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2024년 참가 구단 | 2026년 참가 구단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코리아컵 참가 구단 | 과거 참가 구단 | }}} |
| |
연천 FC | |
Yeoncheon FC | |
<colbgcolor=#003e9c><colcolor=#ffffff> 정식 명칭 | 연천FC |
영문 명칭 | Yeoncheon Football Club |
창단 | 2017년 12월 21일([age(2017-12-21)]주년) |
구단 형태 | 독립 구단 |
소속 리그 | K4리그 |
연고지 | 충청북도 충주시 (2017~2024) 경기도 연천군 (2025~ ) |
홈구장 변천 | 충주탄금대축구장 (2017~2020 / 338석) 충주종합운동장 (2021~2024 / 15,000석) 연천종합운동장 (2025~ / 9,000석) |
구단명 변천 | 충주시민축구단 (2017~2022) FC 충주 (2023~2024) 연천 FC (2025~ ) |
단장 | 공석 |
감독 | 최정민 |
주장 | 임동현 |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1. 개요
경기도 연천군 연고의 K4리그 참가 세미프로 축구단.2. 역사
| | |
충주시민축구단 당시 엠블럼 2017~2022 | FC 충주 당시 엠블럼 2023~2024 | 연천 FC(현재)엠블럼 2025~ |
2018년 11월 11일, 홈에서 열린 양주시민축구단과의 승격결정전에서 0-0으로 비기면서 순위에서 앞선 충주가 어드밴스로의 승격을 확정지었다.
2020년에는 구 K3리그와 한국 내셔널리그가 통합하여 새로이 개편된 세미프로 축구리그인 3부 K3리그와 4부 K4리그로 개편되게 되었고, 충주시민축구단은 후자에 참가하게 되었다.
2021년 부터는 기존 홈구장인 탄금대축구장에서 나와 호암동의 충주종합운동장을 홈으로 사용하며, 구단 사무실또한 충주종합운동장 3번게이트 쪽으로 이동하였다.# 같은해 11월에 충주신명중학교와 유소년 협약을 맺고 산하 유스팀으로 흡수하였다.#
2022년 12월 16일 충주시는 충주시민축구단 운영을 중단한다는 공문을 접수하면서 해체가 결정되었다. 충주 축구인들은 충주 FC를 추진하고 있다.#
충청북도 충주시의 충주시민축구단의 운영 주체가 해산되고 신규 법인이 설립되어 축구단을 그대로 인수하여 FC 충주로 명칭을 변경하여 참가할 예정이다.# 다만, 해산이 된 것은 축구단 자체가 아니라 운영주체 법인이 해산된 것이고, 축구단(선수단) 역사 자체는 운영 주체 변경 후 그대로 이어질 예정이다. 비슷한 사례로 성남 FC, 여주 FC가 있다. 성남 일화 천마의 운영 주체가 해체되었지만 운영주체를 변경하여 그대로 성남 FC의 역사로 이어지고 있고, 여주시민축구단도 운영주체가 해체되었지만 운영주체를 변경하여 여주 FC로 축구단 역사가 이어지고 있다. 참고로 만약 구단 자체가 해체되고 신규 구단이 설립된 방식이라면 이미 2023년 시즌 참가 신청이 마감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충주 FC는 2023년 시즌 대회에는 참가가 불가할 것이다.[5] JoinKFA를 통해서도 기존 구단의 역사가 그대로 이어짐이 확인되었고, 팀명은 "FC 충주"로 변경되었다.
FC 충주 당시에는 충주시에서 운영하는 구단였기 때문에 홍보맨이 충주시 유튜브에서 홍보와 시축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최근 재정난으로 인하여 3월부터 4월까지의 선수단의 임금체불이 발생하였다. 기존 구단을 인수한 신종수 대표는 언론와의 인터뷰에서 체불금은 이달 중순까지 어떻게든 해결하겠다고 하였고 새로운 구단주를 찾으면 언론에게 알리겠다고 하였다. 이러한 재정난에 대해서 일부 충주 지역 축구팬은 FC 충주는 충주 지역의 유일한 세미프로 연고팀인데 보조금 지원이 없는 건 아쉽다며 실효성 등을 따져 조금이라도 지원해 줬으면 좋겠다고 반응을 보였지만 충주시에서는 충주시에 홍보에 도움이 될 때 보조금을 지원해주겠다고 하여 보조금 지원에 대해서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최근이 되어 미납 임금을 지급했다고 한다.
