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2:22:22

창조론

창조론자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기독교를 포함한 각 종교들의 교리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국창조과학회 등에서 펼치는 유사과학 이론인 창조설에 대한 내용은 창조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인류의 창조를 다루는 각국의 신화에 대한 내용은 인류창조신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창조신화와의 차이3. 종교의 신학으로서의 창조론
3.1. 크리스트교의 창조론
3.1.1. 가톨릭의 창조론3.1.2. 개신교의 창조론3.1.3. 정교회의 창조론3.1.4. 주요 문헌
3.2. 이슬람의 창조론
3.2.1. 창조된 것들3.2.2. 이론적 쟁점
3.3. 힌두교의 창조론
3.3.1. 일신교적 창조론3.3.2. 범신론적 창조론3.3.3. 힌두교 창조설의 교의적 발전 : 우주론적 교의
3.4. 불교의 창조론
4. 관련 문서

1. 개요

創造論, Creationism / Theologies of Creation[1]

창조론은 창세 신화로부터 기반하며 창조 신화를 종교의 교리로서 적용한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창조 신화가 어떠한 '이야기' 를 중심으로 구성된다면 창조론은 '창조에 대한 교훈과 해석'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신학과 종교학의 영역에 속한다. 이전에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이 하는 것처럼 세계의 법칙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현대는 과학이 이를 대체한 상태다.

과학의 역할 이외에도 창조론은 '절대자가 세상을 창조한 이유와 방법' 등의 요소를 들어 인간이 살아야 할 방향과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 법칙 등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였다.

2. 창조신화와의 차이

창조신화와 창조론의 근본적인 차이는 구분하기 어렵지만 창조신화는 어디까지나 설화 영역 즉 구비 문학에 해당한다. 애초에 구비언어를 사용하다보니 기억력 중심에 화자마다 이야기가 변형된다. 창조자가 아무리 위대하고 강할지언정 구술자마다 이야기가 변형되니 권위를 획득하지 못하고, 재밌는 이야기 정도로 받아들여진다. 게다가 구술행위로 전파되는 설화는 애초에 구술 언어가 다르면 끝이다.

반면 창조론은 하나의 가설로써 타인을 설득하고자 한다. 설화는 구술 시부터 이미 흥미 위주이지 상대를 설득하려 하지 않는다. 논리 목적이 아닌 반면 창조론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려고 노력한다. 특히 문자 형태로 기록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전승되고 고정된 내용이라는 권위를 획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파되었다. 문자는 번역하면 그만이니 광범위하게 퍼지고, 사람들에게 읽히게 되었다.[2]

3. 종교의 신학으로서의 창조론

3.1. 크리스트교의 창조론

크리스트교(기독교)의 창조론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로 성경을 바탕으로 신이 세상과 인간과 동물 등을 각각 만들어냈다는 입장이었다.[3] 19세기부터 과학과 종교의 영역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두 개념이 상호 모순되지 않는다는 해석이 등장하고 일부는 천지창조 신화를 실체적 사실로서 받아들이지 않고 관념적인 서술로서 받아들이는 동시에 진화론을 합리적인 과학적 이론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다른 일부는 진화론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창조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현재 가톨릭을 기반으로 한 보편교회와 개신교의 입장은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따로 작성한다.

3.1.1. 가톨릭의 창조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창조론/가톨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개신교의 창조론

루터가 만인제사장을 외치며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제사장, 주교, 교황으로 봉헌한 이래로 개신교는 무수히 많은 교파가 갈라져 나왔고 교파별로 창조론에 대한 입장이 차이가 있다. 한국의 주류 개신교 교파인 장로회는 대체적으로 진화론을 부정하는 형태의 창조론을 지지하고 있으나 각 교파의 공식적인 입장과 무관하게 진화론을 긍정하는 개신교 신자는 꽤 있다.[4][5]

많은 사람들이 창조론의 참/거짓을 따질 때 진화론의 성립여부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는데 이는 중요 초점을 놓친 것이다. 개신교는 창조론에 대해 이야기할 때 창조주의 존재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진화론의 성립 여부와는 어떤 면에선 관련이 깊지만 실상 본질상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 아래의 서술에서도 창조론에 대한 서술을 진화론을 중심으로 구분하며 자연스럽게 진화론의 성립 여부가 창조론과 양립불가능한 식으로 서술이 되었다.

