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color=#DA251C><tablebordercolor=#29166F><table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4E109><colbgcolor=#240d70> 상징 | 설산사자기 · 티베트/문장 |
역사 | 역사 전반 · 토번 · 구게 왕국 · 청나라 치하 티베트 · 티베트(1912~1951) ·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노동수용소 | |
대외관계 | 티베트 망명정부 | |
경제 | ||
문화 | 티베트 불교 · 요리 · 티베트어 · 티베트 문자 · 티베트 의학 · 종(건축물) | |
인물 | 송첸감포 · 적송덕찬 · 가르친링 · 달라이 라마 5세 · 판첸 라마 9세 · 판첸 라마 10세 ·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 게둔 최키 니마 · 팔덴 갸초 · 까루 린포체 | |
지리 | 티베트 고원 · 칭하이 호 · 라싸시 · 르카쩌시 | |
민족 | 티베트족 | |
기타 | 티베토필리아 · 판첸 라마 · 달라이 라마 · 포탈라궁 · 노블링카 · 티베탄 마스티프 · 티베탄 테리어 · 라사압소 |
티베트군 དམག་དཔུང་བོད་ | Tibetan Army | ||
| ||
군기 | ||
<colbgcolor=#240d70><colcolor=#f5e202> 소속 |
| |
창설일 | 1913년 2월 13일 | |
해산일 | 1951년 5월 23일 | |
정규군 | 약 10,000명 (1936년) |
1. 개요
티베트군(티베트어: དམག་དཔུང་བོད་)은 1913년 2월 13일 제13대 달라이 라마가 창설한 티베트의 정규군으로, 1951년 5월 23일 17개조 협정 체결로 공식 해체될 때까지 존재했다. 1912년 9월 달라이 라마의 티베트 독립 선언 직후 조직이 시작되었으며, 영국군의 훈련과 장비 지원을 받아 일부 근대화가 이루어졌다.티베트군은 당시 티베트의 국가적 군사력의 핵심으로 기능했으나, 무장 수준과 훈련은 제한적이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의 티베트 침공과 1951년 17개조 협정으로 인해 해체되었다. 해산 후 일부 병력은 중국군에 편입되거나 민병대로 남아 1959년 티베트 봉기 당시 저항 활동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