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절 문자의 계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 ||||||||||
| 이집트 상형 문자 | 신관문자 | 민중문자 | 메로이트 문자 | ||||||||
| 원시 시나이 문자 | 우가리트 문자 | ||||||||||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 사마리아 문자 | |||||||||
| 아람 문자 | 카로슈티 문자 | ||||||||||
| 브라흐미 문자 | 바티프롤루 문자 | 칸나다 문자 | |||||||||
| 텔루구 문자 | |||||||||||
| 팔라바 문자 | |||||||||||
| 참 문자 | |||||||||||
| 그란타 문자 | 싱할라 문자 | ||||||||||
| 말라얄람 문자 | |||||||||||
| 타밀 문자 | |||||||||||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아리야카 문자 | |||||||||
| 라오 문자 | |||||||||||
| 카위 문자 | 발리 문자 | ||||||||||
| 순다 문자 | |||||||||||
| 자바 문자 | |||||||||||
| 바이바이인 문자 | |||||||||||
| 버마 문자 | |||||||||||
| 굽타 문자 | 실담 | 나가리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 | |||||||
| 모디 문자 | |||||||||||
| 구자라트 문자 | |||||||||||
| 난디나가리 문자 | |||||||||||
| 카이티 문자 | |||||||||||
| 가우디 문자 | 벵골-아삼 문자 | ||||||||||
| 오리야 문자 | |||||||||||
| 네팔 문자 | 란자나 문자 | 소욤보 | |||||||||
| 티베트 문자 | 파스파 문자 | ||||||||||
| 타나 문자 | |||||||||||
| 시리아 문자 | 나바테아 문자 | 아랍 문자 | 타나 문자 | ||||||||
| 페르시아 문자 | 소라니 문자 | ||||||||||
| 자위 문자 | |||||||||||
| 응코 문자 | |||||||||||
| 아들람 문자 | |||||||||||
| 소그드 문자 | 돌궐 문자 | 로바시 문자 | |||||||||
| 위구르 문자 | 몽골 문자 | 만주 문자 | |||||||||
| 팔라비 문자 | 아베스타 문자 | ||||||||||
| 히브리 문자 | |||||||||||
| 팔미라 문자 | |||||||||||
| 만다야 문자 | |||||||||||
| 그리스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 로마자 | 체로키 문자 | ||||||||
| 오세이지 문자 | |||||||||||
| 프레이저 문자 | |||||||||||
| 데저렛 문자 | |||||||||||
| 홋착 문자 | |||||||||||
| 룬 문자 | |||||||||||
| 오검 문자 | |||||||||||
| 콥트 문자 | |||||||||||
| 고트 문자 | |||||||||||
| 아르메니아 문자 | |||||||||||
| 조지아 문자 | |||||||||||
| 글라골 문자 | |||||||||||
| 키릴 문자 | 아부르 문자 | ||||||||||
|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 티피나그 문자 | ||||||||||
|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 |||||||||||
| 남아랍 문자 | 그으즈 문자 | ||||||||||
| 고대 북아랍 문자 | |||||||||||
|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 | ||||||||||
1. 개요
리수어를 적을 때 사용되는 문자이다. 문자의 이름은 리수어를 적기 위해 이 문자를 도입한 선교사 제임스 프레이저(James O. Fraser)의 이름에서 따왔다. 참고로 이 문자는 대소문자 구분이 없으며, 일반적인 알파벳이 뒤집어진 형태이다 보니 거꾸로 적을 때도 종종 쓰는 것으로 추정된다.로마자 중에 Q만 프레이저 문자에 닮은꼴 문자가 없다.
2. 문자
| 자음 | ꓾ | , | ꓿ | . | ||||||
| ꓐ | b | ꓑ | p | ꓒ | pʰ | 모음 | ||||
| ꓓ | d | ꓔ | t | ꓕ | tʰ | ꓮ | ɑ | ꓯ | ɛ | |
| ꓖ | g | ꓗ | k | ꓘ | kʰ | ꓰ | e | ꓱ | ø | |
| ꓙ | dʑ | ꓚ | tɕ | ꓛ | tɕʰ | ꓲ | i | ꓳ | o | |
| ꓜ | dz | ꓝ | ts | ꓞ | tsʰ | ꓴ | u | ꓵ | y | |
| ꓟ | m | ꓠ | n | ꓡ | l | ꓶ | ɯ | ꓷ | ə | |
| ꓢ | s | ꓣ | ʒ | ꓤ | z | 성조[1] | ||||
| ꓥ | ŋ | ꓦ | h | ꓧ | x | ꓸ | ˦ | ꓹ | ˩˥ | |
| ꓨ | ɦ | ꓩ | f | ꓪ | w | ꓺ | ˧ˀ | ꓻ | ˧ˀ | |
| ꓫ | ɕ | ꓬ | ʑ | ꓭ | ɣɑ | ꓼ | ˥˩ˀ | ꓽ | ˥˩ | |
3. 유니코드
| U+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A4D0 | ꓐ | ꓑ | ꓒ | ꓓ | ꓔ | ꓕ | ꓖ | ꓗ | ꓘ | ꓙ | ꓚ | ꓛ | ꓜ | ꓝ | ꓞ | ꓟ | 
| A4E0 | ꓠ | ꓡ | ꓢ | ꓣ | ꓤ | ꓥ | ꓦ | ꓧ | ꓨ | ꓩ | ꓪ | ꓫ | ꓬ | ꓭ | ꓮ | ꓯ | 
| A4F0 | ꓰ | ꓱ | ꓲ | ꓳ | ꓴ | ꓵ | ꓶ | ꓷ | ꓸ | ꓹ | ꓺ | ꓻ | ꓼ | ꓽ | ꓾ | ꓿ | 
[1] 기호가 붙지 않을 경우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