그런데 임금 체불와 별개로 신종수 대표가 경기를 끝나고 라커룸에서 감독, 코치진 및 선수단에게 욕설 및 유언비어를 퍼트리는 논란이 발생하였고 또한 신종수 대표가 앞으로도 당분간 FC 충주 대표로 계속 부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선수단은 신종수 대표가 사퇴할 때까지 훈련 불참과 경기 보이콧하겠다고 하였다.#
이런 불미스러운 사태로 인해 대한축구협회는 2023년 7월 25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공정위원회를 열어 FC충주 신종수(57) 구단주 겸 단장에 대해 자격정지 6개월 처분을 결정했다. FC충주는 날벼락을 맞았다. 재정난이 여전한데다가 구단 운영을 책임질 단장마저 활동하지 못하게 되면서 골머리를 앓게 됐다.#
2024년 1월 20일 FC 충주 공식 SNS에 계정에 김병수 총감독의 부임 소식을 알렸고, 1월 23일 KBS뉴스 취재에 의하면 김병수 감독이 FC 충주를 인수하였으며 경영 정상화를 위해서 동분서주하고 있음을 알렸다. 충주시와 1년짜리 연고지 협약을 체결한것도 다시 체결해야 되고 시의 보조금 지원등 해야 할 일이 산더미일 것이다.#
2024년 12월 4일 충주시로부터 경영 악화와 운영에 대한 불투명성 문제로 연고지 협약 연장을 얻어내지 못해 퇴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으로는 FC 충주는 경기도 연천을 연고지로 구단주와 선수단이 함께 이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충주시 연고 축구단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2024년 12월 20일 경기도 연천군과 연고지 협약식을 맺었다.# 홈구장은 연천종합운동장을 사용한다.
3.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3e9c><tablebgcolor=#003e9c> | 연천 FC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 2018년 ~ 현재 | ||||
<rowcolor=#e7ba00> 초대 공문배 | 2대 김종필 | 3대 최정민 |
역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초대 | 공문배 | 2018~2020 | 초대 |
2대 | 김종필 | 2021~2023 | |
3대 | 최정민 | 2024~ |
4.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e9c><tablebgcolor=#003e9c> | 연천 FC 2025 시즌 스쿼드 |
1 김진화 · 2 황해욱 · 3 정지오 · 4 이승재 · 5 현재훈 · 6 이재석 · 8 강하다 · 9 김희건 · 10 나성은 · 11 임채문 12 조동민 · 13 김도훈 · 14 배원준 · 15 김경민 · 16 선종원 · 17 이승준 · 18 김형민 · 20 송찬우 · 21 김예찬 · 22 사영호 23 양효종 · 25 박환희 · 27 박성휘 · 29 김태양 · 30 김효기 · 31 김성훈 · 32 김정우 · 34 이창헌 · 35 조민제 · 36 심현기 37 김민수 · 39 변지민 · 40 강건우 · 41 송진한 · 43 김유준 · 44 신동현 · 47 최지승 · 48 이시훈 · 49 이정제 · 50 박준희 52 허시온 · 53 박지상 · 54 윤양균 · 55 정창공 · 56 김지성 · 57 전찬유 · 60 박준용 · 61 이준원 · 66 강진웅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3e9c><tablebgcolor=#003e9c> | 연천 FC 2025 시즌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등번호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비고 |
1 | GK | 김진화 | Kim Jin-hwa | | 2005년 1월 25일 | ||
2 | DF | 황해욱 | Hwang Hae-uk | | 2002년 12월 12일 | ||
3 | DF | 정지오 | Jeong Ji-oh | | 2000년 3월 30일 | ||
4 | DF | 이승재 | Lee Seung-jae | | 2000년 4월 15일 | ||
5 | DF | 현재훈 | Hyeon Jae-Hoon | | 1999년 5월 6일 | ||
6 | DF | 이재석 | Lee Jae-seok | | 2000년 12월 29일 | ||
8 | DF | 강하다 | Kang Ha-Da | | 1997년 6월 17일 | ||
9 | MF | 김희건 | Kim Hee-gun | | 2002년 2월 11일 | ||
10 | FW | 나성은 | Na Sung-Eun | | 1996년 4월 6일 | ||
11 | MF | 임채문 | Lim Chae-Moon | | 1998년 6월 16일 | ||
12 | DF | 조동민 | Jo Dong-min | | 2002년 9월 6일 | ||
13 | MF | 김도훈 | Kim Do-Hoon | | 2001년 10월 15일 | ||
14 | MF | 배원준 | Bae Won-jun | | 2002년 6월 15일 | ||
15 | DF | 김경민 | Kim Kyung-Min | | 2000년 10월 14일 | ||
16 | MF | 선종원 | Sun Jong-won | | 2000년 4월 16일 | ||
17 | MF | 이승준 | Lee Seung-Jun | | 2000년 3월 2일 | ||