여기서는 임의로 개신교의 창조론을 보수적 개신교진보적 개신교라는 명칭으로 진화론의 인정 여부를 구분하겠다. 원래 개신교의 성격이 보수적이다, 진보적이다를 구분짓는 엄밀한 구분은 진화론의 인정여부는 아니지만, 딱히 적절한 표현이 없어 그나마 포괄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1. 창조론/보수적 개신교: 진화론을 인정하지 않는 개신교의 입장. 창조설 문서 참고.

진화론만 해도 관련 논문이나 책이 쏟아지는데, 창조론 역시 교회에서 강의도 하고 책도 권하는 등 신도들에게 제공하는 정보가 많은 편이다. 여기서 교회측이 내놓는 논리 중 진화론에 대해 공부해본 적이 없는 일반인으로서 반박하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면, "파충류가 조류로 진화를 했다고 치면 그 '중간 과정'에 해당하는 생물은 파충류로서의 장점을 버렸지만 아직 조류로서의 장점(비행, 깃털 등)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한 상태인데 이런 '연약한' 종은 중간에 도태되는 것이 맞지 않은가"와 같은 주장은 관련된 과목을 공부해 본 일이 없는 일반인 대다수가 반박을 하기 어려우며, 아예 개념 자체에서 컬쳐 쇼크를 받고 '그런가?' 하는 쪽으로 넘어가기 십상이다. 물론 자주 착각하기 쉽지만 그 중간과정은 중생대의 지배자인 공룡이고 대멸종 이후 살아남은 공룡은 오히려 연약해보이고 상대적으로 작은 깃털공룡이었다는 점이 진화론의 자연 선택을 잘 설명해준다.

2. 창조론/진보적 개신교: 진화론을 인정하는 개신교의 입장.[6]

각자가 받아들이기 나름이겠지만 세계가 창조된 것은 맞지만 창조된 이후 진화가 별개로 일어났다는 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노아의 방주 이야기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교훈을 담은 이야기거나, 규모는 작더라도 비슷한 사건이 일어나긴 했으나 구전되면서 스케일이 커졌다는 식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꽤나 현실성 있는 생각인데, 애초에 성경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아 모두 필사되었기 때문.

3.1.3. 정교회의 창조론

3.1.4. 주요 문헌

  • 로널드 L. 넘버스,《창조론자들》2016.
  • 로후스 레온하르트, "하나님의 창조와 세계 통치",《조직신학 연구방법론》2018.
  • 위르겐 몰트만,《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2017.
  • 하랄트 바그너, "창조를 향한 하느님의 뜻",《교의신학》2017.
  • 미하엘 벨커,《창조와 현실》2020.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기독교신앙》2006, 201-213쪽.
  • 한스 큉,《한스 큉, 과학을 말하다》2011.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세계의 창조",《조직신학》II, 2018, 28-294쪽.

3.2. 이슬람의 창조론

3.2.1. 창조된 것들

이슬람에서는 꾸란에 의거하여 모든 존재의 근원을 알라[7]로 본다. 꾸란에 따르면, 알라는 인간과 우주를 창조했으며 인간들에게 다른 피조물을 선물로 주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신은 천사(43:19), 진(55:15 - 진은 연기 없는 불로 창조), 하늘과 땅(14:19), 태양과 달, 낮과 밤(41:37), 천둥(13:3), 나무, 과일, 곡식과 향기로운 꽃(55:10~12), 수중 생물(24:45) 등을 창조했다고 한다.

3.2.2. 이론적 쟁점

이슬람 신학에서 다루는 창조론에서 생기는 이론적 쟁점은 다양한데 그 중 하나는 꾸란에서 '알라'를 배타적인 창조주로 취급하는지에 대해서는 신학자들 간에도 이견이 있다. 수라 (13:16)의 아래와 같은 구절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일러가로되 천지의 주님이 누구이뇨 일러가로되 하나님이라 일러가로되 스스로를 위하여 유용함도 해악도 없는 그분 아닌 다른 것을 보호자로 택하였느뇨 일러가로되
장님과 보는 자가 같을 수 있으며 암흑과 빛이 같을 수 있느뇨 또한 그들은 그들이 만든 우상을 그분이 창조한 것처럼 숭배하여 창조된 것이 그들에게 혼돈됨인가 일러가
로되 하나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였으며 그분은 홀로 전능하심이라 - 사우디 국왕역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 수라 (13:16).

