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6 19:50:52

폴 리롤라


<colcolor=#0097d6> 1 룰리 · 4 이건라일리 · 5 [[레오나르도 발레르디|발레르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d6; font-size: .8em"]] · 6 가르시아7 모페 · 8 엔젤 · 9 구이리 · 10 그린우드
12 더랭 · 14 파이샹 파일:부상 아이콘.svg · 17 오라일리 · 18 베르미렌 · 19 [[조프레 콩도그비아|콩도그비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7d6; font-size: .8em"]] · 20 트라오레 · 21 아게르드
22 T. 웨아 · 23 호이비에르 · 24 뮈게 · 26 나디르 · 28 파바르 · 29 리롤라 · 32 메디나
33 에메르송 · 36 블랑코 · 48 압달라 · 50 바콜라 · 62 무리요 · 97 오바메양
파일:UEFA EURO ITA.png 로베르토 데 제르비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1000005009.png
<colbgcolor=#ffffff><colcolor=#0E96D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No. 29
폴 리롤라
Pol Lirola
본명 폴 미켈 리롤라 코소크
Pol Mikel Lirola Kosok
출생 1997년 8월 13일 ([age(1997-08-19)]세)
스페인 바르셀로나 모예트 델 바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신체 183cm / 체중 70kg
포지션 라이트백[2]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fffff><colcolor=#0E96D2> 유스 RCD 에스파뇰 (2013~2015)
유벤투스 FC (2015~2016 / 임대)
선수 유벤투스 FC (2016~2018)
US 사수올로 칼초 (2016~2018 / 임대)
US 사수올로 칼초 (2018~2020)
ACF 피오렌티나 (2019~2020 / 임대)
ACF 피오렌티나 (2020~202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0~2021 / 임대)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1~ )
엘체 CF (2022~2023 / 임대)
프로시노네 칼초 (2023~2024 / 임대)

1. 개요2. 클럽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스페인 국적의 축구선수. 현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뛰고 있는 라이트백이다.

2. 클럽

RCD 에스파뇰 유스 출신으로, 2014년 B팀으로 데뷔하였으며, 그 다음 해 1월에 유벤투스의 눈에 띄어 임대되었다. 그리고 2015-16 시즌 유벤투스 프리마베라[3]의 준우승을 이끌었다. 재능을 인정받아 2016년에 완전 이적하였으며, 곧바로 사수올로에 2년 임대를 떠났다.

2.1. US 사수올로 칼초

2016-17 시즌,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의 유로파리그 플레이 오프에서 1부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도메니코 베라르디의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이듬 해 9월에는 아틀레틱 빌바오와의 유로파리그 경기에서 선제골을 기록하며 3-0 승리를 이끌었다.[4] 리롤라는 2016-17 시즌 리그에서 총 22경기를 출전하며 산뜻한 출발을 했다.

2017-18 시즌에는 부상으로 3개월 아웃되면서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 했으나 부상 전까지 부동의 주전으로 출전하며 입지를 다져갔다. 이러한 좋은 활약으로 사수올로는 겨울이적시장에 유벤투스로부터 7m의 이적료로 리롤라를 영입한다.[5] 전반적으로 돈이 없는 세리에A 팀 입장에서 7m은 꽤 큰 투자이며 그만큼 리롤라의 재능을 높게 평가한 것이다.

2018-19 시즌, 리롤라는 세리에A 정상급 라이트백으로 자리매김했다. 리그에서 총 35경기를 출전하며 2골 3어시를 기록하였고, 골닷컴 선정 세리에A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등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사수올로에서 100경기 이상(유로파리그 포함)을 소화하며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룩한 리롤라는 자신의 커리어 발전을 위해 변화를 선택하기로 마음 먹는다.

2.2. ACF 피오렌티나

2019년 8월 1일, 리롤라의 피오렌티나 합류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의무 이적옵션이 포함된 임대이며, 이적료는 총 13m이다.[6]

2.3.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1년 1월 12일, 마르세유로 임대 이적했다.

다만, 감독이 삼파올리로 바뀐 후 윈데르의 백업으로 뛰었고, 투도르 체제에서도 랑스에서 영입된 조나탕 클로스에게 밀리며 팀을 떠날 것이라고 한다.

2.3.1. 엘체 CF (임대)

2022년 8월 12일, 엘체 CF로 임대 이적했다. 구매 옵션 포함.

2023년 8월, 프로시노네 칼초와 임대 링크가 뜨고 있다.

2.3.2. 프로시노네 칼초 (임대)

2023년 8월 28일, 프로시노네로 임대되면서 4년 만에 세리에로 복귀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3년 스페인의 U-17 팀에 선발되며 대표팀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U-21 팀에서는 2경기를 치렀다.

2016년 12월 28일, 카탈루냐 대표팀 소속으로 튀니지와의 경기에 출전고, 경기는 3-3 무승부 (승부차기 2-4 패)로 끝났다.

