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8 09:43:48

지멘스 비아지오


파일:Siemens_AG_logo.svg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 고속열차 ICE 1 | ICE 2 | ICE 3 | ICE 4 | ICE T | ICE TD | Velaro | CRH380B
🚅 일반열차 Mireo | Desiro | Nexas | 영국철도 333형 | 영국철도 700형 | Cargo Sprinter
🚄 시험용 EuroTrain | ICE V | Siemens Venturio
🚃 기관차 코레일 8200호대 | ES64P | ES64F | ES64U | ACS-64 | ES2007 | Vectron | Charger | NSB Di Series | Eurorunner | Asiarunner | Sprinter
🚞 객차 Viaggio | Venture | ICE ExM
🚝 자기부상열차 Transrapid
🚋 트램/경전철/광역전철 C651형 |C321형 | C341형 | ADtranz-지멘스 모듈식 지하철 전동차 | VAL | Modular Metro | Inspiro Metro | Tren Urbano | 보스턴 지하철 블루라인 700호대 | 런던 신 지하철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P2000 | Combino Supra | Siemens S Series |
Siemens SD Series | 멜버른 트램 D형 | ULF Tram | Duewag U2
}}}}}}}}}

1. 개요
1.1. 비아지오 컴포트1.2. 비아지오 넥스트레벨1.3. 비아지오 트윈1.4. 비아지오 클래식1.5. 비아지오 라이트
2. 파생종
2.1. 벤처

1. 개요

지멘스에서 만든 객차군이다.

1.1. 비아지오 컴포트

파일:Railjet-Oesterreich.jpg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소속 초기형 비아지오 컴포트 운전객차
파일:Railjet_CZ_control_car.jpg
<colbgcolor=#009FD9> 체코 철도 소속 초기형 비아지오 컴포트 운전객차
현재 레일젯에서 사용하고 있는 객차로, 2000년에 러시아에 납품할 목적으로 만든 침대차인, 비아지오 클래식 설계되었으며, 2008년부터 영업운전을 시작하였다. 보통 고속열차들은 전동차를 사용하나, ÖBB에서는 당시 최근에 오이로슈프린터를 구매해서 이들을 계속 써먹고 싶은 심정이였다. 조정 끝에 지멘스에선 비아지오 컴포트 객차의 설계가 가장 적절하다고 발표했고, 그 뒤 2006년 2월에 7량편성 23대를 수주했고 2007년 9월에 44편성을 추가 수주함으로써, 총 469량이 7억 98유로에 거래되었다. 그러는 한편, 2011년 9월부터 2012년 5월 사이에 체코 철도가 ÖBB와의 협상 끝에, 총 7편성을 체코로 이적시키기로 했는데, 얘네들도 오스트리아 방면의 레일젯에 투입할 심산이였다. 그래서 현재의 레일젯 차량 현황에 가까워지게 된거다. 레일젯 편성들의 경우, 그 이후 후기형은 벡트론과 편성을 이루는 열차인 벡트레인 계열에 속한다. 2018년에 체코 철도에선 지멘스-스코다 컨소시엄에 5량 10편성을 주문했다. 이 편성들은 프라하와 혭 사이를 플젠, 우스티 나드 라벰을 경유하는 체코 국내선에 투입되며, 인터젯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어객차는 제조되지 않았다. 2021년 12월 12일에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2021년 4월에는 체코 철도에서 지멘스-스코다 컨소시엄에 9량 편성을 발주했고, 프라하발 함부르크/부다페스트/빈 행 열차에 투입될 예정이며, 컴포트제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어차는 오이로슈프린터의 전면 형상이 아닌 벡트론의 형상을 하고 출고된다. 최고속도는 230km/h

1.2. 비아지오 넥스트레벨

파일:obb_railjet_2.jpg
레일젯과 나이트젯에 도입될 신형 객차로, 제조 시 편성 당 량수와 바닥 높이까지, 자유자재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2018년에 장거리 주간 및 야간열차에 투입할 신형 객차에 대한 입찰에서, 지멘스가 3억 7천 5백만 유로에 낙찰받았다고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가 발표했고, 2023년 12월 10일에 레일젯용 편성이 인스브루크-함부르크 간 열차와 함부르크-빈 간 열차에 처음으로 투입되면서 영업운전을 시작했다. 제어차가 벡트론의 전면형상을 하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ES64U가 견인하는데, 그 이유로, 현재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소속의 벡트론 기종들은 모두 화물용 기종이며, 최고속도가 시속 160km에 불과해, 레일젯의 고속운행에 대응이 안 된다는 것 때문이다. 기관차에서 가장 가까운 2량이 비즈니스석이고, 나머지는 모두 일반석이다. 나이트젯 편성의 경우, 제어차가 좌석차이고, 쿠셋 4량, 침대차 2량으로 편성된다. 공통점으로, 제어차를 제외한 중간 객차들은 저상형 구조로 되어 있다.

1.3. 비아지오 트윈

1.4. 비아지오 클래식

1.5. 비아지오 라이트

2. 파생종

2.1. 벤처

파일:siemens venture.jpg
북미 시장에 수출할 목적으로 제조된 차량으로, 2018년에 브라이트라인에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암트랙에선 2022년에 암트랙 미드웨스트 노선에 투입되면서 운행을 시작했다. 추후 산 호아킨, 북동간선 루트, 캐스케이즈에도 투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