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 그래슬리 관련 틀 | ||||||||||||||||||||||||||||||||||||||||||||||||||||||||||||||||||||||||||||||||||||||||||||||||||||||||||||||||||||||||||||||||||||||||||||||||||||||||||||||||||||||||||||||||||||||||||||||||||||||||||||||||||||||||||||||||||||||||||||||||||||||||||||||||||||||||||||||||||||||||||||||||||||||||||||||||||||||||||||||||||||||||||||||||||||||||||||||||||||||||||||||||||||||||||||||||||||||||||||||||||||||||||||||||||||||||||||||||||||||||||||||||||||||||||||||||||||||||||||||||||||||||||||||||||||||||||||||||||||||||||||||||||||||||||||||||||||||||||||||||||||||||||||||||||||||||||||||||||||||||||||||||||||||||||||||||||||||||||||||||||||||||||||||||||||||||||||||||||||||||||||||||||||||||||||
|
<colbgcolor=#214388><colcolor=#fff> 제97-119대 미합중국 연방 상원의원 찰스 어니스트 그래슬리 Charles Ernest Grassley | |
출생 | 1933년 9월 17일 ([age(1933-09-17)]세) |
미국 아이오와 주 뉴 하트퍼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정당 | |
학력 | 아이오와 대학교 (정치학/B.A., M.A.) |
종교 | 침례회 |
가족 | 배우자 바바라 스피처 자녀 5명 |
경력 | 아이오와 주 하원의원 ,(1959~1975 / 버틀러 카운티 선거구 ), 연방하원의원 ,(1975~1981 / 아이오와 3구 ), 연방상원의원 ,(1981~ / 아이오와 ), 연방 상원 임시의장 ,(2019~2021 , 2025~ ), 연방 상원 명예 임시의장 ,(2021~2025), 연방상원 사법위원회 위원장 ,(2025~),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정치인. 1959년부터 1975년까지 아이오와 주 하원의원, 1975년부터 1981년까지 아이오와 3구의 연방하원의원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아이오와주의 연방상원의원을 역임하고 있으며(8선),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상원 임시의장을 역임하였다.다이앤 파인스타인 의원이 사망하면서 2023년 10월 이후의 기준으로[1] 미 상원의 최연장자가 되었다.
2028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 선관위에 서류를 제출하여 9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만약 당선된다면 무려 102세까지 임기를 수행하게 된다.#
1981년에 연방상원의원이 된 이후 매년 아이오와 내의 99개 모든 카운티를 방문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그걸 실천하고 있는데, 이를 따서 아이오와 코커스에 출마하는 대선 후보가 아이오와 전역을 훑는 일을 'full Grassley'라고 한다.
202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서 공화당이 상원 다수당 직을 탈환하면서 2025년부터 다시 상임 임시 의장을 맡았다.
2.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58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버틀러 선거구 | | 3,021 (64.13%) | 당선 (1위) | 초선 |
1960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5,001 (69.06%) | 재선 | |||
1962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3,017 (64.34%) | 3선 | |||
1964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3,884 (60.86%) | 4선 | |||
1966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3,445 (69.23%) | 5선 | |||
1968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4.865 (100%) | 6선[2] | |||
1970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아이오와 10구 | 3,672 (62.6%) | 7선 | ||
1972 | 미국 아이오와 주하원의원 선거 | 아이오와 37구 | 7,846 (70.77%) | 8선 | ||
197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아이오와 3구 | 77,468 (50.84%) | 초선 | ||
1976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17,957 (50.84%) | 재선 | |||
1978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03,659 (56.46%) | 3선 | |||
1980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아이오와 | 683,014 (53.48%) | 초선 | ||
1986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588,880 (66.04%) | 재선 | |||
1992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899,761 (69.61%) | 3선 | |||
1998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648,480 (68.41%) | 4선 | |||
2004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1,038,175 (70.18%) | 5선 | |||
2010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718,215 (64.35%) | 6선 | |||
2016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926,007 (60.09%) | 7선 | |||
2022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681,501 (56.10%) | 8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