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6387a, #1B4392 20%, #1B4392 80%, #16387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푼살마깅 오치르바트 | 나차깅 바가반디 | 남바링 엥흐바야르 |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 |
| <rowcolor=#fff> 제5대 | 제6대 | |||
| 할트마깅 바트톨가 | 오흐나깅 후렐수흐 | |||
| <colbgcolor=#1B4392,#1B4392> 몽골 제국 · 원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6387a, #1B4392 20%, #1B4392 80%, #16387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rowcolor=#fff> 복드 칸국 |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 토그스오치링 남낭수렝 | 곤치잘장깅 바담조르지 | 잘한츠 호타그트 소드노밍 담딩바자르 |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 도그소밍 보도 | 잘한츠 호타그트 소드노밍 담딩바자르 | 발링깅 체렌도르지 | |
| 몽골 인민공화국 |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발링깅 체렌도르지 | 아낭딩 아마르 | 쳉겔팅 지그지자브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 펠지딩 겐덴 | 아낭딩 아마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 욤자깅 체뎅발 | 잠빈 바트뭉흐 | 도마깅 소드놈 | |
| 제15대 | 제16대 | ||
| 샤라빈 공가도르지 | 다싱 비암바수렌 | ||
| 몽골국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
| 폰차깅 자스라이 | 멘드사이하니 엥흐사이한 |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 |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 잔라빈 나란차츠랄트 | 린친냐민 아마르자르갈 | 남바링 엥흐바야르 | |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 미예곰빈 엥흐볼드 | 산자깅 바야르 |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 수흐바타린 바트볼드 | 노로빈 알탄호야그 | 치메딩 사이한빌레그 |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 자르갈톨깅 에르데네바트 | 오흐나깅 후렐수흐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
| 제32대 | |||
| 곰보자빙 잔당샤타르 | }}}}}}}}} | ||
| <colbgcolor=#1b4392><colcolor=#fff> | |||
| 몽골국 제4대 대통령 차히아깅 엘베그도르지 Цахиагийн Элбэгдорж | Tsakhiagiin Elbegdorj | |||
| | |||
| 출생 | 1963년 3월 30일 ([age(1963-03-30)]세) | ||
| 몽골 인민공화국 허브드주 제레그 (現 몽골 허브드주 제레그) | |||
| 재임기간 | 제19대 총리 | ||
| 1998년 4월 23일 ~ 1998년 12월 9일 | |||
| 제23대 총리 | |||
| 2004년 8월 20일 ~ 2006년 1월 13일 | |||
| 제4대 대통령 | |||
| 2009년 6월 18일 ~ 2017년 7월 10일 | |||
| 서명 | |||
| 링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b4392><colcolor=#fff> 배우자 | 하지드수랭 벌러르마 | |
| 자녀 | 25명[1] | ||
| 학력 | 헤트만 페트로 사하이다쉬니 군사학교 (군사언론학 / 학사) 리비우 공과대학교 (언론학 / 학사)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경제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행정학 / 석사) | ||
| 정당 | |||
| 의원 선수 | 1 (소후랄) 3 (후랄) | ||
| 의원 대수 | 1 1, 2, 5 | ||
| 군사 경력 | |||
| 복무 | 몽골 인민군 육군 | ||
| 1982년 ~ 1983년 | }}}}}}}}} | ||
1. 개요
몽골의 제19·23대 총리이자 제4대 대통령. 민주당 소속으로, 최초의 비(非)인민당 출신 대통령이다.2. 상세
1963년 유목민 가정의 8번째 막내 아들로 태어났으며 부친은 할힌골 전투 참전자라고 한다.소련 유학 당시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에 깊은 인상을 받고 귀국 후 기자로 근무하면서 1980년대 후반 1990년 몽골 혁명의 주도자 중 한명이 되었다.
1990년 몽골 민주화가 성공하자 몽골 최초의 독립 언론 '아르드칠랄'을 창간해 편집장을 역임했다. 또한 1990년, 1992년, 1996년, 2008년 4차례 국회의원에 재임하면서 언론자유법을 통과시키는데 기여했다.
1998년과 2004년에는 몽골 총리를 역임했고 이후 2009년 몽골 4대 대통령에 당선되어 2017년까지 재임했다.
몽골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민주화된 몽골의 법을 제정하는데 기여했기에 서구권에서는 엘베그도르지를 "몽골의 토머스 제퍼슨"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3. 선거이력
|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 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9 | 몽골국 대통령 선거 | 몽골 | 562,718표 (51.93%) | 당선 (1위) | ||
| 2013 | 몽골국 대통령 선거 | 몽골 | 622,794표 (50.89%) | 당선 (1위) |
4. 기타
푸틴 대통령의 말을 듣고 몽골의 역사적 지도를 찾아보았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우리는 평화롭고 자유로운 나라입니다 🌏
- 몽골 최초의 비(非)인민당 출신 대통령이다.
- 미국에서 유학한 해외파다.
- 대통령 재임 이전에 몽골 총리를 역임했다.
- 2013년에 북한을 방문했었는데 김정은이 만나주지 않아서 정상회담을 하지 못했다. 정상회담이 불발된 이유는 방북 당시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이 북한측에 북한의 강제노동수용소, 지하 핵시설, 북한 가정집 방문을 요청했다가 거부당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 방북 당시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연설을 했는데 "어떠한 폭정과 독재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습니다. 자유롭게 사는 것은 인간의 욕망이며, 이는 영원한 힘입니다." 라는 등 평양 한복판에서 대놓고 독재를 비판하고 올바른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연설을 해서 화제가 되었다.
[1] 다만 친자식은 아들 4명이며, 나머지 21명은 전부 입양아다.[2] 다만 해당 지도에는 고려 또한 몽골 제국의 일부로 표시되어서 국내 일부 네티즌들은 비판적인 댓글을 영상에 달기도 하였다. 사실 외국 자료들에서 나오는 지도에는 고려가 몽골 제국에 귀속된 것으로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다. 뼈아프긴 하지만 어쨌든 당시 고려가 몽골 제국에게 굴복한 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