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0:57:30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Pocket에서 넘어옴
포켓몬 카드 게임 시리즈
[[포켓몬 카드 게임|
파일:Pokémon_Trading_Card_Game_logo.png
]]
[[포켓몬 카드 게임 Live|
파일:external/ptcgl_logo.png
]]
[[포켓몬 카드 게임 Classic|
파일:ptcg_classic_logo.png
]]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파일:tcgpocketlogo_en.webp
]]

파일:포켓몬스터 로고.svg 외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861AD> GB/
N64/
GBA/
GC
포켓몬 스타디움 포켓몬 카드 GB 포켓몬 스타디움 2 포켓몬 스냅 포켓몬 핀볼
포켓몬 퍼즐 리그 스타디움 금은 포켓몬 카드 GB 2 빨강 구조대 포켓몬 핀볼 루비 & 사파이어
콜로세움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NDS/
Wii
포켓몬 토로제 파랑 구조대 포켓몬 레인저 시간·어둠의 탐험대 포켓몬 레인저 바토나지
하늘의 탐험대 포켓몬 레인저 빛의 궤적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포케파크 Wii
3DS/
Wii U
슈퍼 포켓몬
대격돌
포켓몬 AR 서처 트렛타 DS 마그나게이트와
무한대 미궁
배틀 토로제
포켓몬 아트 아카데미 명탐정 피카츄 초불가사의 던전 포켓몬 피크로스 POKKÉN TOURNAMENT Wii U
NS 폿권 DX 구조대 DX 포켓몬 퀘스트 Pokémon Café ReMix Pokémon UNITE
New 포켓몬 스냅 돌아온 명탐정 피카츄
AC 포켓몬 트레타 폿권 포켓몬 가오레 포켓몬 태그스타 포켓몬 프렌다
모바일 포켓몬 셔플 포켓몬 듀얼 Pokémon GO 튀어올라라!
잉어킹
포켓몬 퀘스트
포켓몬 대격돌SP 포켓몬 마스터즈 EX Pokémon Smile Pokémon Café ReMix Pokémon UNITE
Pokémon Sleep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 ◆ 표시는 서비스 종료, * 표시는 출시 예정작 ※
이 틀에 없는 작품의 경우 문서가 없는 외전이므로 포켓몬스터/외전 문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메인 시리즈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포켓몬스터 메인 시리즈
}}}}}}}}} ||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
Pokémon Trading Card Game Pocket
파일:tcgpocketlogo_en.webp
<colbgcolor=#ffcc00><colcolor=#000000> 개발 크리처스, DeNA, 포켓몬 컴퍼니, Pokemon card D studio
유통 포켓몬 컴퍼니
플랫폼 iOS | Android
ESD App Store | Google Play
장르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
출시 얼리엑세스일부 국가
2024년 9월 26일
정식 출시
2024년 10월 30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해외 등급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일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한국)
상점 페이지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트레일러3. 출시 전 정보4. 카드5. 특징6. 배틀7. 트레이드8. 평가9. 여담10. 외부 링크
10.1. 관련 커뮤니티

[clearfix]

1. 개요

2024년 2월 27일 포켓몬 프레젠트에서 공개된 포켓몬 카드 게임 시리즈스마트폰에 이식한 모바일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처럼 단순화된 포켓몬 카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일본에서의 공식 약칭은 포케포케. 한국에서는 포켓몬 카드 게임을 가리키는 포케카를 그대로 쓰기 때문에 혼동될 여지가 있으며, 때문에 뒤에 포켓을 붙이는 편이다.[1]

2. 트레일러

3. 출시 전 정보

  • 2024년 2월 27일 포켓몬 프레젠트에서 최초로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 2024년 8월 19일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 TCG 부문 결승전이 끝난 이후 출시일이 10월 30일으로 판명되었고, 앱스토어에 어플이 등록되었다.
  • 2024년 9월 26일 일부 국가에서 얼리엑세스가 시작되었다. 국내에서는 VPN을 사용하면 접속 가능하며, 앱 역시 한국어로 이용 가능하다.
  • 2024년 10월 8일, 정식 출시는 되지 않았지만 VPN을 사용하지 않아도 접속이 가능해졌다. 2024년 10월 24일 5시 20분쯤에 다시 접속이 막혔다.
  • 2024년 10월 30일 정식 출시되었다.

