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2:26:10

추계예술대학교/출신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추계예술대학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출신 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출신 인물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출신 인물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출신인물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출신 인물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출신 인물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정보
캠퍼스 학부
학생정보
출신인물 사건사고 }}}}}}}}}

1. 개요2. 문예창작과3. 음악대학4. 미술대학5. 융합예술대학6. 기타

1. 개요

파일:추계예술대학교CUfA.png

본 문서는 추계예술대학교 출신 동문을 표기한 문서이다.

2. 문예창작과


모두 표기할 수 없음을 양해 바람

3. 음악대학

  • 강혜명(성악가) - 상하이대학교 음악대학 초빙교수
  • 고영배(인디밴드 소란 리더) - 작곡과
  • 곽태천(국악인) -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역임. 경북도립국악단 초대지휘자 역임
  • 김경택(관현악) - 퓨전 국악 앙상블‘WE’리더
  • 김영우(성악가) - 제35회 중앙음악콩쿠르 남자 1위 수상
  • 김일훈(성악가) - 2014 페루치오 탈리아비니 국제 성악콩쿠르 우승
  • 김지훈(뮤지컬배우) - 성악과
  • 김형기(성악가) - 평택대학교 음악학과 교수
  • 김희선(플루니스트) - 그라시아 플롯앙상블 음악감독
  • 곽윤찬(재즈 피아니스트) - 작곡과. 한국인 최초 EmArCy 레코드 아티스트
  • 김윤철(미디어 아티스트) - 2016년 COLLIDE International Award 수상
  • 로헌(팝페라 가수) - 성악과
  • 박경신(성악가) - 성신여자대학교 성악과 전임교수
  • 박상우(지휘자) - 세종 국악심포니오케스트라 지휘자
  • 박승율(국악인)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역임
  • 박은석(1985)(뮤지컬배우)
  • 박요셉(성악가) - 미국대학교 성악과 교수. 재미성악가
  • 박환영(국악인) - 동아콩쿠르 대상수상. 전. 부산대학교 국악과 교수
  • 박현빈(가수) - 성악과
  • 박성진(성악가) - 성악과
  • 서미경(피아노) - 국립합창단 상임반주자 역임
  • 서범석(성악가) - 중앙콩쿨3등, 오페라가수
  • 손범주(국악인) - 전. 난계국악단 상임지휘자. 한국청소년국악관현악단 지휘자 역임. 중국음악원 교환교수
  • 손예지(싱어송라이터) - 작곡과. 제30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2019년) 동상 수상
  • 신영숙(뮤지컬배우) - 성악과
  • 신성아(작곡가) - 계명대학교 작곡과 교수
  • 안복진(좋아서 하는 밴드 멤버) - 음악학부
  • 왕기석(국악인) - 시립정읍사국악단 단장 역임. 제7대 국립민속국악원 원장
  • 원일(국악인) -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국립무용단 음악감독, 국립국악관현악단 5대 예술감독. 경기도립국악단 예술감독
  • 우순실(가수) - 국악과
  • 유지나(1968) - 국악과
  • 윤호근(지휘자) - 제12대 국립오페라단 예술감독 역임
  • 조규천(가수) - 성악과[1]
  • 윤영석(뮤지컬배우) - 성악과
  • 이규봉(성악가) - ARD뮌휀국제콩쿨 3위.마리아칼라스. 국제콩쿨 2위입상및 국제콩쿨 입상다수
  • 이동훈(국악인) - 부산 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 이범석(작곡가) - 피바디음대석사.서울대박사. 연세대학교 미래컴퍼스 인문대학 교수
  • 이세희(성악가) - 연세대출강.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국립오페라단 주역가수
  • 이순재(성악가) - 중앙콩쿨 3등. 오페라가수
  • 이영민(피아니스트) - 서울대출강. 성신여대 대학원 반주과 교 수역임. 서울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 이영섭(국악인) - 영남대학교 국악과 교수
  • 이은주(성악가) - 동아콩쿨 2등. 재미성악가
  • 이일구(지휘자) - 수원과학대 교수 역임. 카로스 타악기앙상블 지휘자
  • 이정민(호르니스트) - 관현악과
  • 이준범(성악가) - 독일 푸라이부르크 극장 전속가수
  • 이준호(지휘자) - 전. 국악과 교수
  • 이태백 - 목원대학교 국악과 학과장
  • 이해리(가수) - 피아노과[2]
  • 임봉석(성악가) - 벨리니국제콩쿨 입상. 오페라가수
  • 장미혜(피아니스트) - 국립발레단 수석피아니스트. 한양대출강
  • 정혜영(피아노) - 여주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교수 역임
  • 전인삼(국악인) - 전남대학교 국악과 교수
  • 전광렬(배우) - 관현악과 (바순 전공)
  • 전태성(클라리넷) - 추계예술대 관현악과 교수
  • 조엘라 - 국악과
  • 조윤영(해금연주가) - 국악과
  • 주병선(가수) - 국악과 (타악기 전공) [3]
  • 최완희(작곡가) - 작곡과 [4]
  • 최진학(성악가) - 서울시립오페라단 주역. 오페라가수
  • 최귀섭(작곡가) - 음악학부 [5]
  • 하덕규(가수) - 시인과 촌장의 리더
  • 한상일(국악인) - 전 동국대학교 국악과교수. 국립국악관현악단 제 2대 단장 역임. 광주시립 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 황병남(성악가) - 서울국제콩쿠르 2위. 파바로티국제콩쿨 우승. 광주성악콩쿠르 심사위원장. 재독일 성악가
  • 허성욱(들국화 키보디스트) - 음악학부
  • 황채림(성악가, 배우) - 성악과
  • 홍석주(뮤지컬가수) - 영산콩쿨 대상. 대구성악콩쿨 최우수상
  • 홍주영(성악가) - 중앙콩쿨. 베르디 국제콩쿨입상. 추계예술대학교 성악과 교수
  • 황영자(해금연주가) - KBS국악관현악단 단원 역임

