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03:46:45

포트엘리자베스

포트엘리자베스(게베하)
Port Elizabeth | Gqeberha
<colcolor=#fff>
<colbgcolor=#000000>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스턴케이프 주
면적 251㎢
인구 967,677명 (2020년)
1,152,915명(광역권)
인구밀도 3900명/㎢
시장 유진 존슨
파일:포트엘리자베스 전경.jpg

1. 개요2. 기후3. 역사4. 경제5. 주민6. 관광7. 교통8. 자매도시9. 기타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의 주요 항구이자 최대 도시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6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포트엘리자베스는 케이프 주지사 대행인 루덴스 단 킨이 자신의 아내 엘리자베스 단 킨을 기리기 위해 포트 엘리자베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도시의 공식 명칭은 게베하(Gqeberha)[1]이다.

2. 기후

서안 해양성 기후(Cfb)에 속한다. 겨울은 시원하지만 온화하고 여름은 따뜻하지만 남아프리카 동부 해안의 북부 지역보다 습기가 적고 덥다. 강풍이 많이 불어 Windy City 라는 별칭이 있다.

3. 역사

1799년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점령하고 괴뢰국인 바타비아 공화국을 세우자 영국은 네덜란드령 케이프타운 식민지를 점령하려고 했다. 이 때 영국군은 오늘 날 포트엘리자베스 일대에 요크 공작의 이름을 딴 프레드릭 요새라는 석조 요새를 건설하였다. 1820년, 케이프 식민지 정부의 권유로 4,000명의 영국 정착민들이 바다를 통해 포트엘리자베스에 도착하였다. 1825년에 추가로 500명의 정착민이 도착했으며 1861년에 자치 지방 자치 단체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후 다이아몬드 광산이 있는 킴벌리로 가는 철도가 완공됨으로서 무역항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철도 건설 이후 항구 주변의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의 리버풀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포트엘리자베스는 전선으로 향하는 영국군, 말, 물자를 보급하는 환승지점 역할을 하였고, 보어인 여성과 아이들을 강제로 수용하는 강제수용소도 건립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영국군은 전쟁 중 사망한 군마를 기리는 기념비를 세우기도 했다. 아파르트헤이트 하에서 남아프리카 정부는 합법적인 인종 차별을 확립하고 분류와 관습에 따라 백인과 유색인종을 분리하였다. 이에 포트엘리자베스의 흑인들과 인도인들은 격렬하게 반발하였고 백인 사업장이 파는 물건은 사지 않겠다는 보이콧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러자 보안군이 쳐들어 와 수천명의 흑인, 노동조합, 교회 사무실을 습격하고 핵심 지도자를 체포하였다.

4. 경제

포트엘리자베스의 경제는 주로 자동차 조립, 제조 및 수출 산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자동차 산업의 본고장으로 제너럴 모터스, 포드, 폭스바겐, 컨티넨탈 타이어 및 기타 많은 자동차 회사들의 대부분의 차량 조립 공장이 있다. 또한 남반구에서 가장 중요한 자동차 적재 시설을 갖춘 주요 항구이기도 하다.

5. 주민

2011년기준 백인이 37.4%이고 흑인이 30.6%이며 컬러드가 27.4%, 아시아인 3.15&, 기타 1.38%이다.

6. 관광

  • 아도 엘리펀트 국립공원 (Addo Elephant National Park) : 포트엘리자베스 근처에 위치한 야생동물 보호 공원으로 700마리 이상의 코끼리와 많은 다른 포유류들이 서식하고 있다.
  • 프레데릭 요새 (Fort Frederick) : 1799년 영국군이 설립한 요새로 케이프 식민지에서의 영국 통치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 넬슨 만델라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Nelson Mandela Metropolitan Art Museum) : 이스턴 케이프와 영국 예술과 중점을 두고 있는 미술관으로 2002년 12월 이전에는 킹 조지 6세 미술관이었다.
  • 세인트 조지 공원 (St George's Park) : 포트엘리자베스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으로 수영장, 잔디 볼링장, 크리켓 경기장 등이 있다.
  • 단 킨 기념관 (Donkin Memorial) : 당시 케이프 주지사 대행인 루덴스 단 킨경이 자신의 아내 엘리자베스 단 킨을 기리기 위해 지은 피라미드이다.

7. 교통

도시철도로는 메트로레일 이스턴 케이프가 있다. 메트로레일 중 가장 작은 시스템이다. 문제는 경제력이 훨씬 큰 하우텡이나 케이프타운의 메트로레일도 정책 실패로 관리가 잘 안 되어 위험해지고 운영도 잘 안 되는 마당에 훨씬 작은 이 시스템은 더 취약해서 상태가 더 안 좋다는 점이다. 그래서 저소득층도 미니버스 같은 비공식 교통수단으로 수요가 많이 옮겨갔다

8. 자매도시

9. 기타

2010 FIFA 월드컵 경기가 열렸던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이 있다. 당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 곳에서 조별리그 첫 경기 그리스전과 16강 우루과이전 두 경기를 치렀다.
[1] 발음기호 \[ᶢǃʱɛ̀ɓéːxà\]. gq는 흡착음, rh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