여기서는 알라와 다른 '샤리크'(타 종교의 신)에게도 창조의 능력이 있다는 듯한 언급이 있다. 일반적으로 꾸란에서 창조의 능력은 알라(유일신)에게만 귀속되나 이 구절만이 예외이다.

이는 아래의 번역에서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말하라. 하늘들과 땅의 주님은 누구인가? 말하라. 알라 말하라. 왜 너희들이 그 분(알라)이 아닌 (다른) 보호자를 취했니? 그들 자신에게 유익과 해로움도 주지 못한다. 말>하라. 시각 장애자가 시각 정상인과 동등하냐? 또는 깜깜한 어둠이 빛과 동등하니? 또는 그들이 알라의 슈라카(동반자들, 샤리크의 복수)를 만들어 알라가 창조한 것과
유사한 것을 슈라카가 창조한 것이 알라의 것과 구별이 안 된다는 말인가? 말하라. 알라는 만물의 창조주이다. 그 분은 한 분이시다.
- 공일주, 《꾸란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0, 122쪽

그러나 이는 정통 교리를 따르는 한 심각한 쟁점이 되지 않는다. 신 자체의 존재론, 또 이에 의거해 신이 이룬 창조의 특성과 꾸란의 존재를 어떻게 신학적으로 설명할 것이냐가 보다 중요한 쟁점이 되는데, 이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개진하느냐에 따라 신학의 학파가 무으타질라파, 아슈아리파, 마투리디파 등으로 다양하게 갈리게 되었다.

3.3. 힌두교의 창조론

힌두교의 가정 오랜 경전이며 모태인 리그베다(B.C.1500)에 근거한 힌두교 문헌에서는 여러 가지 창조에 대한 언급이 발견된다. 이러한 베다의 언급을 근거로 세계의 창조 문제를 논하는데 힌두교의 창조론은 매우 신화적이며 창조에 관련된 신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으나, 힌두교에서 정의된 신은 결코 유대교나 기독교에서 말하는 우주의 창조자가 아니다. 신은 항상 어떤 사물이나 자기 자신으로부터 창조하며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부터 창조하지는 않는다. 초창기의 힌두교가 후기로 나가면서 힌두교의 교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3.1. 일신교적 창조론

  • 초기 리그베다 문헌 : 건조(建造) 또는 출산을 본뜬 원시적인 우주의 창조 설을 담고 있지만 명확한 창조신의 이름은 드러나지 않는다. '프라자파티'가 거론되지만, 이는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 후기 문헌에서는 보다 분명한 언급이 보인다. 우주의 창조신을 '비슈 바카르마'라 언급하며 이 신은 천지를 창조할 때 집을 짓듯이 양팔로 부채질하여 접합시켰다고 한다.
  • '브리하스파티'(기도의 주인)를 창조신으로 하는 찬가에서는 브리하 스파티가 대장장이처럼 만물을 단조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찬가에서 '유(有)는 무(無)에서 생기지 않는다.'라는 언급이 있는데, 이 구절은 이후 철학적으로 중 요한 쟁점이 되었다. 여기의 '무'는 비존재라기보다는 혼돈 상태를 가리킨다.
  • 리그 베다의 내용 중 가장 추상적인 창조론은 우주 개벽의 찬가(10:129)에서 전 개된다. 이 찬가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태초에 무(無)도 없고 유(有)도 없었 다. 공계(空界)도 없었으며 그를 뒤덮는 하늘도 없었다…' 이 찬가는 우주의 발생 원인을 중성(中性)의 근본 원리인 절대의 유일자에게로 돌린다.
  • 브라흐마(산스크리트어: ब्रह्मा) 또는 범천(梵天) : 후기에 정리되어 정형화된 창 조의 신으로 비슈누,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삼주신을 이룬다. 브라흐마는 힌두 철학에서 우주의 근본적 원리이자 최고 원리인 지고의 우주적 정신 또는 존재인 브라만이 인격화된 남신으로 브라만을 상징한다. 브라흐마의 배우자는 배움의 여 신인 사라스바티이다. 브라흐마는 베다에서 프라자파티라 불리기도 한다.
  • 프라자파티 : 브라흐마는 세상을 만들면서 인간의 조상이라고 하는 열한 명의 프라자파티를 만들었다. 그들은 각각 마리치(Marichi), 아트리(Atri), 아기라사(Angirasa), 풀라스티아(Pulastya), 풀라하(Pulaha), 크라투(Kratu), 바시쉬타 (Vasishtha), 프라체타스(Prachetas, 다크샤(Daksha)라도도 함), 브리그(Bhrigu), 나라다(Narada)라고 불린다. 브라흐마는 그를 도와 우주를 만드는 데 함께할 사 프타리쉬(Saptarishi)라 불리는 일곱의 현자도 만들었다. 이들 모두는 그의 몸에서가 아니라 정신에서 태어났다고 하며 이 때문에 정신적 자식이라는 의미의 마나스 푸트라스라 불린다. 베다와 푸라나에 실린 신화에서 브라흐마의 작업은 다른 신들에 의해 종종 방해 받은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한 방해 중 어떤 것은 매우 치명적이었다고 한다.

