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3:19:11

팀 포트리스 2/입문자 가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팀 포트리스 2
파일:Team-Fortress-2-Logo-Transparent-File.png
팀 포트리스 2 하위 문서
설정 및 등장인물 게임 모드 아이템 시스템
업데이트 만화 트롤링
관련 문서
공식 영상(팀원을 만나다) 색시 어워드 GIBUS/F2P 스씨 미사용 콘텐츠

1. 개요2. 초기 설정
2.1. 시작 옵션 설정2.2. 최적화 모드
2.2.1. 프리셋 설정2.2.2. 세부 설정2.2.3. 설치
2.3. 게임 플레이
2.3.1. 훈련2.3.2. 캐주얼2.3.3. Mann 대 기계 (MvM)2.3.4. 커뮤니티 서버2.3.5. 클래스 선택과 무기

1. 개요

팀 포트리스 2를 처음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 문서. 팀 포트리스 2가 2007년에 발매된 오래된 게임이라, 기본 세팅만으로는 원활한 플레이가 힘들어 본인에게 맞는 설정을 하여야 원활하게 게임을 할 수 있다.

본 문서는 팀 포트리스 2를 입문한 사람을 위한 초기 세팅과 기초 개념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초기 설정

팀 포트리스 22007년에 나온 오래된 게임이라 모든 설정이 그 시절의 게이밍 환경에 맞추어져 있어, 현재 더 좋아진 PC 스펙과 네트워크 환경에는 오히려 큰 불편함이 생긴다.[1] 따라서 시작옵션과 최적화 모드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좋다.

2.1. 시작 옵션 설정

스팀 라이브러리의 팀 포트리스 2우클릭하여 속성으로 가면 실행 옵션이 있다. 실행 옵션 부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novid -nojoy -nosteamcontroller -nohltv -particles 1

해당 옵션을 입력하면 인트로 영상 제거, 게임패드 옵션 제거, 데모 녹화 기능제거 등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원활한 플레이에 도움을 준다.

본인의 기호에 따라 다른 추가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나, 잘못 사용할 경우 크래시를 유발하므로 해당 문서에는 설명하지 않는다.

2.2. 최적화 모드

64비트 패치로 최적화가 한결 나아져서 선택요소가 되었으나 옛날의 네트워크 옵션과 불필요한 리소스들은 여전히 그대로 이기에 좀 더 나은 설정을 위해 최적화 모드를 사용하는것이 권장된다.

이 문서에서는 최적화 모드들 중에서 제일 설정하기 쉬운 Mastercomfig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2.2.1. 프리셋 설정

  • Ultra - 최소한의 요소만 제거한 최고 옵션. 라이젠 7000 시리즈인텔 코어 Ultra 시리즈같은 상급형 CPU를 사용하고 있을 때 권장한다.
  • High - 울트라 보다는 옵션을 하향 조정하여 낮추는 옵션. 약간의 그래픽 저하가 발생한다.
  • Medium High, Medium, Medium Low - 해당 옵션들 부터 크게 그래픽이 낮아지기 시작한다. 시체 삭제 상당수의 효과들이 삭제된다.
  • Low - 경쟁형 유저들이 많이 사용하며 최대한 그래픽을 낮추어서 성능을 크게 높히는 옵션. 다만 총 궤적이나 시체가 사라짐으로써 유발되는 시각적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 Very Low - 초저사양 컴퓨터 전용 옵션이며 플레이에 불편할 정도로 옵션을 극한으로 낮추어 성능을 끌어올리는 옵션이다. 정말 오래된 컴퓨터가 아닌 이상 오히려 문제점이 생길 수 있어 권장하지 않는다.

