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2 17:07:54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통번역대학/일본어통번역학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
{{{#002D56,#8d704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8d704f
역사(임원) 학부 재단
대학원 상징
학풍(사회 진출) 학사제도
출신 인물
입학 이야깃거리 사건사고
교통 역동전 HIMUN
외대어학원 FLEX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2D56>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흰색 엠블럼.svg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통번역학과
韓國外國語大學校 日本語通飜譯學科
HUFS Department of Japan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
출범1980년: 학과 설립
2007년: 일본어통번역학과 개편
전공 언어일본어
주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어문학관 221-1호
학과장박민영 (학술박사)
전화번호유선: 031)330-4234
FAX: 031)330-4310
링크일본어통번역학과 홈페이지
舊 홈페이지
일본어통번역학과 제43대 비대위 ありあけ 인스타그램
1. 연혁 및 개요2. 상세 설명
2.1. 1학년2.2. 2학년2.3. 3학년2.4. 4학년2.5. 커리큘럼의 유기적 관계2.6. 전공학점 이수 합계
3. 학회4. 이야깃거리

1. 연혁 및 개요

Department of Japanes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1980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외국어학부 일본어과
1982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어문대학 일본어과
1987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동양어문대학 일본어과
1989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동양학대학 일본어과
2003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아시아아프리카대학 일본어과
2007한국외국어대학교 용인캠퍼스 통번역대학 일본어통번역학과
2010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통번역대학 일본어통번역학과
2014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 일본어통번역학과 (본분교 통합)
2023신입생 모집 중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통번역학과에서는 1학년 때부터 일본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토대로 회화, 청해, 작문, 강독(독해)의 전문화된 집중 강의를 통하여 일본어의 능력을 키워 일어학(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사회언어학, 고전문법), 일문학(고전시가, 고전소설, 현대시, 현대소설), 일본학(사회, 문화, 역사, 지리)을 두루 섭렵하는 한편, 강도 높은 일본어 통번역 훈련 과정을 통해 전공 교과과정의 차별화를 꾀함으로써 일본 관련 연구와 한일 교류를 선도할 차세대 일본 전문가의 양성에 궁극적 목표를 두고 있다.

2022년 양 캠퍼스 중복학과 통폐합 논의를 거쳐 2023학년도부터 신입생 모집이 중지되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전자규정집 제4편 제2장 학사행정 4-2-38 외국어계열 유사학과(부) 구조조정에 관한 규정을 참고. 학과에 남은 재학생은 이전 졸업생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졸업까지 글로벌 캠퍼스에서 수업을 받고, 입학한 학과가 표기된 학위증을 받고 졸업할 예정이다.

2. 상세 설명

통번역대학 내 그나마 커리큘럼이 느슨한 편에 속하는 학과이지만 그래도 빡세다. 한일 교류 협력 이후 일본 쪽의 소설과 드라마, 애니메이션이 들어와 한국에서의 일본 문화의 유행이 식지 않고 있다 보니 입학 전부터 일본어를 구사할 줄 아는 신입생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한 번도 일본어를 배우지 않은 초급자들은 타과에 비해 경쟁 상대와의 실력 차가 어마 무시하게 심하다. 게다가 교수들의 분위기 자체도 "가나부터 차근차근 알려주자."가 아니라 "이 정도는 알고 있겠지."의 마인드로 수업을 하시기 때문에, 일본어통번역학과 합격생들 중 생초보자들은 합격 발표 직후부터 입학 직전까지 가나와 기본 한자 정도는 떼고 오는 게 이롭다. 그러나 이것도 일본어통번역학과 커리큘럼에 1년 내지 2년 사이에 난도질당하면 어느 정도 실력이 급격하게 늘며, 정말 성실한 초급자는 빠르면 2학년부터 상급자들과 대등해질 수 있다. 그러니 처음 일본어를 배우는 초급자 학생들은 너무 위축되지 말고 꾸준히 참고 견디다 보면 어느샌가 상급자들과 비등한 실력을 갖추게 된 것을 볼 수 있으니 노력해 보자.

