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약리학|약리학 Pharmacology ]]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1976D2><colcolor=#fff> 총론 | 약력학 (용량-반응 관계 · 작용제 · 길항제) · 약동학 (초회 통과 효과 · 생체이용률 · 생체 내 변환 · 청소율 · 약물 상호 작용) | ||
신경계 | 콜린성 약물 | 콜린에스터분해효소 억제제 · 콜린작용제 · 콜린길항제 | ||
아드레날린성 약물 | 알파 작용제 · 알파 차단제 · 베타 작용제 · 베타 차단제 | |||
중추신경계 약물 | 항불안제 · 항우울제 · 항경련제 · 항정신병제 · 전신마취제 · 수면제 | |||
기타 | 진통제 (NSAID · 마약성 진통제) · 국소마취제 | |||
심혈관계 | 혈압약 · 항혈전제 · 이뇨제 · 고지혈증 치료제 | |||
항미생물 |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 항진균제 · 항기생충제 | |||
그 외 | 항암제 · 당뇨병 치료제 · 피임약 · 양성자 펌프 억제제 · 항히스타민제 · 반수치사량 | }}}}}}}}} |
|
최초의 현대적 항불안제, 피셔 월리스 연구소의 밀타운® (1955)[1] |
1. 개요
Anxiolytic / 抗不安劑불안을 줄여주는 약물로, 불안장애 및 기타 신경증에서의 불안, 긴장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경안정제라고도 한다.
2. 종류
2.1. 벤조디아제핀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GABA의 작용을 강화한다. 강력하고도 빠른 진정 효과가 있지만 그만큼 중독성에 주의해야 한다. 자세한 기전과 종류는 벤조디아제핀 참고.- 미다졸람(Midazolam)
- 알프라졸람(Alprazolam)
- 로라제팜(Lorazepam)
- 디아제팜(Diazepam)
2.2. 바르비투르산
벤조디아제핀과 유사하게 GABA 수용체에 결합하여 GABA의 작용을 강화한다. 자세한 기전과 종류는 바르비투르산 참고.- 아모바르비탈(Amobarbital)
-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2.3. 항우울제
다수의 항우울제가 항불안제로 쓰일 수 있다. 불안장애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불안제의 예시로는 다음이 있다.- 파록세틴(Paroxetine): SSRI
- 에스시탈로프람(Escitalopram): SSRI
- 둘록세틴(Duloxetine): SNRI
- 벤라팍신 · 데스벤라팍신(Venlafaxine · Desvenlafaxine): SNRI
2.4. 기타
- 부스피론(Buspirone): 세로토닌 5-HT1A 수용체 작용제. 벤조디아제핀과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 과도한 효과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나, 부스피론의 경우 합께 섭취할 수 있다.
- 히드록시진(Hydroxyzine): 항히스타민제
3. 관련 문서
[1] Carbamate 계열 항불안제인 Meprobamate이다. 참고로 Carbamate는 살충제와 같은 독극물(!)로도 쓰이며 아래 벤조디아제핀, 바르비투르산, 항우울제와는 다른 계통이다. 한때 미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널리 쓰이는 항불안제로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결국에는 오남용 문제로 인해 70년대 내외로 벤조디아제핀에게 자리를 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