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2px 0;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d00c33><tablebordercolor=#d00c33> | 케카타 주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 마니초크 구 Maniitsup Kommunia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시 | 마니초크 | ||||
정착촌 | 아탐미크 | 캉아미우트 | 나파소크 | ||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 | 시시미우트 구 Sisimiut Kommuniat |
시 | 시시미우트 | ||
정착촌 | 이티흘레크 | 캉에흘루수아크 | 사르팡우이트 |
시시미우트 지구의 정착촌 캉에흘루수아크 Kangerlussuaq | Søndre Strømfjord | |||||
<colbgcolor=#d00c33><colcolor=#FFFFFF> 자연환경 | |||||
경위도 | 67°00′31″N 50°41′21″W | ||||
기후 | 아북극(Dfc), 추운 스텝(BSk) | ||||
행정 | |||||
국가 |
그린란드 | ||||
주 | |||||
지구(地區) | 시시미우트 | ||||
시간대 | UTC-02:00 | ||||
우편번호 | 3910 | ||||
지역번호 | 84 | ||||
인구 | 491명[A] |
1. 개요
|
도시 전경 |
지역 이름인 캉에흘루수아크(Kangerlussuaq)[3]는 그린란드어로 '큰 피오르'[4]라는 뜻으로 그린란드 이곳저곳에서 흔히 쓰이는 지명 가운데 하나이나, 별다른 맥락 없이 캉에흘루수아크라 하면 대개 이곳을 가리킨다.
그야말로 공항도시로서 490여명의 인구 대다수가 공항 관련 업무 혹은 관광업에 종사하고 있어, 2024년 11월 27일부터 캉에흘루수아크 공항의 국제선 및 국내선 허브 기능 사실상 전부가 누크 공항으로 옮겨짐에 따라 대부분의 인구 또한 누크로 이주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2. 자연환경
2.1. 지리
캉에흘루수아크 협만의 내륙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다. 여기부터 외해까지는 130km 이상 떨어져 있어, 현재 그린란드에서 가장 내륙에 가까이 위치한 정착촌이다.정착촌에는 아쿨리아루시아르수프쿠아 강(Akuliarusiarsuup Kuua)과 킹우아타쿠수아 강(Qinnguata Kuussua)라는 이름의 두 하천이 흐르며, 수원지인 그린란드 빙상까지는 25k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정착촌 남쪽에 타세르수아치아크 호(Tasersuatsiaq)라는 이름의 호수가 위치하는데, 이곳은 지역의 상수원으로 쓰이고 있다.
한대기후가 대부분인 그린란드에서 거의 유일하게 냉대 습윤 기후가 나타나는 곳이다.
2.2. 동식물
인근의 하천 주위에서 버드나무과의 일종에 해당하는 관목이 자라기는 하지만, 그 외에는 야생 식물이랄 것이 거의 자라지 않는다.반면 사향소, 순록, 북극여우, 북극토끼, 큰까마귀, 매, 흰멧새 등 동물은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는 편이다.
3. 역사
현 캉에흘루수아크는 본래 이누이트 엽사들이 종종 방문하기는 할지언정, 집단이 이주해서 이 위치에 정착한 적은 본래 없었다.3.1. 군사기지
3.1.1.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덴마크가 나치 독일에 항복함에 따라 안보상의 이유로 미국이 그린란드를 점령하였으며, 이때 미국은 육군 항공대 기지를 그린란드 전역에 여럿 설치하였다. 이 중 하나가 오늘날의 캉에흘루수아크이다. 당시 이곳에 대한 덴마크어 지명은 쇤드레스트룀피오르(Søndre Strømfjord)였다.1941년 10월 7일, 2차 세계대전 중 미합중국 육군 항공대(USAAF[5]) 소속의 군사기지인 '블루이 서부제8기지(Bluie West-8)'가 이곳에 설치되어 기능을 시작하였다.