18 | MF | 김형민 | Hyeong-min Kim | | 2002년 3월 2일 | ||
20 | DF | 송찬우 | Song Chan-Woo | | 2001년 1월 31일 | ||
21 | DF | 김예찬 | Kim Ye-Chan | | 1999년 4월 3일 | ||
22 | FW | 사영호 | Sa Young-ho | | 2003년 5월 9일 | ||
23 | DF | 양효종 | Yang Hyo-Jong | | 2003년 10월 21일 | ||
25 | FW | 박환희 | Park Hwan-hee | | 2002년 8월 21일 | ||
27 | MF | 박성휘 | Park Seong-hwi | | 2002년 2월 5일 | ||
29 | FW | 김태양 | Kim Tae-yang | | 2006년 1월 26일 | ||
30 | MF | 김효기 | Kim Hyo-Ki | | 2003년 7월 4일 | ||
31 | GK | 김성훈 | Kim Sung-hoon | | 2001년 9월 10일 | ||
32 | DF | 김정우 | Kim Jeong-woo | | 2000년 11월 23일 | 사회복무 | |
34 | MF | 이창헌 | Lee Chang-heon | | 2005년 3월 17일 | ||
35 | DF | 조민제 | Jo Min-je | | 2002년 6월 5일 | ||
36 | DF | 심현기 | Sim Hyun-Ki | | 2000년 6월 8일 | ||
37 | FW | 김민수 | Kim Min-Soo | | 2002년 5월 2일 | ||
39 | DF | 변지민 | Byun Ji-min | | 2006년 9월 26일 | ||
40 | DF | 강건우 | Kang Gun-woo | | 2001년 3월 15일 | ||
41 | DF | 송진한 | Song Jin-han | | 2001년 8월 28일 | ||
43 | DF | 김유준 | Kim Yu-jun | | 2001년 2월 11일 | ||
44 | FW | 신동현 | Shin Dong-hyeon | | 2005년 8월 8일 | ||
47 | MF | 최지승 | Choi Ji-seung | | 2006년 12월 14일 | ||
48 | DF | 이시훈 | Lee See-hun | | 2005년 1월 17일 | ||
49 | DF | 이정제 | Lee Jeong-je | | 2005년 10월 25일 | ||
50 | DF | 박준희 | Park Jun-hee | | 2006년 11월 23일 | ||
52 | FW | 허시온 | Heo Si-on | | 2003년 3월 2일 | ||
53 | MF | 박지상 | Park Ji-sang | | 2002년 4월 9일 | ||
54 | MF | 윤양균 | Yun Yang-gyun | | 2002년 7월 17일 | ||
55 | DF | 정창공 | Chong Chang-gong | | 2006년 1월 20일 | ||
56 | DF | 김지성 | Kim Ji-sung | | 2003년 12월 15일 | ||
57 | FW | 전찬유 | Jeon Chan-yu | | 2003년 2월 13일 | ||
60 | MF | 박준용 | Park Jun-Yong | | 1998년 6월 1일 | ||
61 | MF | 이준원 | Lee Jun-Won | | 1995년 10월 16일 | 사회복무 | |
66 | DF | 강진웅 | Jin-woong Kang | | 2002년 6월 21일 | ||
총감독 : 김병수 감독: 최정민 | 홈구장: 연천종합운동장 |
5. 시즌별 일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3e9c><tablebgcolor=#003e9c> | 연천 FC 시즌별 일람 | }}} | |||||||||||||
<rowcolor=#fff> 시즌 | 리그 | FA컵 | 전국체육대회 | |||||||||||||
<rowcolor=#fff> 디비전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2018 | 5부 | K3리그 베이직 | 3 | 20 | 13 | 1 | 6 | 46 | 17 | 29 | 40 | 3라운드 | ||||
2019 | 4부 | K3리그 어드밴스 | 12 | 22 | 3 | 3 | 16 | 17 | 40 | -23 | 2[6] | 3라운드 | ||||
2020 | K4리그 | 10 | 24 | 5 | 4 | 15 | 24 | 45 | -21 | 19 | 2라운드 | |||||
2021 | K4리그 | 4 | 30 | 17 | 6 | 7 | 60 | 31 | 29 | 57 | 1라운드 | |||||
2022 | K4리그 | 15 | 32 | 9 | 2 | 21 | 33 | 65 | -32 | 29 | 1라운드 | |||||
2023 | K4리그 | 9 | 30 | 12 | 6 | 12 | 44 | 45 | -1 | 42 | 1라운드 | |||||
2024 | K4리그 | 10 | 24 | 10 | 4 | 10 | 43 | 43 | 0 | 32[7] | 1라운드 | |||||
2025 | K4리그 | 1라운드 |
6. 유니폼
| | | | |
HOME | AWAY | GK HOME | GK AWAY | GK THIRD |
2025 시즌 연천 FC 스폰서 | |
<rowcolor=#ffffff> 메인 스폰서 | 키트 서플라이어 |
| |
7. 팬덤
충주시민축구단 팬스타그램(인스타그램) CJFC 출처: 인스타그램 충주시민축구단 팬스타그램서포터즈는 충주험멜의 내셔널리그 시절(2010)부터 응원해온 '그린 레지스탕스'가 있다. 충주시민축구단이 창단되고 기존 팀 색이 붉은색으로 변경되면서 서포터즈명이 색깔명을 넣지 않은 '0441 BROS'로 변경된다. 0441은 전화 지역번호가 도 단위로 통합되기 전 충주시의 지역번호이다.