4.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특징

  • 수집과 트레이딩
    수집용 카드 게임(Collectible Card Game), 즉 CCG가 대세가 된 비디오 게임판 트레이딩 카드 게임 시장에서 간만에 유저 간 트레이딩 요소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 공개 트레일러 및 소개 영상까지 카드를 모으는 걸 강조하고 있다. 매일 무료로 2팩을 개봉할 수 있고, 프리미엄 패스를 결제하면 3팩까지 가능하고, 게임 내 재화를 통해 팩 개봉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같은 포켓몬이라도 일러스트가 다양해 수집하는 재미를 살렸다. 다만 유저 간 트레이딩 기능은 발매 시점에서는 비활성화되어 있고, 2025년 1월 중으로 일부 카드를 대상으로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공식 홈페이지 안내문
    본가 비디오 게임의 GTS처럼 외국어 카드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유저가 뜯은 부스터 팩의 내용물 중 1장을 무작위로 얻는 겟 챌린지에서 친구로 등록된 외국인 유저의 카드에 챌린지하면 외국어 카드를 얻는다.[2] 수집한 외국어 카드는 자신의 카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틀 중에는 카드 텍스트를 못 읽으면 안 되니 상대든 나든 모두 내가 설정한 언어로 나온다. 이후 트레이딩 기능이 1월 29일 추가됨이 확정되었다.
  • 이머시브 카드
    일러스트는 레어도에 따라 처리가 달라지며, 플레이어가 카드를 터치하거나 기울이면서 광택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 이머시브 카드는 일러스트를 확대하여 카드 내부에 새로운 일러스트가 펼쳐지는 스타일의 레어도로, 이머시브 카드 획득시 영상이 나오는 연출이 있다.
  • 룰 간소화
    유희왕 듀얼링크스처럼 룰을 간략화시켰으며, Pokémon GO와 같이 포켓몬 카드 게임이 캐주얼화된 작품이다. 이런 룰 차이 때문에 효과가 변경된 카드가 다수 존재하며, 몬스터볼처럼 시스템이 덱에 있는 카드를 무작위로 정해서 가져오는 카드도 존재한다.
    {{{#!folding 룰 상세 설명
  • 덱의 매수가 60장에서 20장으로 감소.
  • '에너지' 카드는 선공 1턴을 제외한 나머지 턴에 자동으로 충전되는 에너지 존으로 변경, 따라서 삭제.[3]
  • 동명의 카드 최대 투입 제한은 4장에서 2장으로 감소.[4]
  • 약점은 2배에서 +20으로 바뀌었고, 저항력이 삭제됐다.
  • 트레이너스 카드는 1턴에 여러 번 사용 가능한 아이템/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는 서포터 카드로 나뉜다. 화석은 아이템 카드로 취급하지만, 필드에 기본 포켓몬으로 낼 수 있다.[5]
  •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게임이므로 데미지 카운터는 존재하지 않고 남아 있는 HP를 직접 보여준다. 상태 이상은 카드 우측에 직접적으로 띄워준다.
  • 승부 조건은 기존의 프라이즈제가 아닌 포인트제로 변경. 따라서 프라이즈는 존재하지 않는다. 3포인트를 먼저 얻는 쪽이 승리하며, ex 포켓몬이 기절했을 경우, 상대는 2 포인트를 가져간다. 동시에 3 포인트를 달성했을 경우[6]에는 무승부로 처리한다.