4. 미술대학

  • 구영모(화가) - 서양화과[6]
  • 김지아(유튜버) - 서양화과[7]
  • 김지현(화가) - 동양화과
  • 김충재- 서양화과
  • 석정현(일러스트레이터) - 서양화과
  • 석철주(화가) - 동양화과
  • 여동현(화가) - 판화과
  • 이진혁(화가) - 동양화과
  • 이태수(서양화가)
  • 유재헌(유잠스튜디오 대표) - 회화과
  • 윤세열(화가) - 동양화과
  • 정헌조(판화가)- 추계예술대학교 판화과 교수
  • 채지윤[8](일러스트레이터) - 판화과
  • 최수환(화가) - 서양화과
  • 한기창(화가) - 동양화과
  • 한병호(일러스트레이터) - 동양화과
  • 문채원(배우) - 서양화과[9]
  • 박종필(독립다큐멘터리 감독) - 판화과
  • 장은아(뮤지컬배우) - 판화과
  • 박성배 사진작가 - 동양화과

5. 융합예술대학

  • 문준희(유튜버) - 영상시나리오학과[10]
  • 구자욱(뮤직비디오 감독) - 영상시나리오학과

6. 기타

  • 주영(가수) - 평생교육원 실용음악과
  • 서영준(레드애플) - 평생교육원
  • 황여운(인디밴드 새벽공방) - 평생교육원 재즈피아노과[11]
  • Liel - 실용음악과 (싱어송라이터 전공)[12]
  • SOLE(가수) - 평생교육원 실용음악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조트리오의 멤버.[2] 1학년 재학 중 중퇴[3] 1988년 MBC대학가요제에서 금상 수상[4]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수렁은 마르지 않는다'편으로 시작, 전원일기 등 음악감독으로 제작 다수 참여[5] '세월이 가면' '사랑은 유리 같은 것' 등 작곡.[6] 현 서양화과 교수.[7] 유튜브 꼬부기아빠채널의 엄마집사 유튜브채널 IMJIA를 관리중이다.[8] 이 바닥에선 유명한 꾸엠의 본명이다![9] 1학년 재학 중 중퇴[10] 구독자 50만 이상 절약왕정약용 채널[11] 콘서바토리 재즈피아노과이다.[12] 1학년 재학 중 중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