우켄 레드, 다이탄켄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 게키 레드
- 염신전대 고온저 - 고온 레드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신켄 레드
- 천장전대 고세이저 - 고세이 블루
- 해적전대 고카이저 - 고카이 레드
-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 - 아바 레드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10 YEARS AFTER - 데카 레드
- 동물전대 쥬오우저 - 고카이 레드[15]
- 세이버 + 젠카이저 슈퍼 히어로 전기 - 고카이 레드[16]
- 텐 고카이저 - 고카이 레드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20TH 파이어볼 부스터 - 데카 레드, 네오 데카 베이스 경비원[17]
- 폭상전대 분붐저 - 고온 레드
2.2.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쿠우가 - 그론기 괴인(메인)
- 가면라이더 555 - 가면라이더 파이즈(대역)
- 가면라이더 카부토 - 젝트루퍼
- 가면라이더 키바 - 재생 팡가이아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신켄 레드, 가면라이더 파이즈, 가면라이더 카부토 라이더 폼, 버팔로 로드
2.3. 울트라 시리즈
- 울트라맨 가이아 - 울트라맨 가이아(대역)
- 울트라맨 맥스 - 울트라맨 맥스(대역)
- 대결전! 초 울트라 8형제 - 울트라맨 가이아
2.4. 메탈히어로 시리즈
- B-로보 카부타크 - 스파이돈 슈퍼모드
2.5. 액션 감독[18]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수전전대 쿄류저
- 열차전대 토큐저
- 수리검전대 닌닌저
- 동물전대 쥬오우저
- 우주전대 큐레인저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 기계전대 젠카이저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가면라이더 갓챠드
[1]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마지막 편에서도 시시 카케루의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신혼부부로도 나온다. 그 무렵에 결혼한 듯.[2] 실제로도 후쿠자와는 니이보리가 대표이사 사장으로 있는 레드 액션 딜리버리 소속이다. 실질적인 제자라 봐도 무방할 듯.[3] 후속작 수전전대 쿄류저부터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까지 역시 액션 감독으로 참가했기 때문에 이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4] 고카이 레드가 레드 버스터와 터치...를 하는 줄 알았는데 얼굴에 죽빵을 날리고 바로 레드 버스터가 이를 막아낸다. 제 갈길 가면서 퇴장하는 고카이 레드의 뒷모습에 90도로 인사하고 바이크에 탄다.[5] 해적전대 고카이저 방영 당시의 레귤러 슈트 액터 모두가 재집결하였다.[A] 대역[A] 대역[A] 대역[A] 대역[A] 대역[A] 대역[12] 최종화에 시시 카케루가 운영하는 동물병원에 손님으로 등장. 아내인 카미오 나오코와 같이 출연함.[13] 본 작품에서만 담당했다.[14] 그동안 맡던 레드 포지션은 아니지만 캐릭터의 속성이 마지레인저의 리더 포지션이다.[15] 슈트 액터에서 액션 감독으로 전향한 후 4년 만에 슈트 액터로 돌아왔다.[16] 젠카이저 공식 트위터에 의하면 서비스로 고카이 체인지했다고 한다. 자세히 보면 슈트핏이 고카이저 본편 시절의 고카이 레드의 핏인 것을 볼 수 있다.고시키다 카이토와 조크스 골드츠이카의 배우와 함께 사진도 찍었다.[17] 카메오 출연[18] 특촬작품만을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