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 분야 자격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전문자격 | |
| 공인회계사금융위원회 | 세무사기획재정부 | 보험계리사, 보험중개사, 손해사정사금융감독원 | 관세사, 보세사관세청 | ||
| <colbgcolor=#f5f5f5,#333> 민간자격 | ||
| 국제공인 | CFP · CFA · FRM | |
| 재무설계 | AFPK · 자산관리사 · ARPS | |
| 신용·은행 | 신용관리사 · 신용위험분석사 · 신용분석사 · 여신심사역 ·은행텔러 · (개인/기업)보험심사역 · 신용상담사 · 변액보험판매관리사 · 컴플라이언스 오피서 | |
| 금융투자 | 투자자산운용사 · 금융투자분석사 · 재무위험관리사 ·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 ·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 ·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 · 증권투자권유대행인 · 펀드투자권유대행인 | |
| 회계·세무 | 전산회계 · 전산세무 · 재경관리사 · 회계관리사 · AT 자격시험(TAT/FAT) | |
| 무역·경제 | 물류관리사 · 국제무역사 · 무역영어 · 유통관리사 · TESAT · 매경TEST | |
| }}}}}}}}} | ||
투자자산운용사
Certified Investment Manager
| <colbgcolor=#f60><colcolor=#ffffff> 자격증명 | 투자자산운용사 Certified Investment Manager |
| 주관사 | 한국금융투자협회 |
| 출제기관 | 한국금융투자협회 |
| 시행일 | 2013년 ~ 현재 |
| 시험 문항 | 100문항 |
| 시험 시간 | 120분 |
| 시행 횟수 | 연 4회 |
1. 개요
집합투자재산, 신탁재산 또는 투자일임재산을 운용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
한국금융투자협회 법규정보시스템
한국금융투자협회 법규정보시스템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주관하는 국가등록 민간 자격증이다. 자산운용사 활동을 하려면 해당 투자자산운용사를 무조건 필수적으로 따야 된다. 취업준비생들이나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흔히 '투운사'라고 줄여 부른다.
2. 내용 및 특성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주관하는 자격증으로 옛 증권FP가 일임투자자산운용사로 이름을 바꿨다가 2010년 집합투자자산운용사와 통합돼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3년부터 시험범위, 문제수, 시험시간 등 많은 부분이 개편되었다. 난이도는 점차 회차를 거듭할수록 까다로운 개념을 조금씩 추가해서 내고 있어서 기존의 패스코드 교재 + 기타 교재를 통하여 공부를 하는 것이 좋다.시험은 1~3과목으로 나뉘고 1과목은 금융상품 및 세제[1], 2과목은 투자운용 및 전략Ⅱ 및 투자분석, 3과목은 직무윤리 및 법규, 투자운용 및 전략,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로 구성된다. 투자운용 및 전략Ⅱ가 투자운용 및 전략보다 앞서 위치한 이유는 두 자격증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유사한 부분끼리 과목을 나누다보니 저렇게 된 듯하다. 시험은 1과목 20문제, 2과목 30문제, 그리고 3과목 50문제로 총 100문제를 동시에 본다. 합격기준은 전체 문제중 70%(과목별 40% 미만은 과락). 2012년까지는 130문제였는데 2013년 시험부터 100문제로 문제수가 줄고 시험범위도 개편되었다. 문제수가 줄면서 시험시간도 2시간으로 줄어들었다. 시험 시행은 1년에 4회를 실시하고 합격률은 약 30% 정도로 난이도에 비해 꽤나 낮다.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실시하는 3대 금융 자격증(투자자산운용사, 금융투자분석사, 재무위험관리사) 중에서는 가장 평이한 편이다. 그러나 나머지 두 시험이 난이도가 국내 자격증 중에서는 꽤나 높은 편인 만큼 투자자산운용사 또한 마냥 쉽기만 한 시험은 아니다. 적어도 금융3종으로 불리는 투자권유자문인력 시험보다는 확실히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40회차를 기점으로 신유형이 대거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성 있는 펀드매니저 운용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보다 다양한 개념에서 문제를 출제하도록 한다는 것이 협회 측의 입장이다. 더 이상 문제은행식에 국한되지 않고, AFPK 등의 시험과 같이 정말로 꼼꼼히 공부를 했는지를 파악하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 합격 자료보다 최근 투자자산운용사를 취득한 사람들의 후기를 듣고 그에 맞게 대비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보인다.
출제할 때 선택지들 구성하기가 귀찮았는지 개수 구하는 것으로 대충 때운 듯한 문제들이 있다. 수능과 같이 권위 있는 시험들처럼 선택지가 구성되어 있으면 공부한 정도에 따라 변별력이 생기는데 개수 구하기 문제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취약할 수밖에 없다.
2016년 10월 24일부로 합격 후 5년 내 미등록 시 자격이 취소되는 것이 폐지되고 보수교육을 강화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3. 시험 과목
| <rowcolor=#fff> 시험과목 | 세부교과목 | 문항수 | |
| 제1과목 | 금융상품 및 세제 | 세제관련 법규ㆍ세무전략 | 7 |
| 금융상품 | 8 | ||
| 부동산관련 상품 | 5 | ||
| 제2과목 | 투자운용 및 전략Ⅱ | 대안투자운용ㆍ투자전략 | 5 |
| 해외증권투자운용ㆍ투자전략 | 5 | ||
| 투자분석 | 투자분석기법 | 12 | |
| 리스크관리 | 8 | ||
| 제3과목 | 직무윤리 및 법규 | 직무윤리 | 5 |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 7 | ||
| 금융위원회 규정 | 4 | ||
| 한국금융투자협회 규정 | 3 | ||
| 투자운용 및 전략Ⅰ | 주식투자운용ㆍ투자전략 | 6 | |
| 채권투자운용ㆍ투자전략 | 6 | ||
| 파생상품투자운용ㆍ투자전략 | 6 | ||
| 투자운용결과분석 | 4 | ||
| 거시경제 및 분산투자 | 거시경제 | 4 | |
| 분산투자기법 | 5 | ||
| 100문항 | |||
4. 난이도 및 합격률
| <rowcolor=#fff> 시험명 | 검정연도 | 접수자 수 | 응시자 수 | 취득자 수 | 합격률 |
| 투자자산운용사 | 2024 | 33,301 | 24,979 | 9,857 | 39.46% |
| 2023 | 29,148 | 22,091 | 8,325 | 37.69% | |
| 2022 | 28,749 | 21,580 | 7,864 | 36.44% | |
| 2021 | 30,877 | 23,753 | 8,914 | 37.53% | |
| 중략 | |||||
| 2014 | 8,362 | 5,487 | 1,366 | 24.9% | |
| 2013 | 9,049 | 5,774 | 1,338 | 23.17% | |
5. 우대 기업
본 자격증을 우대하는 증권사 및 기업은 다음과 같다. 그 밖에도 무수히 많다.- IBK투자증권
- 한화투자증권
- 신한투자증권
- NH투자증권
- 키움증권
- 신영증권
- 미래에셋증권
- KDB 인프라
- 한화자산운용 공고
- 한국투자신탁운용 공고
- 엠디엠자산운용 공고
- 교보악사자산운용 공고
- 삼성자산운용 공고
- 신영자산운용
- 신한자산운용
- DB자산운용
- 메리츠대체투자
- NH농협은행
- KB국민은행
- 신한은행
- 광주은행
- 하나은행
- 전북은행
| <rowcolor=#fff> 투자자산운용사 우대사항 예시▼ (우대사항란에 KICPA와 CFA와 마찬가지로 가점 부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