다음에 설명하는 과목명들은 2021년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기에 해가 가며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

2.1. 1학년

커리큘럼은 1학년부터 무자비하다. 전필과목이 5개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주당 시간에 맞는 학점을 준다는 점이 다른 학과에 비해 위안 삼아야 될 점.

1학년 전공필수과목 (5개) 일본어독해연습, 일본어강독연습, 기초회화연습, 일본어듣기연습, 기초작문연습. 주당 2학점 2시간씩 총 10시간 10학점. 이 5세트는 한 학기가 아니라 1년 동안 들어야 한다. 따라서 2학기에도 반드시 '~연습(2)'라고 되어 있는 과목까지 이수를 해야 한다. 졸업 전에 이 전공필수 과목들을 이수하지 않으면 당연히 졸업이 불가능하니 유념해야 한다.
  • 일본어강독연습 (주 1회 2시간 2학점 / 한국인 교수): 교재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의 '현대일본어첫걸음'을 사용한다. 독해연습과 교재를 공유한다. 1학년이 끝날 때까지 45과를 배우게 되며, 보통 한 주에 1과씩 나간다. 강독연습이 홀수 과, 독해연습이 짝수 과 진도를 나간다. 일본어를 어느 정도 배워온 신입생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분들이 보면 대체로 평이하다 혹은 쉽다...라고 하지만 일본어를 아예 배우지 않은 신입생들은 들어오자마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같은 거는 가르쳐주지 않고 바로 수업을 진행한다. 어찌어찌 한 과, 두 과 나가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새에 어느 정도 실력이 느는 걸 느낀다고 한다.
  • 일본어독해연습 (주 1회 2시간 2학점 / 한국인 교수): 강독연습과 교재를 공유한다. 위의 수업과 비슷하나 짝수 과 진도를 나간다.
  • 기초회화연습 (주 1회 2시간 2학점 / 원어민 교수) : 원어민 교수님 수업이며, 교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의 '초급일본어회화'를 사용한다. 모든 수업은 원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초심자는 첫 주 수업에 들어가자마자 멘붕에 빠질 수 있다. 다행히 일본어통번역학과 수업을 하시는 원어민 교수님들은 어느 정도 한국어를 구사하실 줄 아시며, 일본인다운 친절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는 정말 못 알아들을 때나 쓰시며, 전부 일본어로 수업하신다. 정말 첫 달은 일본어 처음 배우는 친구들에겐 말도 안 되게 힘든 시간이다.
  • 일본어듣기연습 (주 1회 2시간 2학점 / 한국인 교수) : 교재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의 '일본어듣기첫걸음'을 사용한다. 한국인 교수님 수업이지만, 일본어를 처음 배우는 신입생들은 듣기에 익숙지 않아 헤맬 수도 있다. 그나마 다른 수업들에 비해 공부 강도가 낮은 편. 미리 배울 과를 예습하고 해석해두면 (다른 수업도 마찬가지겠지만) 멍 때리며 시간 보내지는 않을 것이다.
  • 기초작문연습 (주 1회 2시간 2학점 / 한국인 교수) : 교재로는 시사일본어사의 '일본어작문테크닉'을 사용하며, 1학년 전필 과목의 끝판왕이다. 14년도까지 절대평가였음에도 불구하고, D주에 갇힌 고학번분들이 많이 계시다. 오히려 상대평가가 된 15년부터 A, B를 더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소문까지 들린다. 매주 작문 과제가 나가며 교수님마다 다르지만 평가 기준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여러모로 고역이다. 교재 역시 다른 책들에 비해 불친절해서 더욱 초급자에겐 고통스러운 수업이다. 15학년도가 돼서 교재가 바뀌고 나서 교재 내용이 좀 쉬워진 면도 한몫한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힘든 수업이다. (낙제 후 재수강하는) 선배들의 비율이 타 전필들에 비해 높은 과목이다.

