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5:10:08

더샵

포스코더샵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아파트 브랜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공능력평가순위(도급순위) 상위권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BI.svg 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 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 파일:e편한세상 BI.svg 파일:자이 BI.svg
파일:더샵 BI_2020.svg 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 파일:SK뷰 BI_2010.svg 파일:아이파크 BI_2021.svg 파일:포레나 BI.svg
파일:호반써밋 영문 BI(2019).svg 파일:트리븐 BI.svg 파일:풍경채 BI.svg 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 파일:엘리프 BI_2021.svg
파일:서희스타힐스 BI_상하.svg 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 파일:아테라 BI.svg 파일:에일린의 뜰 로고.svg 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
파일:디에트르 로고.svg 파일:데시앙 로고.svg 파일:스위첸 BI.svg 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 파일:우미 린 BI.svg
파일:한신더휴 BI.svg 파일:반도유보라 BI_상하.svg 파일:에피트 BI.svg 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 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빌리브 국문 BI.svg 파일:해모로 BI(영문/세로).svg 파일:수자인 BI.svg 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 파일:더리브 BI.svg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bgcolor=#fff,#1c1d1f> 공기업의 브랜드 ||
파일:안단테 BI.svg 파일:자연&로고.svg
}}}}}} ||

파일:포스코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5507D><colcolor=#fff> 계열사
지주 회사 포스코홀딩스
철강 포스코 | 포스코스틸리온 | SNNC | 포스코엠텍 | 엔투비 | 포스코휴먼스 | 포스코IH | PNR
이차전지소재
포스코퓨처엠 | 포스코MC머티리얼즈 |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 포스코HY클린메탈 | 피엔오케미칼 | 포스코리튬솔루션 | 포스코실리콘솔루션
친환경 인프라
포스코인터내셔널 | 포스코이앤씨 (더샵 · 오티에르) | 포스코DX | 포스코플로우 |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 포스코와이드 | 포스코A&C
비영리 및 지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포스코경영연구원 | 포스코인재창조원 | 포항공과대학교 | 포스코청암재단 | 포스웰 | 포스코교육재단 | 포스코기술대학 | 포스코1%나눔재단 | 포스코미소금융재단 | 포스코새마을금고 |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기타 우이신설경전철 | 넥스트레인 | 포레카 | 포항제철소선 | 광양제철소선 | 포천화도고속도로 | 서부내륙고속도로 | 포스코에너지 | 포스틸 야구단 | 포스코센터 | 포스코타워-송도 | 포스코글로벌센터 | 금세기빌딩 | 포스코타워-역삼 | 포스코타워-삼성
스포츠단
포항 스틸러스 | 전남 드래곤즈 | 포스코건설 럭비단 | 포스코건설 체조단 | 포스코인터내셔널 여자 탁구단 | 포스코퓨처엠 바둑단
}}}}}}}}} ||

파일:더샵 BI_2020.svg

1. 개요2. 상세3. BI/전용 색상4. 오티에르(HAUTERRE)5. 지역별 단지 현황6. 외부 링크7. 관련 항목

1. 개요

브랜드 홍보 영상
ADVANCE IN CORE
주거의 本이 되다
더샵(THE SHARP)은 2002년부터 사용중인 포스코이앤씨의 아파트 브랜드이다.

2. 상세

파일:더샵송도마리나베이2.jpg
파일:해운대 엘시티.jpg
파일:arc베이1.webp
파일: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2차.jpg

더샵은 반올림을 뜻하는 음악기호 "샤프(♯)"에서 유래한 것으로 반음 올림, 기존의 음보다 높아진다는 기본 개념과 더불어 온음과 온음 사이에 존재하며 음계를 더욱 풍부하게 해 주는 반음의 역할처럼, "잠자는 곳"과 "일하는 곳"의 사이에 다양한 가치가 창조될 수 있다는 의미, 즉 더샵에서의 삶이 더욱 풍부해지고, 즐거워지고, 세련되게 하고자 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주로 고층 마천루 아파트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롯데캐슬래미안처럼 아파트 이름을 지을 때 더샵 뒤에 펫네임을 많이 사용하는 브랜드이기도 한데, '퍼스트월드', '센트럴스타', '스타시티', '퍼스트파크', '파크리치','파크시티', '센텀스타', '센텀파크', '센텀포레', '아델리스', '스카이타워' 등 더샵 뒤에 펫네임이 들어간 단지들이 많다. 펫네임이 유행이 된 2020년대부터는 다양한 펫네임을 사용하고 있다.

