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1 17:17:46

티로신

유기화합물 - 카복실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ee88><colcolor=#000> 지방산 포화지방산
탄소 개수로 표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2 · 24 · 26 · 28 · 30 · 31 · 32 · 33 · 34 · 35 · 36
불포화지방산 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아미노산 구성 아미노산 글루타민 · 글루탐산 · 글리신 · 라이신 · 류신 · 메티오닌 · 발린 · 세린 · 시스테인 · 아르기닌 · 아스파라긴 · 아스파르트산 · 알라닌 · 이소류신 · 트레오닌 · 트립토판 · 티로신 · 페닐알라닌 · 프롤린 · 히스티딘
비단백 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탄산 · 셀레노메티오닌 · 셀레노시스테인 · 시트룰린 · 오르니틴 · 카르니틴 · 테아닌 · 피롤라이신 · 아스파탐
기타 글루카르산 · 글루콘산 · 글루크론산 · 글리세린산 · 나이아신 · 나프록센 · 레불린산 · 말레산 · 말론산 · 말산 · 벤조산 · 살리실산 · 시트르산 · 아디프산 · 아세토아세트산 · 알다르산 · 알돈산 · 앱시스산 · 옥살산 · 우론산 · 이부프로펜 · 이소시트르산 · 점액산 · 젖산 · 크실론산 · 타타르산 · 탄산 · 판토텐산 · 피루브산 · 감마수산화부탄산 · 하이드록시시트르산 · 디클로페낙 }}}}}}}}}


파일:L-tyrosine.png
Tyrosine (Tyr, Y)

1. 개요2. 상세

1. 개요

티로신(Tyrosine)은 방향족 화합물이자 단백질 생성에 관여하는 20가지 표준 [[아미노산]] 중 하나로, 비필수 아미노산에 해당한다. 영어 발음에 따라 타이로신이라고도 하는데 치즈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고전 그리스어로 치즈를 뜻하는 τυρός(tyros)[1]에서 이름을 따왔다.

티로신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의 카테콜아민 계열 신경전달물질, 그리고 멜라닌, 갑상선 호르몬(특히 티록신) 등의 생합성 전구체로 작용하며, 생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경계, 내분비계, 색소 형성 등 다양한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핵심 물질로 평가된다.

2. 상세

페닐알라닌벤젠 고리 끝에 알코올기(-OH)가 붙은 형태로, 실제로 페닐알라닌이 남아돌면 이걸로 티로신을 만든다. 이게 잘 안 될 경우가 알캅톤뇨증, 페닐케톤뇨증, 티로신혈증, 알비노 같은 대사 이상 질환이다.

벤젠고리에 붙어 있는 OH에서 수소 하나만 떼어 주면 훌륭한 라디칼이 되기 때문에 각종 효소의 활성부위엔 티로신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또한 단백질 안에서는 티로신의 OH기에 인산을 붙여서 단백질 활성을 조절하기도 한다.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처럼 세포 신호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도 이 원리를 이용한다.

필수 아미노산이 아니지만, 페닐알라닌이 부족할 경우 그 자리를 티로신으로 갈음할 수는 있다. 물론 미봉책이니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자.

또한 피브로인, 티록신, 인슐린을 구성하는 블록(block)이 되기도 하며, 티로신을 분해하여 멜라닌 색소,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도파(L-Dopa) 등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RTK)를 구성하여 세포의 신호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티로신은 발견된 곳이 그렇듯 우유, 치즈, 버터등 유제품에 많이 들어 있으며, 이는 티로신혈증 안에 티로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알캅톤뇨증, 페닐케톤뇨증, 티로신혈증 등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이런 음식을 피해서 먹는 것이 좋다.

트립토판과 함께 가장 강력한 chromophore로써 기능하며, 자외선(280nm) 흡수가 강해 단백질 정량 측정 등에 자주 쓰인다.



||<tablealign=center> 코돈 ||<-4> → 두 번째 염기 || ||
↓ 첫 번째 염기(5' 말단) U C A G ↓ 세 번째 염기
U UUU Phe
UUC Phe
UUA Leu
UUG Leu
UCU Ser
UCC Ser
UCA Ser
UCG Ser
UAU Tyr
UAC Tyr
UAA Stop
UAG Stop
UGU Cys
UGC Cys
UGA Stop
UGG Trp
U
C
A
G
C CUU Leu
CUC Leu
CUA Leu
CUG Leu
CCU Pro
CCC Pro
CCA Pro
CCG Pro
CAU His
CAC His
CAA Gln
CAG Gln
CGU Arg
CGC Arg
CGA Arg
CGG Arg
U
C
A
G
A AUU Ile
AUC Ile
AUA Ile
AUG Met
ACU Thr
ACC Thr
ACA Thr
ACG Thr
AAU Asn
AAC Asn
AAA Lys
AAG Lys
AGU Ser
AGC Ser
AGA Arg
AGG Arg
U
C
A
G
G GUU Val
GUC Val
GUA Val
GUG Val
GCU Ala
GCC Ala
GCA Ala
GCG Ala
GAU Asp
GAC Asp
GAA Glu
GAG Glu
GGU Gly
GGC Gly
GGA Gly
GGG Gly
U
C
A
G


[1] 현대 그리스어로는 τυρί(tyrí, 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