1학년 전선 과목은 1학기에 일본문화의이해, 2학기에 일본역사와지리가 개설된다. 전선이라 꼭 이수하지 않아도 졸업에는 영향이 없지만, 통대 졸업 시 이수 전공 학점 최소 조건(70학점)을 안정적으로 충족하고 싶으면 미리 들어놓는 게 이롭다. 내용 자체도 별로 어렵지 않으니 들어보면 재미있다.
  • 일본문화의이해 (주 1회 2시간 2학점)
    일본 문화에 관한 내용들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 일본역사와지리 (주 1회 2시간 2학점)
    일본사와 일본 지리에 관한 내용들을 공부하는 과목이다. 일본이라는 나라에 평소 관심을 잘 갖지 않았던 학생들은 일본 문화에 비해 생소하다고 느낄 수 있고, 일본어덕후 + 역사덕후 + 지리덕후 조합의 끝판왕 과목이라 이들에게 지지 않으려면 열심히 들어야 한다.

1학년 1학기를 무자비하게 털리고 나면, 2학기부터는 그래도 초급자들도 조금씩은 알아듣고 이해하는 정도가 된다. 여전히 실력차는 나지만 어느정도 홀로서기가 가능해진다.

2.2. 2학년

2학년부터 일본어원서독해, 원서강독, 중급일본어회화가 전공필수이며 이때부턴 일본어 상급자들도 급격하게 높아진 수업 난이도에 허덕이는 수준이다. 초급자들은 어렵사리 1학년을 끝내고 2학년에 돌입했더니 다시 1학년 1학기로 돌아간 기분이 들 정도의 체감 난이도를 다시 한 번 경험하게 된다. 저희한테 왜 그러세요.. 1학년과 2학년 사이의 난이도 차이가 엄청나게 심한데 1학년 때 이것은 책상입니다 수준부터 간단한 문장을 쓰고 말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배운다면 2학년이 되면 갑자기 소설과 비문학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JLPT N5~N3 수준을 배우다가 N1까지 한 번에 뛰어 오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후술할 과목들도 모두 2학점씩이며, '1년'이라고 적힌 과목은 (1), (2)를 한 학기씩 나누어 1년간 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 일본어원서강독(1년, 전필)
  • 일본어원서독해(1년, 전필)
  • 중급일본어회화(1년, 전필)
  • 일본어통번역입문(1년, 전선)
  • 중급일본어작문(1년, 전선)
  • 현대일본어표현활용(1학기, 전선)
  • 현대일본어문법(2학기, 전선)

2.3. 3학년

3학년에는 전공필수가 확실히 적어지고, 4학년에는 전공필수가 아예 없어지지만, 졸업요건을 충족하려면 일어과 내의 전공과목들을 필히 이수해야 한다. 일본어 음운론, 고전문법, 고전&근대 문학, 한일&일한 통역과 번역, 문학번역, 일본학, 일본어학, 시사강독[1], FLEX 일본어, 영상미디어번역,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글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실용일본어회화(1학기, 전필)
  • 시사일본어회화(2학기, 전필)
  • FLEX일본어(1년, 이하 전선)
  • 시사일본어원서강독(1년)
  • 일한번역연습(1학기)
  • 일본근대문학사(1학기)
  • 일본어논리및논술(1학기)
  • 일본어어휘론(1학기)
  • 한일번역연습(2학기)
  • 일본고전문학사(2학기)
  • 캡스톤디자인일본어실습[2](2학기)
  • 일본어고전문법(2학기)

2.4. 4학년


* 일본학특강(1년)
  • 일한순차통역연습(1학기)
  • 일본고전문학의이해(1학기)
  • 일본어비즈니스글쓰기(1학기)
  • 일본어시사번역(1학기)
  • 일본어음운론(1학기)
  • 일본어학의이해(1학기)
  • 한일순차통역연습(2학기)
  • 일본근현대문학번역연습(2학기)
  • 일본어문법론(2학기)
  • 일본어비즈니스프리젠테이션(2학기)
  • 일본어영상미디어번역(2학기)
  • 일본의언어와사회(2학기)