3.3.2. 범신론적 창조론

'푸루샤 숙타'(원시 찬가)에서는 범신론적 창조론을 보이고 있다. 원시의 인간 '푸루샤(Purusha)'는 천 개의 머리, 천 개의 눈, 천 개의 발을 가졌으며 신들이 푸루샤를 희생시켜 제사를 지냈을 때 거기서 말, 소, 산양, 양 등이 태어났고, 푸루 샤의 마음에서는 달이, 눈에서는 태양이, 입에서 인드라와 아그니가, 숨결에서 바람 이, 배꼽에서 공계(空界), 머리에서 천계(天界), 양 발에서 대지, 귀에서 방위(方)가 생겼다고 한다. 이러한 찬가는 거인 해체 신화의 한 예다.

3.3.3. 힌두교 창조설의 교의적 발전 : 우주론적 교의

  • 브라흐마 신 : 힌두교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생성, 발전, 소멸을 반복한다. 브라흐마 신이 우주를 생성하고 비슈누신이 우주를 유지, 발전시키며 시바신이 우주를 소멸시킨다. 마치 계절이 바뀌듯 우주의 시간도 바뀌어 결국에는 낡은 우 주 가 소멸되고 새로운 우주가 만들어진다.
  • 기본 교의 : 힌두교는 결국 이러한 창조 신화를 바탕으로 우주의 법칙과 인간의 윤회를 근간으로 하는 교리를 발전시켰는데, 결국 인간 역시 우주 안에서 끊임 없이 낳고 죽기를 반복하며 윤회한다. 인간이라 하더라도 다음 생애에는 짐승으 로 태어 나기도 하며 천신으로 태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수없이 많은 윤회의 과 정에서 사람은 한 인생을 살면서 쌓은 업(산스크리트어: Karma)에 의해 다음 생애가 결정된다. 다르마에 따른 삶을 살다 죽으면 다음 생애에는 보다 고귀한 존재로 태어난다. 다르마에 어긋나는 삶을 살면 고귀한 존재라 할지라도 다음 생애에는 비천한 존재로 태어난다. 이러한 힌두교의의 기본 개념들은 대부분 이 후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인도에서 발원한 다른 종교에 도입되었다.
  • 브라만(산스크리트어: Brahman) : 우주의 진리 또는 우주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 기도 하다. 힌두교의 최상위 목표는 '참된 나'인 아트만이 '우주의 진리'인 브라 만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카스트 제도의 가장 상위 계층을 브라만이라고 칭한 것은 이들이 스스로 우주의 지혜를 구하는 것이 자신들의 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아트만 : 생명은 숨과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아트만의 원래 뜻은 숨쉰다는 뜻이 다. 한국에서 생명을 목숨으로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다. 숨쉬는 생명 아트만(산 스크리트어: आत्मञ्,Atman)은 '나'를 말한다. 그러나, 끊임없이 윤회하는 삶에서 지금의 나는 '참된 나'가 아니다. 지금의 나는 과거의 윤회를 거치는 동안 내가 쌓은 업(산스크리트어: Karma, 業)에 의한 것이다. '참된 나'는 윤회의 과정에서 계속하여 존재하여 없어지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는 '나 라는 생명의 본질'을 뜻 한다.

