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0:47:28

호주흑기흉상어

호주흑기흉상어(호주흑단상어)
Australian Blacktip Shark
파일:호주흑기흉상어.jpg
학명 Carcharhinus tilstoni
Whitley, 1950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흉상어과(Carcharhinidae)
흉상어속(Carcharhinus)
호주흑기흉상어(C. tilstoni)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사진 출처:영어 위키백과

흉상어목 흉상어과 흉상어속에 속하는 상어.

2. 특징

몸길이 1.5m~1.8m로 상어에서는 작은 편이다. 전체적으로 위쪽은 청동색을 띄고 아랫쪽은 흰색, 옆구리에는 줄무늬가 있는게 특징이다. 일반적인 흑기흉상어와 비슷하지만 척추뼈의 수가 다르며 제1등지느러미가 매우 크고 제2등지느러미가 작으며 제2등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의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호주흑기흉상어는 지느러미 끝부분이 선명히 검은색인 흑기흉상어와 달리 검은색의 경계가 흐릿한 편이다. 먹이로는 주둥치, 살벤자리, 고등어목, 멸치, 꽁치, 청어 등의 어류들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주로 잡아먹는다.

호주 북부 태평양에서 주로 서식한다. 수심 50~150m의 자갈로 이루어져있는 조간대가 호주흑기흉상어의 주된 서식 수심이다. 산란기는 2월~3월으로 이는 남반구인 호주에서는 여름, 가을인 시기에 산란기가 되며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암컷을 두고 경쟁하기도 한다. 산란기에 수컷의 수정을 받은 암컷은 약 10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이듬해인 1월에 1~6마리의 유어를 출산하게 된다. 암컷과 수컷은 모두 태어난지 3~4년으로 성장했을 때 성적으로 성숙한다.

식용으로도 널리 쓰이며 호주에서 플레이크(flake)라는 고기가 이 호주흑기흉상어의 고기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