  • 30턴(솔로 모드는 50턴) 안에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 강제 무승부가 된다.
  • 승리 조건 중 상대의 덱 파괴는 제외되었다. 따라서 승리 조건은 위에 적혀 있는 대로 3포인트를 얻거나, 상대의 필드에 포켓몬이 1마리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뿐이다.
  • 게임 시작 시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온 쪽이 선공, 뒷면이 후공이 된다.
  • 게임 시작 시 패는 5장. 배틀 필드에 낼 수 있는 포켓몬이 없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첫 패에는 반드시 기본 포켓몬이 1마리 이상 잡힌다. 패는 최대 10장까지 들 수 있다.
  • 벤치는 최대 3장까지만 배치할 수 있다.
  • 배틀 시작 시, 준비 완료를 누르기 전까지는 상대의 포켓몬이 보이지 않으며, 리셋을 눌러서 다시 배치할 수도 있다.
  • 진화는 선공, 후공 양쪽 다 처음으로 대상 포켓몬을 낸 턴에는 실행할 수 없다.
  • 상태 이상은 독, 화상, 잠듦, 마비, 혼란이 있다. 마커를 올린다/카드를 한 쪽 방향으로 눕히는 오프라인의 표시 방식이 없어졌다는 것을 빼면 동일하다. 즉, 자신/상대 포함 매 턴이 끝날 때마다 포켓몬 체크 과정을 거쳐 상태 이상의 결과를 체크한다. 순서는 독-화상-잠듦-마비 순서다. 포켓몬 체크를 끝낸 시점에서 남은 HP가 없으면 기절한다.[7] 이외에도 주는 데미지 감소/기술 사용 불가/후퇴 불가 등의 페널티가 있지만 아직 공식 명칭은 없다. 상태 이상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자체 해제 조건을 채우거나, 진화하거나, 상태 이상을 회복하는 특성/트레이너스[8]를 사용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벤치로 들어가면[9] 된다. 상태 이상 중 잠듦과 마비, 혼란은 중복되지 않으며, 새로 적용된 상태 이상으로 덮어씌워진다.
    • 독: 포켓몬 체크 때마다 10 데미지를 받는다.
    • 화상: 포켓몬 체크 시, 먼저 20 데미지를 받고, 그 다음에 동전을 던진다. 앞면이 나오면 화상에서 회복되며, 뒷면이 나오면 화상이 유지된다.
    • 잠듦: 기술/후퇴를 사용할 수 없다. 포켓몬 체크 시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회복되며, 뒷면이 나오면 잠듦이 유지된다.
    • 마비: 기술/후퇴를 사용할 수 없다. 자신의 턴에 마비를 1번 보낸 포켓몬은 포켓몬 체크 시 회복된다.
    • 혼란: 기술 사용 시 코인 토스를 실행해 앞면이 나오면 기술을 실행하지만, 뒷면이 나오면 기술이 실패한다.
}}}
  • 무작위 요소
    코인 토스로 대표되는 무작위 요소가 많은 편이다. 당장 상태이상도 코인 뒷면이 나오면 풀리지 않는 경우가 있고, 기술의 효과나 데미지가 동전을 던져 결정되는 경우가 있고, 망나뇽처럼 대상을 무작위로 지정하는 효과도 있다. 티어 덱 역시 행운에 기대야 하는 경우가 은근히 있어[10] 제대로 당하면 불쾌감을 유발하지만, 진입장벽을 어느 정도 낮추는 효과도 있는 양날의 검이다.

