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4e4c5c><colcolor=#ffffff,#e0e0e0> 스토리 | 스토리 · 연표 · 지역 · 등장인물 (천명 · 네겐트로피 · 요르문간드 · 불을 쫓는 나방) · 설정 (허수의 나무 · 양자의 바다 · 붕괴 · 율자 · 신의 열쇠 · 천명 · 네겐트로피 · 요르문간드 · 불을 쫓는 나방) |
콘텐츠 | 출격 (과거의 낙원) · 발키리 (별명 및 약칭) · 적 (보스) · 이벤트 | |
시스템 | 메뉴 · 전투 시스템 · 업적 | |
아이템 | 무기 · 성흔 · 협력 캐릭터 | |
미디어믹스 | 애니메이션 (단편 · 발키리's 키친 · 인형학원) · OST · 가을 축제 | |
기타 | 문제점 및 사건 사고 (과금 유도 문제) · 밈 | |
관련 사이트 | 공식 카페 · 아카라이브 채널 | }}}}}}}}} |
[clearfix]
1. 개요
붕괴3rd에 등장하는 플레이어블 발키리들의 별명 및 약칭을 정리한 문서다. 별명은 유저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약칭은 심연, 전장에서 쓰는 조합에 사용된다.2. 키아나 카스라나
키아나 카스라나 류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다 고등어[1], 키등어[2]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삐아나[3], 백련 | 삐 | ||
총키[4] | 총 | ||
증폭 ↳ | 참키[5] | 참 | |
성녀 | 성 | ||
월광, 월팡[6] | 월 | ||
율등어[7], 침대의 율자 | 율 | ||
신염, 군고등어 | 신 | ||
종언, 종키[8] | 종 |
3. 라이덴 메이
번개의 율자 이전의 라이덴 메이 류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웅이[9]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삐메이[10], 비홍 | 삐 | ||
검메이[11], 검메 | 검 | ||
증폭 ↳ | 증폭 검메이, 증폭 검메 | ||
그메이[12], 그메 | 그 | ||
증폭 ↳ | 증폭 그메이, 증폭 그메 | ||
귀메이, 귀메[13] | 귀 | ||
율메이, 율메[14] | 율 | ||
기원, 기메[15] | 기 |
4. 브로냐 자이칙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채리엇, 삐로냐[16] | 삐 | ||
줘팸[17], 황매화 | 줘 | ||
증폭 ↳ | 증폭 줘팸 | ||
빙로냐[18] | 빙 | ||
스로냐[19] | 스 | ||
은랑 | 은 | ||
쿠로냐[20] | 쿠 | ||
부릉냐[21] | 부 | ||
브로니[22] | 브 | ||
미시브[23], 브찌[24] | 차, 은 | ||
몰루냐[25], 진리 | 진, 몰 |
5. 무라타 히메코
무라타 히메코 류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작중 호칭인 소령님 또는 대령님[26]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삐메코[27] | 삐 | |
개선, 더메코[28] | 더 | |
기메코[29] | 기 | |
스메코[30] | 스 | |
빙메코[31] | 빙 | |
월식, 염메코[32] | 식 |
6. 테레사 아포칼립스
테레사 아포칼립스 류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이모[33], 테리테리, 테리리[34]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이레사[35] | 이 | ||
기레사[36] | 기 | ||
증폭 ↳ | 기레사, 월황 | ||
앵레사[37] | 앵 | ||
생레사[38] | 생 | ||
초옹이[39] | 초 | ||
테갈량[40], 테갈공명[41] | 테 | ||
월하[42], 노옹이[43] | 월 |
7. 후카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해청, 슝케[44] | 해 | ||
증폭 ↳ | 쀄잉[45] | ||
월륜 | 륜 | ||
치령 | 치 | ||
집사 | 집 | ||
선인 | 선 | ||
흑카 | 흑 | ||
가루다, 가루라[46] | 가 |
8. 리타 로스바이세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이리타[47] | 이 | |
영철[48] | 영 | |
월혼 | 혼 | |
로즈마리 | 로 | |
성극, 턱리타[49], 별리타 | 요[50] |
9. 야에 사쿠라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생쿠[51], 생쿠라 | 생 | |
기쿠[52], 기쿠라 | 기 | |
염쿠[53], 염쿠라 | 염 | |
카스미 | 카 |
10. 카렌 카스라나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금양 | - | |
괴도[54] | 괴 | |
빵렌[55] | - |
11. 로잘리아 아린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
우짱[56] | 우 | ||
증폭 ↳ | 델타(Δ) | 델 |
12. 릴리아 아린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좌짱[57], 검성[58] | 좌 |
13. 제레 발레리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A제레[59], 꿈나비 | - | |
제레즈[60], 스제레[61], 쩨레[62] | 제 | |
흑제레 | 흑 | |
율제레, 사생 | 제 |
14. 듀란달
듀란달 류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모두 거위[63]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영광 | - | |
스란달[64], 월백 | 백 | |
노란달[65] | 노 | |
허수듀[66] | 천 |
15. 아스카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아스카, 내향기[67] | - |
16. 피슬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피슬 | 피 |
17. 엘리시아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엘리시아, 엘리 | 엘 | |
