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리스 로마 신화의 거인족 티탄 / 타이탄 (Titan)의 여성형 명사2. 중세 유럽의 전설에 등장하는 요정의 여왕3. 천왕성의 위성4. 이산화 타이타늄5. 독일에 본사를 둔 발관리용품 제조 업체6. 대중매체
1. 그리스 로마 신화의 거인족 티탄 / 타이탄 (Titan)의 여성형 명사
Titania. 영어식 발음 표기로는 타이타니아.2. 중세 유럽의 전설에 등장하는 요정의 여왕
중세 유럽의 여러 민담과 전설에 등장하는 요정의 여왕으로, 요정의 왕 오베론의 아내[1]다. 원래 정해진 이름이 없었다가 셰익스피어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티타니아라는 이름을 따와서 한여름 밤의 꿈에서 처음 사용했다.티타니아는 이처럼 원래 요정 여왕의 이름이 아니었다. 변신 이야기에서 티타니아라는 호칭은 상술하듯 그리스 신화의 여신들(디아나(아르테미스) 등)을 칭송하는 경칭이다. ‘티탄 신족의 여성‘(즉 그리스 여신)이란 의미를 가진 일반명사였다. 셰익스피어가 오베론의 아내에게 이 이름을 붙여준 이유는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다. 단순히 ‘고귀하고 여신과 같은 존재‘란 의미로 티타니아란 이름을 붙여준 것일 수도 있고, 그녀가 실제로 그리스의 신족과 혈연이 있다는 숨겨진 설정을 만들어낸 것일 수도 있다. 대부분이 전자가 맞다고 생각하지만, 후자 역시 흥미로운 가설이다. 브레톤의 신화는 로마 점령기에 그리스/로마 신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티타니아 말고도 요정의 여왕의 이름을 만들어 내서 사용한 작가들도 있다. 셰익스피어는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마브라는 이름을 만들어 사용했고[2], 에드먼드 스펜서는 요정여왕에서 글로리아나라는 이름을 만들어 사용했다. 훗날 몇몇 매개체[3]에서는 때때로 티나(Tina)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한 여름밤의 꿈에서는 머리가 당나귀로 변해버린 보텀이라는 인간 남자와 바람이 나지만[4] 원전 설화에선 티타니아가 바람이 난 적이 없고 오히려 바람을 피우는 쪽은 오베론이며 티타니아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헤라같은 성격으로 묘사된다.
3. 천왕성의 위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타니아(위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타니아(위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이산화 타이타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산화 타이타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산화 타이타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독일에 본사를 둔 발관리용품 제조 업체
대한민국에도 잘 알려져 있다. 값이 좀 비싼 편이지만 비싼만큼 제 값을 톡톡히 한다. 발톱무좀이나 여러 발관련 치료제도 효과가 좋은 편이다.6. 대중매체
6.1. 예능
무한도전에서 2011년 달력 촬영을 위해 한여름밤의 꿈 연극을 할 때 박명수가 2번 문단의 인물 역[5]을 맡게 되었는데, 여장을 해도 찰떡인 외모에 호평이 자자해서 밈이 되기도 했다. 훗날 후술한 쿠키런: 킹덤에 세인트릴리 쿠키가 등장하면서 이 여장 에피소드가 유튜브에서 재발견[6]되고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다. [7] 박명수에게 “세인트릴리 명수“ 라는 별명이 붙은 건 덤. 후에 원신에도 나히다가 공개되자 또다시 주목을 받게되었다.6.2. 게임
6.2.1. 여신전생 시리즈
해당 게임에 등장하는 요정계열 악마. 어원은 2번 항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타니아(여신전생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티타니아(여신전생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2. Warframe
2016년 4월 25일 PAX EAST에서 처음 공개된 후 백은의 숲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워프레임 워프레임 티타니아
어원은 2번 항목이다.
6.2.3.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희 티타니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춘희 티타니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어원은 2번 항목.
6.2.4. 데스티니 차일드
해당 게임에서의 등장 차일드 중 티타니아
어원은 2번 항목이다.
