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태후 가문 | ||||
[[전주 김씨|{{{#4a2d5b 경주 김씨}}}]] [[순경태후|{{{#4a2d5b 순경태후家}}}]] | [[임(성씨)#s-3|{{{#000 정안 임씨}}}]] [[공예태후|{{{#000 공예태후家}}}]] | [[인천 이씨|{{{#ffd700 경원 이씨}}}]] [[인예태후|{{{#ffd700 인예태후家}}}]] | [[안산 김씨|{{{#000 안산 김씨}}}]] [[원성태후|{{{#000 원성태후家}}}]] | [[남양 홍씨#s-3|{{{#800000 당성 홍씨}}}]] [[명덕태후|{{{#800000 명덕태후家}}}]] | |
재상 가문 | |||||
[[언양 김씨|{{{#1c581c 언양 김씨}}}]] [[김취려|{{{#1c581c 김취려家}}}]] | [[동주 최씨|{{{#ece5b6 철원 최씨}}}]] [[최유청|{{{#ece5b6 최유청家}}}]] | [[해주 최씨|{{{#ece5b6 해주 최씨}}}]] [[최충|{{{#ece5b6 최충家}}}]] | [[허(성씨)#s-4.2|{{{#ece5b6 공암 허씨}}}]] [[허재(고려)|{{{#ece5b6 허재家}}}]] | [[평강 채씨|{{{#fff 평강 채씨}}}]] [[채송년|{{{#fff 채송년家}}}]] | |
[[청주 이씨|{{{#fff 청주 이씨}}}]] [[왕가도|{{{#fff 이자림家}}}]] | [[여흥 민씨|{{{#000 황려 민씨}}}]] [[민영모|{{{#000 민영모家}}}]] | [[횡성 조씨|{{{#FFDA03 횡천 조씨}}}]] [[조영인|{{{#FFDA03 조영인家}}}]] | [[파평 윤씨|{{{#d8c8b2 파평 윤씨}}}]] [[윤관|{{{#d8c8b2 윤관家}}}]] | [[평양 조씨|{{{#cbc898 평양 조씨}}}]] [[조인규(고려)|{{{#cbc898 조인규家}}}]]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00><tablebordercolor=#99CCFF> 고려 재상지종 15가문 淸州 李氏 청주 이씨 | }}}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충청북도 청주시 | ||
시조 | 이능희(李能希) | ||
중시조 | 이공승(李公升) | ||
집성촌 | 충청남도 천안시 · 홍성군 충청북도 보은군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북도 구미시 · 예천군 | ||
평안남도 중화군 평안북도 박천군 · 구성군 · 정주군 함경남도 북청군 | |||
인구 | 37,377명(2015년) | ||
웹사이트 | 청주이씨대종회 |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씨. 본관은 충청북도 청주시이다. 시조는 이능희로 그의 10세손 이계감이 낭성군에 봉해졌고, 13세손 이애가 상당부원군에 봉해졌다. 낭성과 상당은 모두 청주의 별칭으로 이로부터 이능희의 후손들은 청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청주이씨 대종친회 웹사이트에서 족보를 볼 수 있다.2. 역사
청주 이씨 시조 이능희(李能希)는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벽상삼한(壁上三韓)[1] 삼중대광(三重大匡)[2] 태사(太師)를 지냈다. 그의 선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청주이씨족보(淸州李氏族譜)》에 보면 태사공 이능희 이후에 본관을 청주로 정하였다고 전한다.
같은 청주 이씨 가문 출신인 이자림은 고려 수도 개경의 나성을 축조하여 개성현 개국백 작위를 받았다. 또한 국성을 하사받아 왕가도로 개명하였다. 왕가도의 두 딸들은 고려국왕과 결혼해 각각 원질귀비[3], 경목현비[4]가 되었다. 그러나 이능희와의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능희의 10세손 이계감(李季瑊)은 낭성군(郎城君)에 봉해졌고, 13세손 이애가 정사좌명공신(定社佐命功臣)으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청주를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그런데 《관북파보(關北派譜)》(丁酉譜)의 서문에 6세 문정공(文貞公) 이공승(李公升)의 둘째 아들 평장공(平章公) 이계장(李桂長)이 입북 세거하여 청주이씨 관북파가 생겼다고 하고 있어, 그 이전에 이미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세거하며 관향으로 삼은 사실을 엿볼 수 있다. 고려 초기는 호족연합체제였기에 중앙에서 작호나 작위를 내릴 때도 유력 호족(한국사)들의 경우 근거지나 연고지의 지명에 근거해 내렸다. 즉 고려 초기에 등장하는 성씨들 대다수가 본관이 되는 지역에 이미 영지급으로 세력을 구축해놓은 상태였다는 것이다. 청주 이씨도 이들 중 하나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