더샵 브랜드가 적용된 초기에는 더샵 센텀스타,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더샵 스타시티 등의 초고층 고급 아파트를 주로 지으면서 고급브랜드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실제로 해당 아파트들은 시간이 지난 현재에도 고가에 거래되는 고급 아파트이며 해당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있다.

2020년 1월, 10년만에 BI 리뉴얼을 단행하였다. 네이밍 또한 '지명 + 더샵' 혹은 '지명 + 더샵 + 펫네임'에서 '더샵 + 지역명' 혹은 '더샵 + 지역명 + 펫네임'으로 바뀌었다.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하면서. 멘디니와 협업하여 외관 디자인 가이드를 만들었으며, 모기업 포스코가 자체 개발한 철강재인 '포스맥'을 이용하여 차별화를 이루었다.

참고로 더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한때 실제로 포스코 더샾이였던 시절이 있기 때문이다.

3. BI/전용 색상

더샵 1.0 BI
(2002~2010)
더샵 2.0 BI
(2010~2019)
더샵 3.0 BI
(2020~)
파일:더샵 BI(2002-2010).svg 파일:더샵 BI(2010-2020.1).svg 파일:더샵 BI_2020.svg
The Sharp Prussian Blue | PANTONE 289C
The Sharp Pure Blue | PANTONE 2140C
The Sharp Sky Blue | PANTONE 2707C
The Sharp Steel Gray | PANTONE Cool Gray 11C

4. 오티에르(HAUTERR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티에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티에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티에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초 더샵과는 별도로 강남권 재건축 수주를 위해 하이엔드 브랜드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이후 몇가지 브랜드가 특허등록이 되어있었는데, 2022년 7월 13일, 하이엔드 브랜드로 오티에르가 론칭되었다.

5. 지역별 단지 현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샵/지역별 단지 현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샵/지역별 단지 현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샵/지역별 단지 현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로 인천(특히 송도)[1][2], 부산[3]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최근에는 경기, 대구에서도 분양 물량이 늘어나는 추세. 다만 서울에서는 이렇다할 네임드 단지가 부족한 편.[4] 최근에서야 강남에서 소규모 재건축 단지 수주에 성공했는데 향후 서울에서 대단지 재건축, 재개발에서도 성과가 있을지 지켜볼 만한 상황. 아무래도 서울 내 재건축, 재개발이 기존 5대 건설사[5]와 브랜드 파워가 센 롯데, HDC 등에 밀리다보니 리모델링 사업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다.

리모델링 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재건축에 비해 리모델링은 준공연한, 안전평가등급 규제 기준이 낮기 때문에 최근 유행처럼 수요가 늘고있다. 개포우성9차, 문정시영 등 대단지도 수주하는 등 리모델링에서는 상당히 좋은 실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메이저 건설사들이 리모델링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않았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실례로 리모델링시장은 원래 쌍용건설 '예가'가 강자였으나 포스코나 롯데, HDC등이 뛰어들자마자 바로 서울권 수주가 막힌 걸 보면 결국 미리 갈고닦았어도 브랜드네이밍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걸 알 수 있다. 실례로 선사현대와 고덕아남은 사업설명회를 포스코건설과 함께 했으나 각각 현대건설-롯데건설 컨소시움, 삼성물산이 시공사로 최종 선정되었다.

6. 외부 링크

7. 관련 항목


[1] 송도에만 30개 이상의 단지가 있으니 말 다했다.[2] 송도국제도시 자체가 미국의 게일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의 합작사인 NSIC(인천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가 중심이 되어 국제업무지구 사업단지를 개발했기 때문에 송도에 더샵 단지가 많을 수 밖에 없다.[3] 해운대구와 수영구 일대에 많이 집중되어있다.[4] 유동인구 많은 건대입구앞 초고층 주상복합인 더샵 스타시티 같은 주상복합은 지은 경험이 더러 있지만, 브랜드 이미지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핵심지역·단일 브랜드·1000세대 이상 대단지’가 사실상 없는게 크다.[5] 삼성물산(래미안), 현대건설(힐스테이트/디에이치), 대우건설(푸르지오/푸르지오 써밋), DL이앤씨(e편한세상/아크로), GS건설(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