6.2.5. 쿠키런: 킹덤
세인트릴리 쿠키의 스킨 중 비스트이스트 에피소드 2 스토리에서 나온 세인트릴리 쿠키의 1차 각성 모습의 스킨인 “한밤에 피는 백합의 요정 세인트릴리 쿠키“는 2번 항목을 모델로 만들어졌다. 여담으로 세인트릴리 쿠키와 스토리와 2차창작에서 자주 엮이는 두 캐릭터인 퓨어바닐라 쿠키의 레전더리 스킨인 한낮 꿈속의 풀빛 왕관 퓨어바닐라 쿠키의 모티브와 요정왕 쿠키의 메인 모티브는 티타니아의 남편인 오베론[8]이다.
6.2.6. 파이널 판타지 14
해당 게임의 보스 티타니아. 2번 항목이 어원이다.
6.2.7. 라스트오리진
해당 게임에 등장하는 바이오로이드인 티타니아 프로스트의 모델. 어원은 2번 항목
6.2.8. 플레이스테이션4,5 게임 기동전사 건담 배틀 오퍼레이션 코드 페어리
티타니아(MS)의 모델로 어원은 2번 항목.
6.2.9. Fate 시리즈
Fate 시리즈에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순수한 창작이라서 영령으로 소환되지 않는다고 한다. 오베론은 자신의 아내를 지워버린 셰익스피어에게 독을 바른 편지를 보낼 정도로 원망하고 자신만의 티타니아를 원하면서, 한편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티타니아'를 사랑 하고 추구한다는 긍지를 가지고 있다.오베론 마테리얼에 따르면, 티타니아는 다양한 요정과 여신(마브, 디아나, 티탄)의 복합체로서 창작된 요정이기에 신성 스킬을 지니고 있을 것이라고 한다. Fate 세계에서 마브와 티타니아는 동일시되는 요정여왕이나 한 존재에서 갈라진 게 아닌, 요정 여왕인 마브를 티타니아의 모티브 중 하나로 따왔다는 설정이다.
오베론의 일러레인 우미노 치카는 티타니아의 스케치 단계는 있지만 "오베론이 볼수 없는 티타니아를 대중에게 공개하는 건 차마 할 수 없다."고 하면서 미공개로 두었다.
6.2.10. 록맨 제로
솔 티타니안: 어원은 2번 항목이 되었으며, 본디 오베론을 모델로 하려했으나 여성형 보스로 정해지는 바람에 티타니아가 모델이 됐다 한다.
6.3. 소설
6.3.1. 한국의 라이트 노벨 보스 몹답게 행동하세요, 스왈로우 씨!
티타니아의 모델로 어원 항목은 2번.
6.4. 만화
6.4.1. 마법사의 신부
티타니아: 티르 나 노그에 거주하는 요정여왕. 이름 어원은 해당 문서의 2번 항목.6.5. 그 외
6.5.1. SEGA의 리듬 게임 프랜차이즈 게키츄마이 시리즈의 수록곡 Titania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itania#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itania#|]]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때때로 여자친구나 약혼녀라는 설정도 보인다.[2] 다만 마브 자체는 메브, 메이브라고도 하여, 웨일스 전승에서는 요정 일족인 털루이스 테그 중 에서슬론의 여왕이기도 하다.[3] 예시[4] 사실 이것도 마법의 힘때문에 강제로 반하게 된 경우라서...[5] 여담으로 나머지 배역은 다음과 같다.
오베론 - 노홍철
퍽 - 하하
허미아 - 정준하
라이샌더 - 유재석
헬레나 - 장윤주
디미트리어스 - 정형돈
보텀 - 길
나레이션 - 문지애[6] 2분 17초부터[7] 무려 몇 영상은 쿠키런: 킹덤 공식 채널로부터도 확실히 닮았다는 댓글을 받았다.[8] 티타니아의 반려라는 설정은 전자에, 요정들의 왕이라는 설정은 후자에 부여해서 둘이 모티브를 나눠가진듯하다.
오베론 - 노홍철
퍽 - 하하
허미아 - 정준하
라이샌더 - 유재석
헬레나 - 장윤주
디미트리어스 - 정형돈
보텀 - 길
나레이션 - 문지애[6] 2분 17초부터[7] 무려 몇 영상은 쿠키런: 킹덤 공식 채널로부터도 확실히 닮았다는 댓글을 받았다.[8] 티타니아의 반려라는 설정은 전자에, 요정들의 왕이라는 설정은 후자에 부여해서 둘이 모티브를 나눠가진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