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황화집 중 가장 오래된 1457년작 세조의 황화집 3책의 모습
1. 개요
皇華集. 조선시대 명나라의 사신과 조선의 원접사(遠接使)가 서로 주고 받은 시들을 합철하여 만든 국가 시문집. 현재 한국에는 20여종 이상의 황화집이 현존하고 있다.2. 내용
책 이름은 시경(詩經)의 구절인 황황자화(皇皇者華)에서 따온 것으로, 1450년(세종 32)부터 1633년(인조 11)까지 180여 년간 24차례에 걸쳐 명나라의 사신이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조선 관원과 함께 황화집이란 이름으로 양국 간의 시집을 만든 것이다.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천하의 주인이 되자 명나라 때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사신이 양국을 오갔으나 서로 시를 주고받는 일은 없었고 황화집도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았다.명나라 사신과의 이러한 수창은 원활한 국교 유지에 크게 기여했으며, 조선의 높은 문화 수준을 과시하여 중국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황화집은 조선의 능수능란한 ‘문화 외교’를 보여주는 문헌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황화집은 아래와 같다.
3. 세종대의 황화집
세종경오황화집(世宗庚午皇華集) 혹은 경태경오황화집(景泰庚午皇華集)이라 불린다.1450년(세종 32) 경오년(庚午年)에 명나라 경제(景帝)의 등극조서(登極詔書)를 가지고 온 예겸(倪謙)과 사마순(司馬恂) 등이 한국의 정인지(鄭麟趾), 신숙주(申叔舟), 성삼문(成三問) 등과 교류하며 만든 시집이다.
한국에서 만들어진 최초의 황화집인데 현재 원본은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이 당시 중국 사신이었던 예겸(倪謙)이 이때 만들어진 황화집의 일부 시문을 중국으로 가져가 만들었던 봉사조선창화시권이 2004년 보물로 지정되었고, 2019년 국보 승격을 앞두고 있다.국립중앙박물관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 『황화집』의 모범이 된 《봉사조선창화시권》
4. 세조 명편 황화집
1457년(세조 3)에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세조가 직접 명편한 황화집이다. 우리나라에서 역대 2번째로 만들어진 황화집이며, 동시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황화집이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명나라 사신이 조선에 온 것은 1450년(세종32) 명나라 대종황제(代宗皇帝)의 등극(登極) 조서를 반포하러 온 것을 시작으로 1633년(인조11)까지 180여 년간 모두 24차례가 있었다. 《황화집(皇華集)》은 그 때마다 개별적으로 만들어 전하여 왔는데 이 책은 그 두 번째 사행(使行)으로 1457년(세조3)에 명나라 영종황제(英宗皇帝)의 복위(復位) 조서를 반포하러 온 명나라 사신과 이를 맞은 조선의 관료들이 서로 주고받은 시를 세조가 직접 편집한 것이다.
갑인자로 간행하였으며 수록된 시는 당대 양국의 외교관 및 학문이 높은 문관들이 외교관계 속에서 읊은 것들이다. 그러므로 그 기법과 수준이 높고 당시의 외교관계와 사상을 엿볼 수 있으며 양국간의 정치․외교․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 풍속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책에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당시 중국에서 온 사신 중에는 고윤(高閏)이란 자가 있었는데 원래부터 중국 사신들이 오만한 것은 유명한 사실이지만 특히 이 사람은 문장도 좋지 않았을 뿐 아니라 뇌물을 좋아하는 등 처신도 그리 적절치 못했다. 특히 뇌물을 매우 좋아하면서도 겉으로는 그런 물건을 전혀 받지 않는다는 듯이 행동해서 양국의 인물들이 모두 얄미워했다고 한다.
그러던 중 다른 선물은 모두 거절하며 체면치례하던 고윤이 세조가 전별 선물로 검(劍)을 주자 그것에 감사하는 내용의 시를 지어서 바쳤다. 세조는 옳다구나 하고는 이 황화집에 고윤의 사검시(謝劍詩)를 냅다 실어버렸다. 그동안 자신이 모든 선물을 거절하면서 청렴결백한 척했던 것이 완전히 물거품이 된 것이다. 이 책이 양국의 문사들에게 널리 읽혀 고윤의 거짓 청렴이 조국에까지 다 드러나게 생겼는데 당시 조선의 왕이었던 세조가 직접 명편한 것이라 항의도 못하게 생겨 고윤은 파들파들 떨었고 양국의 문사들이 낄낄거렸다고 한다.중앙일보 : 도검(刀劍), 거짓과 청렴을 가려내다
현재 고려대 도서관 귀중본 컬렉션에 원본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원본을 목판으로 찍은 후쇄본이 경매에 나온 적이 있다.#
5. 율곡 이이의 황화집
1582년(선조15) 황태자 탄생 소식을 전하기 위해 파견된 명나라 사신 황홍헌(黃洪憲), 왕경민(王敬民)과 한국의 율곡 이이가 제작한 황화집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희귀본 : 조선 문화 외교의 기록《황화집》을 참조.6. 영조대의 황화집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선 후 황화집 제작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후대의 왕이었던 영조는 과거 개별적으로 전해 오던 황화집을 모두 모아 하나의 책으로 만들라는 명을 내리게 된다.이에 1773년에 50권 25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완성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만들어진 황화집의 총집편이라 할 수 있으며, 한국을 넘어 중국의 사대부들까지 이 책을 구하려 애썼다. 따라서 이 책은 양국간의 외교·정치·문화의 교류와 조선 전기의 지리·풍속 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현재 50권 25책 전권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