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4:00:09

피뻡

파일:nagas.png 동남아시아·남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남아시아
팔부신중(가루다 · 가릉빈가 · 간다르바(건달파) · 야크샤(야차) · 마후라가 · 아수라) · 나가 · 락샤사 · 마카라 · 아이라바타 · 아프사라 · 인더스 웜 · 키르티무카 · 킨나라 · 오돈토티라누스 · 베타라 · 기리메칼라 · 무흐노츠와 · 아 바오 아 쿠 · 자타유 · 카마데누 · 바나스파티 · 케시 · 웃차이쉬라바 · 샤바라 · 샤야마 · 벵고마 · 얄리 · 피샤차 · 바나라
동남아시아
랑다 · 머라이언 · 말레이시아의 정령들 · 맘바바랑 · 매낙 · 바롱 · 바쿠난와 · 발발 · 비휴 · 시레나 · 산텔모 · 싱하 · 왁왁 · 에켁 · 피뻡 · 카프리 · 틱발랑 · 푸고 · 페난가란 · 아훌 · 오랑펜덱 · 크라슈 · 태국 물 코끼리 · 시그 빈 · 쿠마 카톡 · 안따보가 · 콩 코이 · 피프라이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특징
2.1. 빙의
3. 학문적 해석4. 분류5. 여담

1. 개요

피뻡(ผีปอบ)[1]태국의 민속 신앙의 대표적인 신적 존재로 치명적인 악귀이다. 공포 영화 등에 자주 등장하고 유령의집에도 포함된다. 특히 태국 북동부 지역의 민속신앙에서는 인간과 동물의 생고기와 내장 등을 먹는 것으로 서술된다. 피뻡은 전생에 남녀 무관 무당이나 흑마술사, 오컬트의식을 행하던 사람이다. 피뻡은 생전에 무당 혹은 주술사였기 때문에 주술 능력을 쓸 수 있다. 또는 이싼어[2]로 'Kalam'이라고 불리는 금기를 위반하는 사람도 내세에 피뻡이 될 수 있다.

불교 전설에서 피뻡은 상급 요괴이다. 때로는 오리과 같은 작은 동물을 죽이고 때로는 물소와 같은 대형 동물도 죽일 수 있다. 피뻡은 이 동물들을 날고기로 먹는데, 이렇게 날고기를 섭취할 때에는 폭식, 우울함, 비범한 능력을 보인다.

2. 특징

피뻡의 특징으로는 날고기를 아무리 먹어도 배부름을 느끼지 않는 것이 있다. 피뻡은 사람을 상처가 없이 잠자다가 죽게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라이 따이'라고 부른다. 피뻡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사람에게 빙의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이싼에서는 특히 피뻡을 쫓기 위해 강황을 사용한다. 무당이 강황 줄기로 빙의된 사람을 때리거나 몸에 문질러서 쫓아내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귀신 쫓기 용으로 판매한다.

영화에서는 피뻡의 강한 능력을 표현하기 위해 검고 기다란 손톱을 가지고 사람 몸을 칼처럼 찌를 수 있다는 설정을 더하곤 한다.

2.1. 빙의

피뻡은 음식을 먹기 위해 사람 몸에 빙의한다. 피뻡은 사람에게 빙의하여 그 몸이나 외모로 악행을 행할 수 있다. 피뻡이 들어가면 몸이 창백해지고 날씬해질 때까지 스스로의 간, 신장, 내장을 먹어치워 죽는 경우도 있다고 믿는다. 피뻡에 빙의된 사람은 낮에는 쓰러져 자다가 밤에만 활동하는 형태, 폭력적으로 변하는 형태, 계속 우는 형태 등의 행동을 한다.

예전에 촌충과 십이지장충에 걸린 사람들이 많은 마을에는 피뻡이 존재한다고 믿었다. 촌충과 십이지장충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인 복통 ,두통, 피부발진 등도 피뻡에 빙의된 탓이라고 여겼다.

3. 학문적 해석

인류학에서 피뻡은 공동체 내에서 결속을 추구하는 메커니즘의 일종으로 설명된다. 이상한 행동을 하는 낯선 사람을 '피뻡에게 빙의되었다.'고 몰아붙여서 마을에서 영원히 추방하는 등에 사용된 것이다. 그중에는 같은 면적에서 농사 수확량을 2배까지 생산하는 농부도 해당된다. 주술로 수확량을 조절했다는 의심을 받는다. 혹은 몸이 아픈 환자도 의심대상이 된다.

마을 내에서 돌연사로 사망하는 주민이 계속해서 나오는 경우 마을주민들이 돈을 걷어서 대략 40만 원 남짓한 금액으로 승려와 주술사를 초빙하여 퇴마의식을 치를 수 있다. 이때 마을의 출입 통로를 동서남북으로 모두 트랙터와 트럭 등으로 봉쇄한 뒤, 모든 주민들을 마을회관 같은 장소에 모아놓고 의식을 행한다. 시앙콩이라는 대나무 2개와 붉은 비단천, 물고기를 담는 대나무 바구니를 조합한 인형을 이용해서 귀신을 불러내고, 숨어있는 피뻡을 찾아내는 데 이용한다. 피뻡에 빙의된 사람에게 주문을 읊고 시앙콩 흔들기, 성수를 머리와 등에 뿌리기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압박한 뒤 이름과 언제부터 빙의를 했는지 따위를 물어본다. 피뻡이 몸을 포기하고 떠나가겠다고 하면 머리 쪽에 왼손으로는 대나무통, 오른손으로는 비단 부적을 대고 부적으로 피뻡의 혼을 쓸어담아 통에 옮긴 뒤, 부적으로 대나무통의 머리를 덮고, 싸이신으로 묶어서 봉인한다.

기타 마을에 흩어진 피뻡들은 씨앙콩으로 다른신을 불러서 위치를 찾도록 도움을 받는다. 시앙콩을 들고 신에 빙의된 사람이 숨어있는 피뻡을 찾으면 보통 그 자리에 쓰러지고, 퇴마사가 피뻡을 봉인하는 작업을 계속 한다. 마을의 모든 피뻡을 봉인한 뒤 아궁이나 화로에 대나무통을 집어넣어서 태워서 소멸시킨다.

피뻡을 소멸시키는 방법은 항아리에 담고 부적과 싸이신으로 봉인한 뒤 땅에 묻어서 말려 죽이거나 대나무통에 봉인해서 태우는 2가지가 있는데 이싼 지역에서는 태우는 방법을 많이 행한다.

4. 분류

피뻡은 4종류로 나뉜다.
  • 일반 피뻡: 빙의된 몸이 죽으면 그 몸에 빙의한 피뻡도 죽는다.
  • 대물림된 피뻡: 빙의가 대물림되어 이어진 경우이다. 숙주가 죽을 때 자손에게로 빙의가 반드시 넘어간다. 이러한 피뻡은 사람의 내장을 먹기를 즐기지만 인간사회에서 살며 들키지 않기 위해 동물의 내장을 먹기도 한다.
  • 제3피뻡: 교활하며 사람을 속이는 피뻡이다.
  • 꾹꾹이: 벙어리처럼 행동하며 물을 때에만 대답한다.

5. 여담



[1] 피(ผี)는 귀신, 유령 전반을 칭하는 단어이다.[2] 태국의 북동부 이싼 지방에서 사용되는 언어로서, 타이 표준어보다 라오어에 더 가까운 언어이다. 20세기 이전에는 태국문자가 아닌 라오문자로 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