2.2.2. 세부 설정

프리셋을 본인의 취향에 맞게 수정할 수 있으나, 번거롭다면 그냥 프리셋 설정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는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 지정 옵션 (Customize)
[ 펼치기 · 접기 ]
* 모델 품질(Model Quality) : 모든 3D 모델들의 디테일을 설정하는 옵션. 낮출수록 모델이 각져지는등 디테일이 줄어든다.
  • 물 옵션 (Water) : 맵의 물 디테일을 설정하며 낮게 설정할 수록 아군이나 적이 보이지 않아 불편할 수 있다.
  • 파이로 시야경 (Pyrovision) : 장식 아이템인 파이로 시야경을 착용하면 텍스쳐와 모델이 변경되는데 해당 옵션을 끄면 아이템을 착용해도 보이게 되지 않는다.
  • 안티 에일리어싱 (Anti-Aliasing) : 계단 현상을 방지해 그래픽을 깔끔하게 해주나 프레임 저하가 심해 끄는것을 추천한다.
  • 캐릭터 품질 (Characters) : 캐릭터 묘사의 디테일을 설정한다. 낮출수록 표정이 없어지거나 복장 등의 디테일이 줄어든다. 룩딸 유저라면 높음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 데칼 옵션 (General Decals,Model Decals,Map Decals) : 벽의 탄흔, 혈흔같은 표면 효과나 유저의 커스텀 스프레이 등을 표시한다. 너무 낮추면 스프레이가 보이지 않게 된다.
  • 스프레이 데칼 (Spary Decals) : 유저 스프레이를 보여주게하는 옵션 중 하나지만 다른 데칼옵션도 비활성화 하거나 낮추면 스프레이가 보이지 않게 된다.
  • 육편 (Gibs) : 폭발 공격에 당하면 캐릭터가 사지분해되는데 낮추거나 비활성화 할 수도 있다. 본인이 잔인한것을 싫어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원하면 낮추거나 비활성화 해야한다.
  • 프롭 (Props) : 게임 내 오브젝트의 디테일을 설정한다. 더 나은 프레임을 원한다면 낮음으로 설정해야한다.
  • 래그돌 (Ragdolls) : 아군/적 캐릭터들의 시체 디테일을 설정한다. 만약 비활성화 한다면 아군이나 적의 시체가 보이지않아 상황판단이 늦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한다.
  • 텍스쳐 품질 (Texture Quality) : 모든 3D 사물들의 질감 옵션. 룩딸이 우선이라면 컴퓨터 사양이 허용하는 정도로 높게 설정하자.
  • 초당 프레임 제한 (FPS Cap) : 높은 초당 프레임(FPS) 일수록 화면이 부드러워지며 더 낮은 지연시간과 판정의 정밀함을 얻을 수 있으나, 초당 프레임이 매우 불안정한 저사양 유저라면 65에서 75정도로 맞춰서 과부하를 방지하는게 좋다.
  • 수직 동기화 (Vsync) : 화면 갈라짐을 방지하는 옵션이나 프레임 저하가 매우 심각하므로 무조건 끄는 것이 좋다.
  • 3D 플레이어 모델 표시 (Player Model) : HUD에 플레이어 모델을 3D로 표시한다. 스파이 플레이 시 어떤 유저와 무기로 변장하였는지 보여주므로 상당히 유용하다. 그러나 저사양 PC라면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어 단점.
  • HTML MOTD : 커뮤니티 서버(사설 서버)에서는 MOTD (오늘의 서버 메세지)를 웹페이지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버마다 공지와 규칙이 다르므로 민폐를 방지하기 위해 가급적 켜는것을 권장한다.

애드온 (Addons)
최적화 뿐만 아닌 조작이나 편의성을 위한 애드온도 제공한다.
[ 펼치기 · 접기 ]
* Null-Canceling Movement : 이동 키를 동시에 눌렀을 때 정지하는 대신 마지막 키의 입력을 반영하는 애드온.
  • Flat mouse : 마우스 가속과 필터 옵션을 끄고 마우스 입력을 그대로 반영하는 애드온.
  • No tutorial : 팁이나 조작 팝업을 제거한다. 화면을 가리는게 불편하면 쓸만하다.
  • Disable Pyroland : 파이로 시야경을 착용할 때 나오는 파이로 세계를 비활성화 한다.
  • Transparent Viewmodels : 1인칭 손과 무기 모델을 반투명화 한다. 안티에일리어싱을 비활성화 해야한다.
  • Low Memory : 2GB 이하의 RAM을 사용하는 PC를 위한 옵션. 그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이 저하되니 사용을 하지않아야한다.