6. 배틀

얻은 카드를 이용해 20장의 덱을 만들어 배틀에 참여할 수 있다. 이름이 같은 카드는 레어도 무관 최대 2장을 넣을 수 있으며, ex와 일반은 서로 다른 카드로 취급한다.[11] 덱에 들어가는 포켓몬이 요구하는 에너지 타입에 따라 자동으로 에너지가 설정되는데, 기술을 안 쓸 것을 전제하고 투입하는 포켓몬이 있거나[12], 여러 에너지 타입 중 내가 선택해야 하는 경우[13]에는 수동으로 세팅할 수 있다.

대전 템포가 빠른 편이라서 보기 매우 드문 케이스지만, 30턴(솔로 모드는 50턴) 안에 승부가 나지 않는 경우, 강제 무승부가 된다.

6.1. 타입

각 타입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풀 타입
    본가의 풀 타입, 벌레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격투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불꽃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는 경우가 다수. 체력이 높고 자체 회복이 가능한 카드가 많지만, 그 대가로 기술에 필요한 에너지 개수나 후퇴 비용이 비싼 편이다.
  • 불꽃 타입
    본가의 불꽃 타입만이 소속되어 있다. 풀과 강철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물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는 경우가 다수. 화력이 높은 대신 에너지를 트래쉬해야 하는 카드가 많다. 상태이상 '화상'을 사용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 물 타입
    본가의 물 타입, 얼음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불꽃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번개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는 경우가 다수이며, 일부 원작에서 얼음 타입 포켓몬의 경우 강철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기도 하다. 에너지를 많이 요구하는 포켓몬이 많고, 일부 포켓몬은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기술의 에너지보다 에너지를 많이 달고 있으면 화력이 강해지는 기술을 갖는다.
  • 번개 타입
    본가의 전기 타입만이 소속되어 있다. 물과 일부 무색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격투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는 경우가 다수. 원작에서 물 타입이었거나 비행 타입이었다면 높은 확률로 번개 약점을 갖기 때문에 약점을 찌르기 쉽다. 기술이나 후퇴에 에너지를 적게 요구하는 카드가 많다. 상태이상 '마비'를 사용하는 카드의 다수가 포함되어 있다.
  • 초 타입
    본가의 에스퍼 타입, 고스트 타입, 페어리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격투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악 타입에게 약점이 찔리는 경우가 다수. 본가에서 페어리 타입인 포켓몬들 중 일부만 강철 약점이다. 초 타입의 몇몇 카드는 상대에게 붙어 있는 에너지가 많을수록 기술의 위력이 올라가기도 한다.
  • 격투 타입
    본가의 바위 타입, 땅 타입, 격투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번개, 악, 일부 무색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풀[14] 또는 초 타입[15]에게 약점을 찔리는 경우가 다수. 본가의 격투 타입과 바위/땅 타입을 합쳐서 전체적인 방어 상성이 독특하다. 특별한 전략 대신 육탄전으로 승부하는 컨셉을 반영한 듯 전체적으로 부가 효과 없는 공격, 피해를 입었을 때의 시너지 등이 주축이 된다.
  • 악 타입
    본가의 독 타입, 악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초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격투 타입에게 약점을 찔리는 경우가 다수. 본가에서 악 타입인 포켓몬은 풀 타입 약점이다. 이름은 악 타입이지만 포켓에서는 원작에선 독 타입인 포켓몬들이 대다수이며, 악 타입 카드 중 본가에서도 악 타입인 포켓몬은 환상이 있는 섬에서 처음 나왔다.[16] 주로 상태이상 '독'을 사용하며, 트리키한 플레잉을 구사할 수 있다.
  • 강철 타입
    본가의 강철 타입만이 소속되어 있다. 약점을 찌르는 타입은 별로 없고[17], 불꽃 타입에게 약점을 찔린다.
  • 드래곤 타입
    본가의 드래곤 타입만이 소속되어 있다. 약점을 찌르는 타입도 없고 약점이 찔리는 타입도 없다.[18] 드래곤 타입 에너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드래곤 타입 포켓몬은 드래곤 타입 에너지가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해 기술을 사용한다. 그래서 드래곤 타입 덱은 주축이 되는 드래곤 포켓몬과, 그 드래곤에 필요한 에너지 타입이 섞여있는 혼합 덱이 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드래곤 타입 덱은 원하는 타입의 에너지가 제때 나오지 않을 위험도 안고 있다.
  • 무색 타입
    본가의 노말 타입, 비행 타입이 소속되어 있다. 약점을 찌르는 타입은 없으며, 번개[19]/격투[20] 타입에 약점이 찔린다. 무색 타입 포켓몬은 보통 어떤 타입의 에너지를 붙이든 상관없어서 범용성이 매우 높고, 그 대가로 전반적인 능력치가 약하게 설계된 경우가 많다. 최강의 유전자 기준 순수 무색 덱을 구축할 만한 메리트가 있는 포켓몬은 별로 없고, 몇몇 성능이 괜찮은 무색 포켓몬을 다른 덱의 용병으로 투입하는 방식이 주류다.

6.2. 배틀 환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환경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혼자서 배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혼자서 배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트레이드

2025년 1월 29일 트레이드 기능이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트레이드는 게임 내에서 친구로 등록된 유저하고만 가능하다. 먼저 트레이드를 요청하는 유저가 친구 중 1명을 선택해 카드를 1장 내고, 트레이드 요청을 받은 상대가 같은 레어도의 카드 1장을 내주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트레이드를 진행중인 유저는 선택할 수 없으며, 트레이드를 요청하는 사람은 받는 카드를 지정할 수 없다. 트레이드가 가능한 카드는 레어도 ☆까지이며, ☆☆ 이상의 카드는 트레이드가 불가능하다. 또한 프로모 카드와 최신 확장팩 카드는 레어도를 불문하고 전부 트레이드가 막혀있다.

