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절 문자의 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 |||||||||
이집트 상형 문자 | 신관문자 | 민중문자 | 메로이트 문자 | |||||||
원시 시나이 문자 | 우가리트 문자 |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 사마리아 문자 | ||||||||
아람 문자 | 카로슈티 문자 | |||||||||
브라흐미 문자 | 바티프롤루 문자 | 칸나다 문자 | ||||||||
텔루구 문자 | ||||||||||
팔라바 문자 | ||||||||||
참 문자 | ||||||||||
그란타 문자 | 싱할라 문자 | |||||||||
말라얄람 문자 | ||||||||||
타밀 문자 |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
라오 문자 | ||||||||||
카위 문자 | 발리 문자 | |||||||||
순다 문자 | ||||||||||
자바 문자 | ||||||||||
바이바이인 문자 | ||||||||||
버마 문자 | ||||||||||
굽타 문자 | 실담 | 나가리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캐나다 원주민 음절문자 | ||||||
모디 문자 | ||||||||||
구자라트 문자 | ||||||||||
난디나가리 문자 | ||||||||||
카이티 문자 | ||||||||||
가우디 문자 | 동부 나가리 문자 | |||||||||
오리야 문자 | ||||||||||
네팔 문자 | 란자나 문자 | 소욤보 | ||||||||
티베트 문자 | 파스파 문자 | |||||||||
타나 문자 | ||||||||||
시리아 문자 | 나바테아 문자 | 아랍 문자 | 타나 문자 | |||||||
페르시아 문자 | ||||||||||
자위 문자 | ||||||||||
응코 문자 | ||||||||||
아들람 문자 | ||||||||||
소그드 문자 | 돌궐문자 | 로바시 문자 | ||||||||
위구르 문자 | 몽골 문자 | 만주 문자 | ||||||||
팔라비 문자 | 아베스타 문자 | |||||||||
히브리 문자 | ||||||||||
팔미라 문자 | ||||||||||
만다야 문자 | ||||||||||
그리스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 로마자 | 체로키 문자 | |||||||
오세이지 문자 | ||||||||||
프레이저 문자 | ||||||||||
데저렛 문자 | ||||||||||
홋착 문자 | ||||||||||
룬 문자 | ||||||||||
오검 문자 | ||||||||||
콥트 문자 | ||||||||||
고트 문자 | ||||||||||
아르메니아 문자 | ||||||||||
조지아 문자 | ||||||||||
글라골 문자 | ||||||||||
키릴 문자 | 아부르 문자 | |||||||||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 티피나그 문자 | |||||||||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 ||||||||||
남아랍 문자 | 그으즈 문자 | |||||||||
고대 북아랍 문자 | ||||||||||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d700><colbgcolor=#0057B7> 역사 | <colcolor=#000,#fff>키예프 전투 · 몽골-타타르의 멍에 |
정치 | 키예프 대공 | |
통치 가문 | 류리크 왕조 | |
경제 | 흐리우냐 · 루블 | |
종교 | 슬라브 신화 · 정교회 | |
언어 | 고대 동슬라브어 · 교회 슬라브어 · 글라골 문자 · 키릴 문자 | |
지리 | 황금의 고리 | |
민족 | 루스인 | }}}}}}}}} |
1. 개요
글라골 문자는 중세에 교회 슬라브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문자이다. 글라골 문자는 9세기에 만들어졌다가 이후 명맥이 끊겼다. 글라골 문자를 사용하던 지역들도 현재는 키릴 문자나 로마자를 쓴다.2. 상세
|
하지만 글라골 문자를 불가리아 지역에서 받아들였는데 나중에 키릴 문자의 바탕이 되었다. 키릴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 영향을 받아서 생겨났지만, 일부 글자는 글라골 문자에서 파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