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21:01:38

펄스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게임프리크가 개발한 게임}}}에 대한 내용은 [[펄스맨(게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펄스맨(게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펄스맨(게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게임프리크가 개발한 게임: }}}[[펄스맨(게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펄스맨(게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펄스맨(게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메가맨 록 포스의 보스 일람
테러맨 스릴맨 플레이그맨
크립트맨 펄스맨 바이러스맨
워맨 퓨즈맨 데스맨 포톤맨 서모맨
쇼크맨 서킷맨 셔레이드맨
파워맨 포트맨 플레어맨
포트리스 캐슬
피시맨 스포일러 폴라맨
: 메인 8보스 / :퓨전 8보스, 포트리스 캐슬

파일:external/orig06.deviantart.net/pulse_man__mega_man_rock_force__by_karakatodzo-d92chob.png
팬 아트 By : KarakatoDzo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20150729_125839.png

1. 개요2. 게임 내
2.1. 스테이지2.2. 보스전
3. 보상
3.1. 특수 무기: 펄스 스토퍼(Pulse Stopper)3.2. 구출 록 포스: 니트로맨3.3. 퓨전 보스
4. 기타

1. 개요

재활용 연료를 쓰는 새로운 유형의 로봇.

철저하게 기술검증 제공을 위해서만 만들어진 실험체 로봇. 펄스맨과 여타 몇몇의 기계들은 심혈관 순환계를 모티브로 한 새로운 재활용성 수소연료 시스템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기기에 전원을 넣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 유체는 완전 멸균 처리가 되어있지만 이물질에 쉽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 시스템은 한때는 과학계로부터 굉장한 찬사를 받았지만, 펄스맨은 자신이 단순한 실험체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원망스러워했으며 실험 또한 그 이상 진척되질 못하고 철수하고 말았다. 버려진 공장에 펄스맨과 자립형 기계들만을 남겨둔 채...

"왜 바깥이 빨갛게 된 거지?"
  • 장점 : 낮은 유지비
  • 단점 : 무직상태
  • 좋아하는 것 : 오렌지 주스
  • 싫어하는 것 : 주사

Pulse Man

록맨 시리즈의 팬게임 메가맨 록 포스의 보스 중 한 명.

인게임 도트와 일러스트는 순해보이는 반면 셀렉트 화면 머그샷은 의외로 사나운 인상(?)으로 나왔다. 아마도 반란에 동참한 로봇들 중 강경파였는지도 모른다. 버려졌다는 설움이 폭발한 탓에 그런걸지도

2. 게임 내

2.1. 스테이지

스테이지 BGM

공장을 모티브로 한 스테이지. 배관으로 이뤄진 펄스관 사이에서 침입자가 나타나면 공격하는 펄스 발사기[1]와 펄스관을 감싸고 좌우로 이동하며 탄을 날리는 졸개가 있어서 진행하기 까다롭다.
그리고 갤럭시맨을 연상되게 하는 포탈도 등장한다. 포탈은 같은 색깔끼리 짝을 이루고 있으며,[2] 여기서 포탈로 이동하면 포탈이 플레이어를 감싸며 짝을 이룬 포탈로 이동을 시켜준 뒤 포탈의 위치기 다른 곳으로 변경된다. 이를 이용해서 다음 길로 가는 것이 특징이지만, 방향을 잘못 잡으면 가시에 찔려 즉사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 구간을 지나면 펄스관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스파크볼을 날리는 거대한 장치가 중간 보스로 등장하는데,[3] 플레이어는 우측에서 사다리 2개에 매달려 위아래로 이동하며 싸워야 하며 중간 보스의 등장과 동시에 쓰러뜨리기 전까지 위아래를 봉쇄하는 장벽이 생긴다. 이 장벽에 닿으면 데미지를 입으니 사다리에서 떨어져서 싸울 수 없다. 중간 보스는 단순하게 1개의 큰 스파크볼과 전방 5방향으로 퍼지는 스파크볼을 날리는데 큰 스파크볼의 데미지가 크니 주의. 5방향으로 날리는 스파크볼은 다른 사다리에 매달리며 이동해야 피하기 수월하다.
중간 보스를 물리치면 이후 구간에서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빔이 등장한다. 빔에 닿은 경우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면 이동 속도가 빨라지지만,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오히려 느려진다. 해당 구간은 가시가 많기 때문에 조심해서 이동해야 한다.

