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1:56:56

초반에 죄송하지만 저는 한번에 나왔어용


파일:붕괴3rd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e4c5c,#4e4c5c><colcolor=#ffffff,#ffffff> 스토리 메인 스토리 (1부 · 1.5부 · 2부) · 만화 · 외전 스토리 · 연표 · 이벤트 (7 · 8)
지역 지구 · 달 기지 · 금성 · 화성 (랑추) · 라카다르 · 폴로스 · 기타
설정 허수의 나무 · 양자의 바다 · 붕괴 · 율자 · 신의 열쇠 · 메카닉
조직별: 천명 · 네겐트로피 · 요르문간드 · 불을 쫓는 나방 · 칠술일화
등장인물 천명 · 네겐트로피 · 요르문간드 · 불을 쫓는 나방 · 칠술일화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e4c5c,#4e4c5c><colcolor=#ffffff,#ffffff> 콘텐츠 발키리 (별의 고리 캐릭터 · 별명 및 약칭) · (보스)
무한의 심연 · 소대 멀티 · 과거의 낙원 (스토리 · 각인 · 회상의 증명 · 회상의 그릇)
시스템 보급 · 전투 · 업적
아이템 무기 (쌍권총 · 태도 · 대포 · 대검 · 십자가 · 건틀릿 · · 랜스 · · 차크람 · 재블린 · 드라이브 코어 · 크로스보우 · 로켓 해머 · 사슬 칼날 · 스태프)
성흔 (1-2성 · 3성 · 4성) · 재화 · 메달 · 육성 · 단조 재료 · 협력 캐릭터 ·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e4c5c,#4e4c5c><colcolor=#ffffff,#ffffff> 미디어믹스 애니메이션 (단편 · 발키리's 키친 · 인형학원) · OST · 축제 (호요랜드 2024 · 호요랜드 2025)
기타 업데이트 · 문제점 및 사건 사고 (과금 유도 문제) ·
관련 사이트 공식 카페 · 아카라이브 채널 }}}}}}}}}}}}


1. 개요2. 사용례3. 기타

1. 개요

파일:초반에.jpg
부릉냐30연차만에 나오던데

난 2연차 개꿀

초반에 죄송하지만 저는 한번에 나왔어용

모바일 게임 붕괴3rd의 어느 캡쳐짤에서 유래한 인터넷 밈.

위 캡쳐짤은 붕괴 내 월드챗 내에서 이루어진 대화로, 보면 알겠지만 30연차만에 특정 캐릭터를 뽑았다는 기만글에 또 다른 유저가 기만으로 대응하고 거기에 또 다른 유저가 또 기만글을 다는 병림픽을 박제한 것이다.

이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웃기지만 이 중에서 맨 마지막 유저의 "초반에 죄송하지만"이라는 멘트의 임팩트가 워낙 컸던 탓에 그대로 밈이 되었다.

물론 일반적으론 '초반에'는 틀린 표현이고, '초면에'라 쓰는 게 맞다. 다만 일종의 기만 대회가 열린 것과 같은 상황에서 바로 끝판왕 기만을 꺼내어 죄송하다는 이중적인 의미로 볼 수도 있는 재미 포인트가 있다.

2. 사용례

'n연차만에 이거 뽑았는데 좋은 건가요?'처럼 비틱질의 상징격인 문구 중 하나이며, 사용 방법 역시 간단하다. 보통 제목을 '초반에 죄송하지만', '초반에 죄송하지만 전 한번에 나왔어용', '초반에 죄송한데' 등으로 쓰고 본문에 기만글을 써 올리는 식이다. 초반에라고 쓰는 것이 포인트.

3. 기타

  • 아카콘도 있다. #
  • 파일:20221107_171736.png
    G-STAR 2022에서 무려 공식이 패러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