2.2.3. 설치

다운로드 받은 파일들을 압축 해제하여 스팀 라이브러리의 팀 포트리스 2를 우클릭하여 속성 - 설치된 파일 - 로컬 파일 탐색으로 이동하여 tf 폴더에 있는 custom 폴더에 최적화 모드 파일을 넣는다.

2.3. 게임 플레이

해당 항목에서는 간단한 게임 플레이와 클래스 선택, 필수 언락, 프리미엄 유저 승급 등에 대해 설명한다.
더 자세한 심화 과정에 대한 설명은 팀 포트리스 2/팁을 참조할 것.

2.3.1. 훈련

기본적인 클래스와 조작을 배우는 모드이며 끝나고 나서는 봇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훈련 모드는 업데이트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한의 조작법만 배우고 나무위키 문서나 가마솥 거품 마이너 갤러리, 유튜브 등지에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좋다.

2.3.2. 캐주얼

오버워치 2등의 빠른 대전과 같은 모드이며 다른 점은 실력 기반 매치메이킹이 없으며 클래스와 무기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에서 플레이하게 된다면 도쿄,홍콩,싱가포르,서울 서버에서 플레이 하게 된다.

텍스트나 음성채팅과 음성 명령을 사용하고 싶다면 프리미엄 유저 승급을 해야하는데 Mann co. 상점에서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오렌지 박스를 세일중에 구매하여 승급을 할 수 있다.팀포갤 글

2.3.3. Mann 대 기계 (MvM)

팀 포트리스 2의 협동 PvE모드이며, 커뮤니티 서버Mann co. 답게 서버를 플레이 할 수 있다.
Mann co. 답게는 Valve의 공식 서버에서 플레이하게 되며 복무권을 구매하여야 플레이 할 수 있다.

Mann co. 답게에서는 상급과 전문가 난이도 작전에서 희귀한 보상인 오스트레일리움 무기를 얻을 수 있어 상급과 전문가 미션인 두 도시 작전기기 분쇄기, 기계 엔진 작전 만 돌아가기 때문에 해당 작전위주로 알아보는것이 좋다.

일반 캐주얼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의 플레이를 요구하기 때문에 자세한 공략은 Mann 대 기계 모드/임무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2.3.4. 커뮤니티 서버

팀 포트리스 2 발매부터 계속 이어져내려온 사설 서버 방식. 유저들이 서버를 직접 만든 서버를 할 수 있다.
한국 서버 기준 2025년은 현재 기본모드에 치중한 클래식 공방서버와 다양한 모드를 하는 종합모드 서버들이 전부이다. 서버마다 분위기와 규칙이 다르기 때문에 공지를 잘 읽는것이 좋다.

사설 서버 종류는 공방 서버, 커스텀 모드 서버, 1대1 대전을 하는 MGE, 점프 서버와 버니합/서프 서버가 있다.

대부분 사설 서버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sourcemod라는 서버 플러그인을 사용하는데, 채팅창 명령어로 원활한 이용을 할 수 있다.

사설서버 채팅 명령어 모음
[ 펼치기 · 접기 ]
채팅창에 다음과 같이 치면 된다.
motd : 서버의 오늘의 메세지(공지)를 띄워준다. Html Motd가 비활성화 되어있으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nextmap : 다음 맵을 표시해준다
/timeleft : 맵이 바뀌기 전 남은 게임 진행시간, 남은 라운드를 표시해준다.
/rtd : (일부 서버에는 비활성화) 맵 투표를 요청하거나 진행할 수 있다.
/votemap : (일부 서버에는 비활성화) /rtd와 똑같은 명령어다.
/nominate : (일부 서버에서는 비활성화) 다음 맵 투표를 할 때 투표를 진행할 맵을 넣을 수 있다.
/votekick : (일부 서버에서는 비활성화) 추방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2.3.5. 클래스 선택과 무기