하드 모드에서는 펄스 발사기의 공격 속도가 빨라지며 펄스관을 감싸며 탄을 날리는 졸개의 수가 늘어나고 공격 속도가 빨라진다. 포탈에 타면 이동시켜주는 속도가 빨라져 이동에 수월해진다. 중간 보스는 공격 속도와 이동 속도가 빨라지며 데미지도 더 커진다. 빔 구간에는 허공에 추가로 가시가 생겨나고 위아래로 움직이는 눈알 모양의 적까지 추가되어 피하기가 더 까다롭다.[4]

2.2. 보스전

보스인 펄스맨은 펄스 스토퍼 때문에 피하기가 까다롭지만, 패턴만 익숙해지면 무난하게 클리어를 할 수 있다. 하드 모드에서는 펄스맨이 이동하는 간격이 줄어들어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펄스 스토퍼의 공격속도도 빨라진데다가 데미지도 커져서 정신 못차리면 순삭 당한다. 신중하게 플레이 해주자.
  • 패턴
    • 패턴 1: 높이 점프하여 착지한 곳에서 충격파가 생긴다. 이후 어떤 패턴으로든 연계할 수 있다. 펄스맨이 이동하는 곳은 좌 우 중앙으로 정해져 있으며, 동일한 곳으로 제자리 점프는 하지 않는다.
    • 패턴 2: 일정 시간 유지되며 반사되는 펄스 스토퍼 4개를 날린다. 펄스스토퍼가 벽에 닿아 궤도가 변하기 때문에 여간 피하기가 까다롭다. 특히 중앙이 아닌곳에서 시전하면 더 피하기 힘들다.이후 패턴 1로 연계한다.
    • 패턴 3: 펄스를 모아 거대 펄스 스토퍼를 날린다. 펄스 스토퍼에 록 버스터등 대부분의 무기를 상쇄하는 효과가 있으며 록맨(록 포스)를 향해 천천히 날아오기 때문에 바닥으로 날아오게 유도하면 점프해서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준할 때 예측해서 점프를 해줘서 공중으로 날아오게 유도를 해주는게 수월하다. 이후 패턴1로 연계한다.
  • 약점[5]

3. 보상

3.1. 특수 무기: 펄스 스토퍼(Pulse Stopper)

심혈관 순환계를 실체화하여 강력한 파장을 일으키는 무기로, 사용 시 록맨의 주위에 동그란 파장이 생기는데 공격키를 누른상태를 유지하고있으면 록맨을 감싸고 있다가 8방향 중 원하는 곳의 방향키를 누르면서 공격키를 떼면 해당방향으로 펄스 스톱퍼가 천천히 이동한다. 최대 3연사가 가능하며 공격력은 약하지만 적의 일부 총알을 상쇄시키고 거의 모든 적을 연타성으로 관통하며 지나간다.

펄스 스토퍼는 서킷맨의 약점으로 작용한다.[7]

3.2. 구출 록 포스: 니트로맨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10-nitro.jpg

록맨이 펄스 스토퍼를 습득하면 바이크 모드로 뒤따라온다. 화면에는 펄스맨 스테이지에서 봤던 소형 펄스 발사기 2정이 겹쳐있는 상태로 가로막는데 이 때 록맨이 펄스 스토퍼를 발동, 펄스 발사기의 총알을 상쇄하며 2마리를 물리치고 니트로맨은 손을 번쩍 들어 환호한 뒤 바이크 모드로 돌아가 이동하는 록맨을 뒤따른다.

플레이어 캐릭터가 니트로맨이 아닌 상태에서 파워맨 스테이지를 플레이하면 중간에 등장하여 E캔을 하나 던져준다.

사용 무기는 휠 커터. 기본 공격 시 땅으로 떨어져서 구르는 휠 커터를 3발까지 발사하며, ↑+공격 시 대각선 방향으로 휠 커터를 던진다. 또한 공격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휠 커터를 발사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며 벽을 타는 것도 가능하다. ↓+공격 유지 시 바이크 형태로 변형하는데, 이 상태에서는 이동속도가 대폭 증가하며 벽을 타고 올라갈 수 있고 록맨 X 시리즈의 대쉬점프 처럼 멀리 점프할 수 있어 스테이지 돌파력이 뛰어나다. 또한, 바퀴에 공격 판정도 있어서 방어력이 약한 적은 그냥 밟아 죽일 수 있고[8] 바이크 변형 시에는 바퀴가 고무라는 절연체 특성까지 있어 쇼크맨 스테이지의 바닥에 전기가 통하는 지형의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단 바이크 형태로 변형 중에는 공격키를 떼지 않는 한 절대 멈출 수 없다. 휠 커터는 연사속도가 느려서 원거리에 있는 적에 대한 순간적인 대처가 힘든데다 지형을 타고 이동하는 무기라서 공중에 있는 적을 상대하기 힘든 등 원거리 대처 능력은 떨어지지만, 이 단점을 압도적인 기동성으로 뒤덮는다. 어지간한 적은 바이크로 변형하여 지나쳐버리거나 접근해서 근접 휠 커터로 처리하면 된다. 또한 록맨 10에서 빠른 진행을 위한 필수요소로 쓰였던 휠 커터 벽타기도 건재하다. 특히, 제자리에서 가만히 있을 때 근접 공격을 계속 유지하면 효과가 더욱 강력하다. 일반 적들에게 니트로맨의 휠 커터는 한방에 2, 바이크로 밟는 공격은 4의 피해를 준다.[9]