트레이드를 하기 위해서 '트레이드 파워'를 소모하는데, 이는 챌린지 파워와 팩 파워처럼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회복하고, 트레이드 모래시계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 이상의 레어도를 교환하기 위해서 '트레이드 메달'이라는 아이템을 추가로 요구하는데[21], 트레이드 메달은 ◇◇◇ 이상의 카드를 분해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동일 레어도를 기준으로 분해 수 대비 교환 가능 수 비율은 4:1이다.[22] 정확한 메달 수는 카드 문서의 레어도 문단을 참고.

8. 평가

카드 수집이 중심인 게임으로, PvP의 비중은 높지 않다. 게임 룰이 간소화되어 규칙을 익히기 쉬우며 한 판이 10분 정도로 빠르게 끝나기 때문에 라이트 유저층에게 어필하는 게임이다.

카드 게임에서 레어도가 높은 카드가 중시되는 이유는 보통 레어도가 높을수록 대전 성능이 좋고, 컨텐츠 자체가 다른 유저와의 대전을 위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게임은 플레이어끼리 실력을 겨루는 랭크전이 없으며 본가 게임처럼 포켓몬 카드를 수집해 도감을 채우는 것을 목표로 디자인되었기 때문에, 대전만을 신경쓴다면 굳이 레어도 ☆ 이상의 카드를 수집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일반적인 카드 대전 게임을 기대한 유저들에게는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는 부분이다.

다만 수집에 중점을 둔 만큼, 대전에 입문하기 위해 환경권 덱을 단기간에 구성하는 난이도는 높다. 특정 카드를 확정적으로 수급할 방법이 거의 없고 팩 개봉이나 겟 챌린지 모두 랜덤성이 강한 데다, 덱 구성 단계에서 대체 카드를 쓸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원하는 덱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약 없는 시간을 기다리거나 상당량의 과금을 해야 한다.[23]

대전 역시 운 비중이 크다는 점이 지적받는다. 특히 코인토스로 승부를 결정짓는 카드들이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편. 게임을 하다 보면 다 이긴 게임을 코인토스 때문에 지거나 성능이 코인토스에 몰려 있는 카드 1장에 승패가 갈려 버리는 경우가 많이 나온다.[24] 물론 이런 요소가 재밌다고 평하는 유저들도 있으며, 코인토스에 승패가 좌우되지 않는 덱을 짤 수도 있어서 어디까지나 호불호의 영역이다.

현재 대전 밸런스는 후공이 매우 유리한 상태다. 선공은 첫 턴 에너지 수급이 막혀있어 서포트 카드 등으로 에너지를 수급하지 못하면 아무것도 못하고 턴을 넘겨야 하지만, 후공은 첫 턴 에너지 수급이 가능하여 대부분의 상황에서 후퇴, 공격 등을 선공보다 먼저 할 수 있다. 물론 이후에 발매되는 카드들의 성능에 따라서 변동될 가능성은 있다.

그 외에는 최적화가 좋지 못한지, 조작을 할 때마다 딜레이가 있고 터치 응답성이 상당히 둔한 편이다. 그래서 게임의 재미와는 별개로 플레이가 답답하다고 평하는 의견을 자주 볼 수 있다.

이처럼 어느 정도 단점이 있지만 캐주얼한 게임성과 포켓몬 IP를 잘 결합했다고 평가받으며 IGN 발표 기준, 4일만에 누적 160억의 수입을 기록했고 11월 8일에 3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한국에서도 치지직 스트리머들을 기반으로 각종 인터넷 방송에서 유행을 타고 있다.