2.5. 커리큘럼의 유기적 관계

영역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강독·독해 일본어강독연습(1) 일본어강독연습(2) 일본어원서강독(1) 일본어원서강독(2) 시사일본어원서강독(1) 시사일본어원서강독(2)
일본어독해연습(1) 일본어독해연습(2) 일본어원서독해(1) 일본어원서독해(2) FLEX일본어(1) FLEX일본어(2)
청해 일본어듣기연습(1) 일본어듣기연습(2)
회화 기초회화연습(1) 기초회화연습(2) 중급일본어회화(1) 중급일본어회화(2) 실용일본어회화 시사일본어회화 일본어비즈니스글쓰기 일본어비즈니스프리젠테이션
작문 기초작문연습(1) 기초작문연습(2) 중급일본어작문(1) 중급일본어작문(2) 일본어논리및논술 캡스톤디자인일본어실습
통번역 일본어통번역입문(1) 일본어통번역입문(2) 일한번역연습 한일번역연습 일한순차통역연습 한일순차통역연습
일본어시사번역 일본어영상미디어번역
일본문학 일본근대문학사 일본고전문학사 일본고전문학의이해 일본근현대문학번역연습
일본어학 현대일본어표현활용 현대일본어문법 일본어어휘론 일본어고전문법 일본어학의이해 일본어문법론
일본어음운론 일본의언어와사회
일본지역학 일본문화의이해 일본역사와지리 일본학특강(1) 일본학특강(2)

2.6. 전공학점 이수 합계

통번역대학 졸업학점 요건(2021년 기준)
이수구분 영역별 최소 이수학점 졸업학점 합계
제1전공 이중전공 부전공 교양 기타[3]
이중전공 70 42 - 32 6 150
부전공 - 21 27
전공심화 + 부전공 78 19
전공심화 - 40

일본어통번역학과 학점 이수 기준표(2021년 기준)
전공필수 전공선택 비고
1학년 20 4
2학년 12 12
3학년 4 24
4학년 - 28
36 68
필수 이수 34 전공심화 X
42 전공심화 O

위 계산을 보면 일본어통번역학과는 전필, 전선을 아울러 모든 전공이 도합 104학점이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 학회

  • 히아토 (연극학회) : 일본어 원어로 연극을 하는 학회다.
  • 코다마 (음악연주학회) : 일본 노래를 밴드 구성으로 하여 공연하는 학회다.
  • 야리토리 (더빙학회) : 일본 애니메이션 성우들의 목소리를 본인들의 목소리로 바꾸어 더빙하는 학회다. 원래는 일본 영상물을 감상하는 학회였다가 2013년부터 바뀌었다.
  • 36.5 (학술학회) : 위의 세 공연학회와는 다르게 일본어 회화, 듣기, 독해 등 일본어 공인어학시험(JLPT, JPT) 공부에 중점을 둔 학회다. 쉽게 말해 스터디 모임 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

4. 이야깃거리

  • 동문으로는 박진국(일본어과[4] 86학번) 한국마사회 서울지역본부장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매년 담당하는 교수가 시사와 전혀 상관없는 용의자 X의 헌신, 101번째 프로포즈 같은 소설을 다루고 있다. 해당 교수가 연구년으로 자리를 비워 강사가 대신 수업하는 학기에만 진짜 시사 내용으로 수업을 한다.[2] 원래의 이름은 '멀티미디어활용일본어 1'이었으나 2022년 2학기부터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수업은 담당하는 교수가 정해져 있어서 해당 교수가 연구년으로 자리를 비우면 개설이 되지 않으니 듣고 싶은 사람은 미루지 말고 개설되어 있을 때 들어야 한다.[3] 전공, 부전공, 교양, 자유선택 등 아무걸로나 채우면 된다.[4] 일본어통번역학과로의 학사 개편 이전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