니트로맨의 휠 커터는 서킷맨...이 아니라 쇼크맨, 플레어맨, 스릴맨에게 약점으로 작용한다.

조작은 까다롭지만, 숙달되면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 단연 최고의 기동성을 자랑한다. 그리고 이 영상 초반에 편집된 BGM은 록맨 X4에 나오는 제트 스팅렌의 스테이지 테마인데 은근 어울린다. 그리고 밟아죽이는 재미는 덤

3.3. 퓨전 보스

모든 메인 8보스를 클리어할 시에 펄스맨을 소재로 등장하는 퓨전 보스는 다음과 같다.
  • 스테이지 선택창 상 대각선에 위치한 보스(크립트맨, 바이러스맨, 쇼크맨, 셔레이드맨) 중 하나를 마지막으로 클리어하면 크립트맨과 합체해 스릴맨으로 재조립된다.(포트레이트 위치 동일)
  • 십자선에 위치한 보스(펄스맨, 퓨즈맨, 포톤맨, 서킷맨) 중 하나를 마지막으로 클리어하면 바이러스맨과 합체해 플레이그맨으로 재조립된다.

4. 기타

  • 엔딩 후엔 인체기관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단 배경을 살렸는지 인간들과 같이 운동하며 혈액순환을 돕는 체조 강사로 취직하게 되었다. 그런데 웬걸 파이어맨도 같이 따라와 체조에 맛을 들렸다.


[1] 펄스 스토퍼를 주기적으로 플레이어를 향해 발사하는데 후술할 무기 버전과는 달리 탄을 상쇄하는 효과는 없다. 크립트 클록으로 펄스 스토퍼가 안 나오게 할 수 있다.[2] 단 같은 색깔이 4개 나오는 구간은 서로 정해진 짝의 포탈로만 이동되니 그 점을 파악하여 헤쳐 나가자.[3] 해당 중간 보스는 최종 스테이지에서도 한 번 더 등장한다. 참고로 이 스테이지에서건 최종 스테이지에서건 록 포스 멤버 봄버맨과 니트로맨으로 플레이하면, 벽 너머를 공격할 수 없다는 특성, 사다리를 탄 채로 공격할 수 없다는 특성이 겹쳐져서 해당 중간보스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냥 닥치고 생략이 가능[4] 이 눈알모양 졸개는 하드모드 기준으로 펄스맨 스테이지 외 다른 스테이지에서도 등장한다. 그리고 이 졸개 또한 업데이트를 거치며 많은 수정이 이뤄진 녀석인데, 원래는 가시 모양의 즉사 판정이었고 조금만 스쳐도 죽는 까다로운 적이었다. 이후 업데이트로 즉사 판정이 큰 대미지를 주는 것으로 완화되고 스프라이트도 가시가 아닌 눈알 모양으로 바뀌었다.[5] 두 무기 모두 펄스 스토퍼의 상쇄를 무시하고 관통공격을 할 수 있어 펄스맨을 무력화시켜 순삭시킬 수 있다.[6] '이물질에 쉽게 오염된다'는 펄스맨의 설명문이 힌트.[7] '약간의 전자기파를 쐬는 것만으로도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낡고 빈틈도 많은 디자인'이라는 서킷맨의 설명문이 힌트. 이외에 서킷맨은 대놓고 싫어하는 것에 펄스맨이 적혀 있다.[8] 심지어 보스도 HP가 한 칸 남았을 경우에도 예외 없이 밟혀 죽는다.(!!!)[9] 바이크 모드의 니트로맨은 기동성도 빠르다. 바이크 모드에 숙달이 되면 스테이지도 재빠르게 클리어가 가능한 록 포스 대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