그러나 2025년 1월 29일 트레이드 도입 이후 국내외를 막론하고 부정적인 평가가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종합하자면 트레이드에 걸려있는 지나친 제약과, 트레이드 시스템 자체의 엉성한 설계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우선 레어도 ◇◇◇ 이상의 카드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한 메달의 소모량이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트레이드로 얻고자 하는 카드와 동일한 레어도의 카드를 4장 갈아야 필요한 메달 수가 확보되고, 트레이드 성립을 위해 상대에게 넘겨줄 카드까지 1장 더 필요하니 사실상 교환비는 5:1인데, 트레이드로 대전 덱을 구성하려는 무과금 유저들 입장에서는 ◇◇◇ 이상의 카드가 그렇게 많이 남아돌지를 않는다. 레어도 ◇◇ 이하 카드로는 아예 메달 분해조차 안 되므로 남아도는 하위 카드를 대량으로 갈아버리는 방법도 불가능하며, 심지어 최신 확장팩은 하위 레어도조차도 트레이드가 아예 불가능하다. 그동안 무과금 유저들의 카드 수급을 도왔던 '레어팩 겟 챌린지 꼼수'[25]가 막힌 점까지 얽혀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한편 과금 유저들, 특히 도감 완성을 노리는 고래 유저들 입장에서는 트레이드를 이용해야할 이유 자체가 없다. 이들은 레어도 ☆ 이하 카드가 남아돌아서 메달 수급에는 문제가 없고 레어도 ☆☆ 이상의 카드를 얻어야 하는데, 정작 레어도 ☆☆ 이상의 카드는 트레이드를 막아놓았기 때문이다.

트레이드 시스템 자체에도 문제가 있다. 게임 내에서는 트레이드를 요청하는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카드를 제시할 방법이 전혀 없고 그냥 자신이 내줄 카드를 들이댈 뿐이라서, 서로 원하는 카드를 주고받는 기능이 아니라 서로 쓸모없는 카드를 떠넘기는 기능으로 전락해버렸다. 때문에 정말로 원하는 카드를 얻기 위해서는 현실 친구와 교환하거나 게임 밖의 외부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이미 본가 게임에서 GTS를 20년 가까이 운용하고 있음에도 이런 엉성한 설계를 내놓은 점에 의문을 표하는 의견이 많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트레이드 기능은 과금 유저도 무과금 유저도 만족시키지 못하는 반쪽짜리라 할 수 있다. 이것이 평범한 카드 대전 게임이라면 교환 따위 그냥 안 하고 말면 되겠지만, 상술했듯이 이 게임은 카드 수집이 중심인 게임이다. 게임의 한 축을 맡아야할 중요한 기능이고 트레일러 영상에서도 대놓고 트레이드를 강조했으며 그만큼 유저들의 기대감도 높았지만, 정작 나온 게 수준 이하의 물건이니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 운영진에서도 이러한 전세계적인 불만을 인지했는지, 트레이드 도입 3일만인 2월 1일에 공식 채널을 통해 트레이드 기능의 취지와 개선 가능성에 대해서 공지하였다.#

9. 여담

  • 매번 신규 확장팩이 발매되는 날이면 한국시간 오후 3시부터 접속이 안 되거나, 되더라도 로딩이 지연되어 재접속 버튼을 계속해서 눌러줘야 하는 불편함이 반복되고 있다. 보통 이런 경우 원인은 순간적으로 전세계에서 동시접속자가 몰려서 서버가 감당하지 못해 벌어지는 현상인데, 그만큼 인기가 많은 게임이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10. 외부 링크