3.4. 불교의 창조론

불교에서 비로자나불은 우주만물의 창조주로서 모든 우주만물이 이 부처에게서 탄생하였다고 한다. 석가모니가 이 부처의 응신(應身)이다. 또, 원시불교에서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다르마(法)로 여겼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아디붓다 또는 본초불이라고 한다.
  • 연기법 :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기 때문에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기 때문에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기 때문에 저것이 멸한다." 그러므로 연기법을 ‘관계성의 법칙’ 또는 ‘상의성(相依性)의 법칙’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 '연(緣: 인과 연의 통칭으로서의 원인)해서 생겨나 있다' 혹은 '타와의 관계에서 생겨나 있다'는 현상계(現象界)의 존재 형태와 그 법칙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세상에 있어서의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날 원인[因]과 조건[緣]하에서 연기의 법칙에 따라서 생겨난다는 것을 말한다. 연기의 법칙, 즉 연기법(緣起法)을 원인과 결과의 법칙 또는 줄여서 인과법칙(因果法則) 혹은 인과법(因果法) 또는 인연법(因緣法)이라고도 한다.

석가모니는 《잡아함경》 제12권 제299경 〈연기법경(緣起法經)〉에서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도 아니요, 또한 다른 사람이 만든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시거나 세상에 출현하시지 않거나 법계에 항상 머물러 있다. 저 여래는 이 법을 스스로 깨닫고 등정각(等正覺)을 이룬 뒤에, 모든 중생들을 위해 분별해 연설하고 드러내어 보이신다."라고 말씀하셨다.

연기(緣起)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프라티트야 삼무파다(प्रतीत्यसमुत्पाद pratītyasamutpād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인연생기(因緣生起: 인과 연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따라 생겨남)의 준말이다. 한역(漢譯) 경전에서는 발랄저제야삼모파다(鉢剌底帝夜參牟播陀)로 음차하여 표기한 경우도 있다. 프라티트야(산스크리트어: pratītya)의 사전적인 뜻은 '의존하다'이고 삼무파다(samutpāda)의 사전적인 뜻은 '생겨나다 · 발생하다'이다.

연기(緣起), 인연생기(因緣生起: 인과 연에 의지하여 생겨남, 인연따라 생겨남), 즉 '프라티트야 삼무파다'는 영어권에서는 dependent arising (의존하여 생겨남), conditioned genesis (조건지어진 생성), dependent co-arising (의존된 상호발생) 또는 interdependent arising (상호의존하여 생겨남)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4. 관련 문서



[1] 창조에 관한 이론이 아닌 창조에 관한 신학론. 외국 신학서적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로 본 항목의 본래 뜻에는 이게 더 가깝다.#[2] 사실 이 설명 자체도 불완전 한 것이 현실로 인식하느냐, 재밌는 이야기의 일종이라 인식하느냐로 인한 차이가 구술/문자라는 차이를 만든 거지만.[3] 태생적으로 기독교의 창조론은 그리스의 원소설보다도 과학적인 접근 방식과는 거리가 있었다.[4] EBS 신과 다윈의 시대 2008년3월9일(월) 코리아 리서치 조사 개신교 40%[5]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한 여론조사 2012년7월16일 갤럽조사 인간이 다른 생물 종에서 진화했다 개신교 14%, 천주교 31%[6] 관련 저서로는 다음이 있다. 《신의 언어》, 《쿼크 카오스 그리고 기독교》, 《다윈주의자가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는가》, 《예수와 다윈의 동행》, 《신과 진화에 관한 101가지 질문》,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창조론자들》 등.[7] 이슬람의 교리상 야훼와 동일한 존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