율자 엘리, 율엘리, 진아 | 진 |
18. 뫼비우스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뫼비우스, 뫼비, 뫼찐[68] | 뫼 |
19. 레이븐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레이븐, 공이 엄마, 마즈이[69] | 레 |
20. 캐롤 페퍼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캐롤 | 캐 |
21. 파르도 필리스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필리스, 단또 | 필 |
22. 아포니아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아포니아, 아포 | 아 |
23. 에덴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에덴 | 에 |
24. 그리세오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그리세오 | 그 | |
빵리세오, 빵세오[70] | 빵 |
25. 빌브이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빌브이 | 빌 |
26. 이소상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이소상, 소상, 월흔 | 흔 |
27. 아이 히페리온Λ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아이쨩, 어른쨩 | 아 |
28. 수잔나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수잔나 | 수 |
29. 미스텔 샤니아트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레빗, 미스텔 | 레 |
30. 프로메테우스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프메 | 프 |
31. 시구레 키라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키라 | 키 |
32. 시린
<rowcolor=#fff> 슈트명 | 별명 | 약칭 |
시린, 시린이[71] | 시 |
[1] 중국에선 멍청함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 한국어로 로컬라이징하면 새대가리.[2] 키아나+고등어[3] 태생 B랭크+키아나[4] 총 쓰는 키아나[5] 참피(오드아이) 키아나[6] 광의 야민정음[7] 율자+키등어[8] 종언의 율자+키아나[9] 밥 셔틀이라서[10] 태생 B랭크+메이[11] 검을 사용해서[12] 그림자의 춤+메이[13] 귀신 갑주+메이[14] 율자 메이[15] 기원의 율자+메이[16] 태생 B랭크 브로냐[17] 중장토끼가 적을 줘패서[18] 빙결 타입 브로냐[19] 태생 S랭크 브로냐[20] '검다'라는 뜻의 일본어 쿠로+브로냐[21] 필살기 발동 시 오토바이를 타서[22] 작중에 나온 애칭.[23] 미시 브로냐[24] 브로냐 찌찌[25] 머리 위 장식이 타게임 블루 아카이브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가지고 있는 헤일로와 비슷해서[26] 2계급 특진.[27] 태생 B 랭크 히메코[28] 궁극기의 이펙트가 더 월드 + 서클 나이프를 닮아서[29] 기계 타입 히메코[30] 태생 S랭크 히메코[31] 빙결 타입 히메코[32] 화염 대미지를 입히는 히메코[33] 키아나가 부르는 호칭.[34] 본인이 부르는 애칭.[35] 이능 타입 테레사[36] 기계 타입 테레사[37] 앵화윤무 테레사[38] 생물 타입 테레사[39] 월하초옹이[40] 테레사+제갈량[41] 테레사+제갈공명[42] 월하의 서약[43] 노화한 초옹이[44] 기합소리 촌경.[45] 필살기 발동시 일본어 기합소리가 쀄잉으로 녹음 되어 있어 붙은 별명으로, 소리에 대한 비판으로 후속 버전에 삭제 되었었다. 하지만 율자와 관련된 안개성의 해청의 코스튬 검은 깃털의 정위에서 다시 등장하였다.[46] 인도 신화에선 '가루다', 불교에선 '가루라'로 둘다 동일 대상이며 한국 서버는 '가루라'로 표기한다.[47] 이능 속성 리타[48] 중국 서버 슈트명이 "엽습장 영철"[49] 수정되었지만 기존 리타보다 턱이 길었었다.[50] 성극요란[51] 생물 사쿠라[52] 기계 타입 사쿠라[53] 화염대미지+사쿠라[54] 코믹스에서 괴도 활동 때 입은 옷[55] ![파일:2.5_CG13_mux.mp4_000000208.png]()
CG에서 빵을 가득 안고 있음[56] 뿔이 우측에 달려있음[57] 뿔이 좌측에 달려 있음[58] 로잘리아 보조로 설계되어 강화를 받은 적이 전무하지만, 필살기와 차지 공격의 높은 계수와 다른 대검을 뺏어 사용하는 소드 마스터밈으로 고득점 조합을 다수 존재하고 있어 붙은 별명이다.[59] 태생 A 랭크 제레[60] 제레s, 제레가 둘이라서[61] 태생 S랭크 제레[62] 제레가 두명인걸 나타내기 위해 ㅉ를 사용했다[63] 중국에서 만들어진 별명으로, 듀란(黛尔 = dài ĕr)과 거위(呆鹅 = dāi é)의 발음이 유사해서 붙여졌다. 공식에서도 이벤트 개그 요소로 활용하였다.#[64] 태생 S랭크 듀란달[65] 노란색 듀란달[66] 허수 속성 듀란달[67] 내일을 향한 기도[68] 엘리시아에게 자주 휘둘리는 모습으로 인해 붙은 별명[69] 레이븐 피격음.[70] 빵빵해진 그리세오[71] 시린+어린이
CG에서 빵을 가득 안고 있음[56] 뿔이 우측에 달려있음[57] 뿔이 좌측에 달려 있음[58] 로잘리아 보조로 설계되어 강화를 받은 적이 전무하지만, 필살기와 차지 공격의 높은 계수와 다른 대검을 뺏어 사용하는 소드 마스터밈으로 고득점 조합을 다수 존재하고 있어 붙은 별명이다.[59] 태생 A 랭크 제레[60] 제레s, 제레가 둘이라서[61] 태생 S랭크 제레[62] 제레가 두명인걸 나타내기 위해 ㅉ를 사용했다[63] 중국에서 만들어진 별명으로, 듀란(黛尔 = dài ĕr)과 거위(呆鹅 = dāi é)의 발음이 유사해서 붙여졌다. 공식에서도 이벤트 개그 요소로 활용하였다.#[64] 태생 S랭크 듀란달[65] 노란색 듀란달[66] 허수 속성 듀란달[67] 내일을 향한 기도[68] 엘리시아에게 자주 휘둘리는 모습으로 인해 붙은 별명[69] 레이븐 피격음.[70] 빵빵해진 그리세오[71] 시린+어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