4. 플레이 스타일

공격 가담을 활발하게 가져가는 윙백 유형의 풀백. 기본적으로 발이 빠르고 기술적인데다, 킥의 정교함까지 갖추고 있어 공격 작업에서의 마무리를 지어줄 수 있는 파이널 패스나 크로스를 연결해주는 능력이 상당히 좋다. 윙백으로서 좋은 폼을 보여줄 때에는 드리블링을 통한 볼 운반, 동료를 이용하는 지능적인 연계 플레이, 측면에서 올라와서 올려주는 크로스와 컷백의 정교함 등 공격 작업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역량을 두루 갖춰져 있다.

수비적인 능력치에 있어서는 정확도 높은 태클을 종종 보이지만, 수비력이 그다지 뛰어난 편은 아니다. 공격력에 있어서도 기복이 있는 편이고 프로시노네 임대 시절에는 자잘자잘한 잔부상을 당하며 리그에서만 10경기를 결장했을 만큼 잔부상 이력이 심해졌다.

5. 여담

  • 어머니가 독일인으로, 이 때문에 그는 독일 여권을 소지하고 있으며, 독일어도 유창하게 구사한다.
  • 해외에서 콜 파머 닮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6. 같이 보기

{{{#!wiki style="color: #0097D6;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헤르니모 룰리2425.png
파일:메를랑2425.png
파일:펠리피2425.png
파일:발레르디2425.png
파일:가르시아2425.png
1 3 4 5 (C) 6
헤로니모 룰리
Gerónimo Rull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K
1992.05.20
2024~2027 |
쿠엔탕 메를랑
Quentin Merlin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2.05.16
2024~2028
루이스 펠리피
Luis Felip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7.03.22
2025~2026
레오나르도 발레르디
Leonardo Balerd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9.01.26
2021~2026
울리세스 가르시아
Ulisses Garcia

파일:스위스 국기.svg | DF
1996.01.11
2024~2028
파일:카르보니2425.png
파일:닐모페2425.png
파일:Amine Gouiri(24-25).png
파일:메이슨 그린우드2425.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7 8 9 10 11
발렌틴 카르보니
Valentin Carboni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2005.03.05
2024~2025[1]
닐 모페
Neal Maupay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6.08.24
2024~2025[2]
아민 구이리
Amine Gouiri

파일:알제리 국기.svg | FW
2000.02.26
2025~2029
메이슨 그린우드
Mason Greenwoo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1.10.01
2024~2029
파일:더랭2425.png
파일:코넬리우스2425.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조너선로우2425.png
파일:콩도그비아2425.png
12 13 14 17 19
제프리 더랭
Jeffery De Lange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GK
1998.04.01
2024~2027
데릭 코넬리우스
Derek Cornelius

파일:캐나다 국기.svg | DF
1997.11.25
2024~2028
이고르 파이샹
Igor Paixão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0.06.28
2025~2030
조너선 로우
Jonathan Row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3.04.30
2024~2025[3]
조프레 콩도그비아
Geoffrey Kondogbia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 MF
1993.02.15
2023~2027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론지에2425.png
파일:Ismaël Bennacer(24-25).png
파일:호이비에르2425.png
파일:라비오2425.png
20 21 22 23 25
발렌틴 론지에
Valentin Rongier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4.12.07
2019~2026
이스마엘 베나세르
Ismaël Bennacer

파일:알제리 국기.svg | MF
1997.12.01
2025~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Pierre-Emil Hojberg

파일:덴마크 국기.svg | MF
1995.08.05
2024~2025[4]
아드리앙 라비오
Adrien Rabiot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5.04.03
2024~2026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리롤라2425.png
파일:블랑코2425.png
파일:엔히키2425.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26 29 36 44 45
빌랄 나디르
Bilal Nadir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3.11.28
2021~2026
폴 리롤라
Pol Lirola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7.08.13
2021~
루벤 블랑코
Rubén Blanco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1995.07.25
2023~2026
루이스 엔히키
Luis Henrique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1.12.14
2020~2025
야니스 셀라미
Yanis Sellami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7.01.04
2024~
파일:가엘라퐁2425.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파일:darryl2425.png
파일:무리요2425.png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47 48 50 62 77
가엘 라퐁
Gaël Lafont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6.06.07
2024~
케일리안 압달라
Keyliane Abdallah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6.04.05
2024~
대릴 바콜라
Darryl Bakol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7.10.30
2024~
아미르 무리요
Amir Murillo

파일:파나마 국기.svg | DF
1996.02.11
2023~2026
아마르 데디치
Amar Dedić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 DF
2002.08.18
2025[5]
<colbgcolor=#0097D6> 구단 정보
회장: 프랭크 메코트 / 감독: 로베르토 데 제르비 / 홈 구장: 스타드 드 벨로드롬
출처: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19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에서 임대[2] 에버튼 FC에서 임대[3] 노리치 시티 FC에서 임대[4] 토트넘 홋스퍼 FC에서 임대[5]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에서 임대
}}}}}}}}} ||

[1] 어머니가 독일국적자이며, 선수 본인도 독일 여권을 가지고 있으며 독일어가 유창하다.[2] 레프트백도 곧잘 소화한다.[3] 유스 리그[4] 사수올로의 유럽대회 공식 1호골이었다.[5] 유벤투스의 바이백 조항이 포함되었다. 결국 발동은 안 됐지만.[6] 임대료(1m)+완전이적(11m)+옵션(1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