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9 23:40:59

크눔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호루스의 눈.svg
이집트의 신
 
{{{#FFFFFF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90000, #A23925 20%, #A23925 80%, #79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엔네아드(Ennead)
아툼 (, 케프리)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하토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호루스
아누비스
토트 마아트 세스헤트 프타
아문 무트 콘수 아무네트
아포피스 암무트 타와레트
네이트 세베크 사티스 아누케트
크눔 헤케트 멘히트 넵프누트
세르케트 우라에우스 아톤
샤브티 메제드 마프데트 베누
바넵데데트 베스 세커 메렛세게르
네크베트 하피
바제트 네페르툼 넴티 아나트
임호텝
}}}}}}}}}}}}}}} ||
파일:500px-Khnum.svg.png 파일:Book_of_Gates_Barque_of_Ra.jpg
크눔의 모습 크눔의 모습인 가 태양의 돛단배를 타며 두아트를 통과하는 모습
1. 개요2. 크눔 신전

1. 개요

크눔(Khnum, Chnum, Knum, Khnemu)[1]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나일강의 신[2]이자 우주, 생명, 물[3], 죽은 자들의 수호신이고 헬리오폴리스 창세기와 다른 몇몇 기록에서는 진흙으로 인간을 빚어 창조했다는 숫양머리의 신으로 나오고 인간을 일일이 만드는 게 귀찮았는지 여성의 몸 속에 자신의 물레를 집어넣었다. 그게 바로 자궁. 이집트인들은 임신과 동시에 크눔이 새로 태어날 아이와 그 카(일종의 영혼)를 만든다고 믿었다고 한다. 방금 전 서술한 것처럼 크눔이 새로 태어날 아이와 그 영혼을 만드는 점 때문인지 생명을 창조하는 역할을 맡았다고 여겨졌으며, 네 원소를 모두 지녔기에 땅속에 영혼을 불어넣는 것이 가능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크눔은 나중에 세계원형을 빚어내는 것과 동시에 만물과 세계창조하고, '신들의 형상을 만든 자, 스스로를 창조한 신'이라고 불리웠으며, 태양신 의 제3의 양상을 지녀, 아툼의 신성과 같은 '환생창조', 그리고 저녁 해의 신, 그리고 다산과 풍요의 신[4]으로 여겨고 남부 이집트 나일강 범람지의 신일 뿐만 아니라 지상생명체, 모래와 점토를 주관하는 것으로도 여겨졌다고 한다.

처음에는 홍수의 신으로 불리다가, 나일강의 진흙과 침전물들을 하류로 가져와 농사를 짓게 되고 의 터전을 이루게 되자, 크눔은 점차 아이의 몸을 만들어 주고 모든 것을 이루게 하는 창조신으로 바뀌었으며, 그러다가 위에 신들의 형상을 만들어내게 됨으로써, 다른 신들도 만들어내고 모든 것들을 지배하는 신이 되었으며, 태양신 의 저녁의 발현한 형태이자 태양신 라의 제3의 양상으로 여겨지고 했다.

네이트가 '어머니의 어머니'로 여기면 크눔은 '아버지의 아버지'로 여기게 된다고 한다. 크놈-라라고 하는 것도 있으며, 그 자체로 태양신 영혼으로 여겨졌고 단순히 창조의 힘이 아닌 생명을 유지하는 능동적 요소였고 아이들의 수태, 성장, 출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여성의 자궁 안에서 아이들의 신체와 생명력을 형성한다고 믿어졌고 여려 면에서 생명을 형성하는 원초적인 힘이며 새로이 태어나는 모든 생명에 활력을 불어넣었고 자연 질서를 관리하고 균형을 수호했다.

7가지 형태가 있는데, 창조주, 빛의 직조자, 생명의 집의 관리자, 두 땅의 관리자, 빛의 직조자, 달콤한 삶의 집의 관리자 생명의 땅의 관리자가 있다.

2. 크눔 신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나 신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에스나 이집트 4.jpg
에스나에 남아있는 크눔 신전 전면부. 뛰어난 보존 상태로 유명하다.


[1] 이집트어로 합치다 혹은 연합하다, 구축하다, 단결하다는 뜻을 지닌 단어에서 유래했다.[2] 나일강의 원천을 수호하는 것은 물론, 폭우와 홍수의 신이며, 나일강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자연현상과도 연관이 있었다.[3] 지하세계의 강과 호수를 포함한 모든 물을 다스렸고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물은 창조죽음의 끝없는 순환의 상징이었다.(고대에서 물은 창조와 파괴의 두 가지 역할을 수행했다.) 물의 신으로써의 크눔은 생명을 수호하기도 했다.[4] 해마다 범람하는 나일강의 강물을 다스려 땅에 풍요를 가져다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