클래스 선택
처음 플레이하는 유저의 경우 대부분 솔저,파이로,헤비,엔지니어를 많이 추천 받으며 메딕도 추천을 많이받으나 힐러 특성상 중요도가 높기때문에 몇판 플레이하고 감을 잡고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무기를 구하는 방법
팀 포트리스 2는 Mann Co. 상점에서 무기를 구매[2]할 수 있지만 게임 중 일정 시간마다 무기가 드랍되기 때문에[3] 상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는것은 매우 비추천 하며 가마솥 거품 마이너 갤러리등에서 플레이타임을 밝힌 후 무기를 줄 수 있는지 부탁하는게 좋다.[4]. 당연히 과한 요구는 금물이다.


클래스 별 역할/난이도/추천 무기 요약
필수 무기는 볼드 처리

공격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scout.png 스카웃 : 난이도 어려움, 제일 빠른 속도를 이용한 기습과 암살. 체급이 낮아 숙달 난이도가 높다.
추천 무기는 기본 무기, 계집얘 같은 사내의 소형 권총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soldier.png솔저 : 난이도 쉬움 ~ 어려움 올라운더 형 클래스 및 로켓 점프를 이용한 기동성 강습 공격수. 그러나 게임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추천 무기는 건보츠, 징계 조치, 사기 증진 깃발(Mann 대 기계 모드에서 필수)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pyro.png파이로 : 난이도 쉬움 ~ 보통 근접전문 공격,압축공기 분사(속칭 붕붕이),화상을 이용한 스파이 제거를 할 수 있는 공격과 수비 전문 병과.
추천 무기는 전원 잭, 플로지스톤 활성화 장치(Mann 대 기계 모드에서 필수), 가스 패서(Mann 대 기계 모드에서 필수)

수비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demoman.png데모맨 : 난이도 보통 ~ 어려움 유탄발사기와 점착 폭탄 발사기를 이용한 전문 폭발 딜러
추천 무기는 기본 무기로도 충분하다.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heavy.png헤비 : 난이도 쉬움 ~ 보통 미니건과 강력한 체급을 이용한 안티 로머, 근접 딜러, (우버차지 상태 한정) 탱커.
추천 무기는 샌드비치, 강철 주먹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engineer.png엔지니어 : 난이도 쉬움 ~ 보통 센트리 건과 디스펜서, 텔레포터를 이용한 방어+지원 담당.
필수 무기는 구조 대원, 원격 조련 장치(랭글러)

지원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medic.png메딕 : 난이도 쉬움 ~ 보통 게임의 유일한 전문 힐러. 입문은 쉽지만 유일한 힐러라 팀 영향력이 높은 클래스.
필수 무기는 십자군의 쇠뇌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sniper.png스나이퍼 : 난이도 어려움 원거리형 암살자. 포지션 특징 상 어렵지만 타 FPS 게임에서 본인의 피지컬이 좋아 저격에 익숙하다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병과이다.
추천 무기는 안락한 야영 장비, 다윈산 차단막
파일:external/wiki.teamfortress.com/Leaderboard_class_spy.png스파이 : 난이도 어려움 적이 방심했을때 암살 및 적 엔지니어 구조물을 교란하는 은신형 암살자.
추천 무기는 재력가

자세한 플레이 팁은 병과별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1] 로켓과 유탄같은 투사체가 느리게 나가거나 1인칭 무기 모델이 너무 확대되어 보이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2] 싸지도 않고 몇 십원짜리 무기를 3000원 짜리에 파는등 터무니없이 비싸다.[3] 정확히는 30~70분, 2주에 최소 5개~ 최대 12개 정도를 획득할 수 있다.[4] 거래제안을 통해 무기를 주기 때문에 보관함 공개 설정은 필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