현재는 충주시민축구단 시절 어시스트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센터서클이라는 서포터즈가 활동 중인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6월 19일 해체를 선언했다. 센터서클 인스타그램 이와 별개로 지역 초등학생들의 응원 열기도 대단한 편.
8. 여담
- 엠블럼이 온천 마크[8]였다. 수안보 온천을 전면에 내세우기 위함인 듯하지만 그 사정을 모르는 사람이 볼 때는 뭥미? 싶은 디자인이다.
- 2018년 첫 시즌 유니폼에 메인 스폰으로 피츠 수퍼 클리어를 붙이고 뛴다. 충주 지역 내에 존재하는 롯데주류 충주공장에서 생산되는 맥주 라인업이 클라우드와 피츠로 그 중 후발주자인 피츠 수퍼 클리어 제품을 스폰서로 택했다.
- 연고지 충주시의 축구단으로는 구 프로 구단인 충주 험멜 다음이다. 기존 연고 이전 구단인 험멜축구단과 달리 충주를 연고로 하는 정통성 있는 구단으로 험멜축구단과 역사를 별개로 한다. 같은 인천이라는 연고지를 썼던 삼청태현과 현재 인천을 연고지로 삼는 SK 와이번스가 별개 구단인 것처럼 생각하면 된다.
- 2019년 K3A에서 실망스러운 경기력으로 일찍이 꼴찌가 되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8월 24일 승점을 10점 감점당했다. 사유는 "구단 임원 및 팬 심판실 난입, 폭언 및 KFA 기물파손"이었다.
- 주로 수안보의 유소년 축구장에서 선수단 훈련을 진행한다.
- 클럽 하우스와 숙소 역시 수안보 온천 지구에서 하고있는데 이전에는 썬데일리 호텔에서 머물다가, 현재는 수안보 온천랜드 뒤편에 있는 건물에서 생활하고 있다. 선수들은 작은방에서는 2,3명씩 큰방에서는 4명까지 같이 지내고있다. 축구 유튜버 동네축구 고수에 클럽하우스와 숙소가 나오기도 했다.#
- 충주시보건소와 충주시청 공무원, 충주노인병원 직원 등이 의무 트레이너로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고 한다.#
- 팬 서비스는 엄청나게 좋은 편이지만 대부분이 그리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선수다보니 사인이나 사진 촬영에 익숙지 않아보인다. 경기 끝나고 선수들에게 말만 걸면 웬만한 팬 서비스는 잘 받을 수 있다.
- 과거에는 실시간 중계가 이뤄지지 않았는데, 2020년부터 리그가 K4리그로 개편되고 나서는 상황이 바뀌었다.
- K리그 골수 팬들에게는 꽤 유명한 배효성이 코치를 맡은적이 있다. 아이러니한 게 오랜 선수 생활의 마지막 구단이 충주 험멜이었는데 2018시즌부터 충주에서 코치로 지도자의 길을 걷다가 2020년에 경남 FC 코치로 옮겨갔다.
- 2022년까지 준프로였던 충북 청주 FC가 2023년부터 프로인 K리그에 진출하면서 충주가 전국체육대회 충북대표로 나서게 되었다.[9] 2025년부터 연천군으로 연고지 이전하면서 충북 대표는 없게 되었고 경기도의 다른 K3, K4리그팀과 선발전을 치르고 경기도 대표로 나서야 한다.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300><tablebg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K3리그 | |||
| | | | |
양평 FC | ||||
K3리그 | K4리그 | WK리그 | ||
| | | | |
여주 FC | 평택 시티즌 FC | 남양주 FC | ||
FK리그1 | FK리그2 | |||
| | | | |
고양 불스 | 경기LBFS | 용인 대흥 | 화성 FS | |
경기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수원 제외) |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
수원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