3.1.2. 냉전
이 기지는 1950년 다시 덴마크령으로 돌아왔으나, 냉전으로 인해 이듬해인 1951년 4월 27일부로 다시 미합중국 공군이 주둔하기 시작했다. 이때 이 기지의 이름이 앞선 덴마크 이름을 준용하여 손드레스트롬 공군기지(Sondrestrom Air Base)로 개칭되었다.1954년부터 스칸디나비아 항공에서 이곳을 경유하는 민간 노선을 개설하였다.
1967년부로 코펜하겐-캉에흘루수아크 간 노선이 성립되었다.
3.2. 정착촌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함에 따라 이 기지의 필요성 또한 낮아졌고, 곧 1992년 9월 30일부로 미 공군이 완전히 철수하였다.이때 이름 또한 지금과 같이 캉에흘루수아크(Kangerlussuaq)로 개칭되었으나, 한동안은 카나크 주변에 위치한 비두픽 우주기지(구칭 '툴레 공군기지')와 같이 미편입지구로 남아 있었다.
2002년 1월 1일부로 캉에흘루수아크가 시시미우트 자치구(현 케카타주 시시미우트 지구)에 속하게 되었다.
2012년 이상고온으로 인해 인접한 내륙의 빙하가 녹아 홍수가 발생, 정착촌 내 도로와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무너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나르사르수아크와 더불어 당시의 공군기지 가운데 미군이 가장 공들인 곳으로, 관련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2024년 누크 공항이 개축될 때까지 그린란드의 실질적인 관문 역할을 맡아왔다.
4. 교통
그린란드에서 현재 기능하는 거주지 가운데 도시 간 도로를 갖춘 유일한 거주지이다.[6]- 이숭우아 도로
이숭우아(Isunngua)를 통해 캉에흘루수아크에서 내륙의 그린란드 빙상까지 이어지는 약 40킬로미터 연장의 자갈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 본래 자동차 성능 시험을 위해 건설된 도로였으나, 현재는 관광용으로 사용된다. 도로 근처에 1968년에 추락한 T-33 훈련기의 잔해가 있다.
4.1. 북극권 탐방로
캉에흘루수아크에서 해안의 시시미우트까지 이어지는 165km 길이의 하이킹 트레일이다. 일부 구간은 후술하는 시시미우트-캉에흘루수아크 도로와 겹친다. 보행 중 최대 고도는 약 450m로 산을 넘지는 않지만, 눈이 녹아 있는 하절기가 아니고서야 이 경로를 걸어서 통과하기는 어려우며 대개 개썰매나 스노모빌, 적어도 스키 정도는 필요하다.- 시시미우트-캉에흘루수아크 도로
2022년경 시시미우트와 캉에흘루수아크를 잇는 약 170킬로미터 연장의 비포장도로가 건설되었다. 다만 환경이 환경인지라 보통 생각하는 아무 자동차나 주행할 수 있다기보다는 사륜구동차나 4륜 바이크, 스노모빌 등 오프로드형 차량이 주행하기에 적합한 편이다.#
4.2. 버스
정착촌 내에서 운영되는 버스 노선이 1개 존재한다.시간표 일요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아침 운행: 월~토 05:48~08:00. 배차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시간표를 요한다.
- 주간 운행: 월~금 08:00~19:00 / 토 08:00~14:00. 배차 간격은 약 30분으로 볼 수 있다.
아침 운행 때와 주간 운행 때의 노선에는 일부 차이가 존재한다.
4.3. 캉에흘루수아크 공항
|
캉에흘루수아크 공항[7]SFJ ICAO: BGSF]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캉에흘루수아크 공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캉에흘루수아크 공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A] 2023년 1월 1일 기준[2] 2024년 11월에 누크공항에 허브를 넘겨주면서 국내선 공항으로 변경되었다.[3] 구 철자법으로는 Kangerdlugssuaĸ라 썼다.[4] Kangerluk(협만)+ -suaq(큰/심한/매우).[5] 오늘날 미 공군의 전신이다.[6] 이비투트와 캉일링우이트를 잇는 포장도로가 건설되어 있으나, 이 두 거주지는 폐쇄된 지 오래다.[7] I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