10.1. 관련 커뮤니티



[1] 일어판 공식 트레일러 제목에 "ポケポケ"(포케포케)라고 적혀있으나 한국판 쪽 제목은 "포켓몬 카드 게임 Pocket"이라는 풀네임이 들어가 있다.[2] 편법이 하나 있는데, 게임 설정에서 언어를 바꾸고 카드를 새로 수집하면 새로운 카드는 설정한 언어로 나온다. 본가는 한번 설정한 언어를 바꿀 수 없어 불가능한 방법인데 여기서는 가능하다.[3] 플레이어가 덱을 세팅할 때 어떤 에너지가 에너지 존에 등장하는 지를 3개의 속성까지 결정할 수 있고, 턴 마다 에너지 존에 설정한 속성의 에너지가 생성한다. 여러 속성을 설정했으면 나오는 에너지의 속성도 랜덤. 이렇게 나온 에너지는 카운터처럼 카드에 붙을 수 있으며 이는 원작의 에너지 카드의 역할을 한다.[4] 익스팬션 출신/일러스트 차이와 무관.[5] 포켓몬 카드에 부착하여 특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포켓몬의 도구' 카드가 A2에 출시된다. 이 또한 한 턴에 여러번 사용이 가능하다.[6] 자해/크리만의 특성 등으로 데미지 피격해서 동시 기절.[7] 즉, 독/화상에 걸려서 독을 체크하는 단계에서 HP가 0이 되었어도 화상까지 확인하고 기절한다.[8] 아직 룰 상으로만 존재하고 구현된 카드는 없다.[9] 잠듦, 마비에 걸리면 스스로 후퇴할 수 없다. 그래서 패로 올라가는 카드를 사용하거나, 특수한 경우라 상대가 초련을 사용해주면 벤치로 들어갈 수 있다.[10] 물론 모든 티어 덱이 동전 운빨 한 방에 의존하는 건 아니고, 피카츄 ex(썬더 ex 제외)는 동전보다 핸드가 잘 붙고 벤치가 빠르게 채우는 게 더 중요하고 뮤츠 ex 덱은 아예 코인 토스를 사용하지 않는다.[11] 한 덱에 리자몽 2장, 리자몽 ex 2장을 넣을 수 있다.[12] 또도가스를 채용하는 망나뇽 덱, 크리만을 채용하는 2진화 덱이 대표적이다. 전자는 또도가스가 기술을 안 쓰고 몸빵+특성 사용만 상정하므로 수동으로 악 타입을 빼고 물+전기 타입으로만 세팅해야 하며, 후자는 크리만이 앞에서 버티는 것만 상정하는데 덱을 짤 때 크리만을 넣으면 크리만이 쓰는 불+물 타입 에너지가 자동으로 세팅되니 조절해 줘야 한다.[13] 메타몽 덱이 이 케이스로, 메타몽은 무색 타입인데 상대에 맞는 타입의 에너지를 베껴야 기술을 쓸 수 있어 배틀 환경에 가장 많이 나오는 에너지 3종을 선택해서 넣는다.[14] 본가에서 바위 타입 또는 땅 타입일 경우[15] 본가에서 격투 타입일 경우[16] 최강의 유전자에 수록된 포켓몬 중 악 타입이 절각참 계열 뿐인데 절각참 계열이 강철 타입으로 빠졌기 때문이다.[17] 강철이 찌르는 약점은 물(본가의 얼음 타입), 초(본가의 페어리 타입)가 있다. 그러나 물의 경우 대부분 약점이 번개로 배정되어있고, 초 타입은 본가에서 페어리 단일 타입이 아닌 이상 대부분 약점이 악이다. 그래서 최강의 유전자 기준 모스노우와 픽시 계열만이 강철에 약점이 찔린다.[18] 오프라인 TCG 초기에는 드래곤 타입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무색 타입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BW부터 드래곤 타입으로 분화되고 드래곤끼리 약점을 찌르게 되었다. XY 블록에서 페어리 타입이 신규 추가되면서 약점이 페어리로 변경되었으나, 이후 페어리 지원이 중단되고 모든 페어리 카드가 블럭 아웃되었으며, 신규 드래곤 카드는 약점이 없는 것으로 등장하게 되었다.[19] 본가에서 비행 타입일 경우[20] 본가에서 노말 타입일 경우[21] 트레이드를 제기하는 쪽은 물론 받는 쪽도 내야한다.[22] 교환으로 내줘야 할 카드까지 포함한다면 5:1[23] 천장은 있으나, 덱 구축의 핵심이 되는 EX카드는 기본 일러스트라도 500포인트(100팩어치)를 요구하여 교환비가 짠 편이다. 또한 천장 교환 포인트는 다른 확장팩과 공유되지 않는다.[24] 대표적으로 뒷면이 나올 때까지 코인을 무한정 던져서 앞면이 나온 수만큼 이득을 주는 카드들이 있다. 이런 카드들은 이론상 고점이 매우 높지만 50% 확률로 0이 뜨기 때문에 저점이 처참하다.[25] 레어팩을 미리 뽑아둔 계정을 친구로 추가하면 레어팩 겟 챌린지를 띄울 수 있었던 방식. 친구 추가를 한 후 개봉한 팩만 겟 챌린지 리스트에 등장하도록 메커니즘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