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8:36:59

조라우 전투


7년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ABCDED,#0E0F37>전쟁교전세력
교전세력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4일,
프랑스 식민지 군 영국 민병대
머농거힐라 전투
,1755년 7월 9일,
프랑스 영국
조지 호수 전투
,1755년 9월 8일,
영국 프랑스
메노르카 해전
,1756년 5월 20일,
프랑스 영국
로보지츠 전투
,1756년 10월 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캘커타 전투
,1757년 2월 4일,
영국 벵골
라이헨베르크 전투
,1757년 4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하 전투
,1757년 5월 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콜린 전투
,1757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플라시 전투
,1757년 6월 23일,
영국-벵골국 프랑스
하스텐베크 전투
,1757년 7월 26일,
프랑스 영국-프로이센
그로스예거스도르프 전투
,1757년 8월 30일,
러시아 프로이센
모이 전투
,1757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프-프랑수아 해전
,1757년 10월 21일,
프랑스 (무승부) 영국 (무승부)
로스바흐 전투
,1757년 11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브레슬라우 전투
,1757년 11월 22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로이텐 전투
,1757년 12월 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쿠달로르 해전
,1758년 4월 29일,
프랑스 영국
루이스버그 전투
,1758년 6월 8일,
영국 프랑스
크레펠트 전투
,1758년 6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돔슈테트 공습
,1758년 6월 3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카리용 요새 전투
,1758년 7월 8일,
프랑스 영국
잔더스하우젠 전투
,1758년 7월 23일,
프랑스 헤센
네가파탐 해전
,1758년 8월 3일,
영국 프랑스
미어 전투
,1758년 8월 5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조른도르프 전투
,1758년 8월 25일,
프로이센 (무승부) 러시아 (무승부)
생 카스 전투
,1758년 9월 11일,
프랑스 영국
토르노프 전투
,1758년 9월 26일,
프로이센 스웨덴
페흐벨린 전투
,1758년 9월 28일,
스웨덴 프로이센
1차 루텐베르크 전투
,1758년 10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
호크키르히 전투
,1758년 10월 14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구스토우 전투
,1758년 11월 18일,
프로이센 스웨덴
베르겐 전투
,1759년 4월 13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카이 전투
,1759년 7월 23일,
러시아 프로이센
보포르 전투
,1759년 7월 31일,
프랑스 영국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쿠너스도르프 전투
,1759년 8월 12일,
오스트리아-러시아 프로이센
라구스 해전
,1759년 8월 18일,
영국 프랑스
조라우 전투
,1759년 9월 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지나 전투
,1759년 9월 8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리셰스 하프 해전
,1759년 9월 10일,
스웨덴 프로이센
퐁디셰리 해전
,1759년 9월 10일,
영국 프랑스
아브라함 평원 전투
,1759년 9월 13일,
영국 프랑스
코르비츠 전투
,1759년 9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1759년 9월 2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막센 전투
,1759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키브롱 만 해전
,1759년 11월 20일,
프로이센 스웨덴
풀다 전투
,1759년 11월 30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뷔르템베르크
마이센 전투
,1759년 12월 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완디와슈 전투
,1760년 1월 22일,
영국 프랑스
생트푸아 전투
,1760년 4월 28일,
영국 프랑스
란트슈트 전투
,1760년 6월 23일,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코르바흐 전투
,1760년 7월 10일,
프랑스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엠스도르프 전투
,1760년 7월 16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바르부르크 전투
,1760년 7월 31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리그니츠 전투
,1760년 8월 15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스트레일라 전투
,1760년 8월 20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클로스터 캄펜 전투
,1760년 10월 16일,
프랑스 영국-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토르가우 전투
,1760년 11월 3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랑엔잘차 전투
,1761년 2월 15일,
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작센
그륀베르크 전투
,1761년 3월 21일,
프랑스 프로이센-하노버
빌링하우젠 전투
,1761년 7월 16일,
영국-프로이센-하노버 프랑스
되벨른 전투
,1762년 5월 12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빌헴스타흘 전투
,1762년 6월 24일,
영국-프로이센-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1762년 7월 21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2차 루텐베르크 전투
,1762년 7월 23일,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프랑스-작센
라이헨바흐 전투
,1762년 8월 16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프라이베르크 전투
,1762년 10월 29일,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 ||
<colcolor=#fff> 조라우 전투
Battle of Sorau
Schlacht von Zorau
<colbgcolor=#ABCDED,#0E0F37> 시기 1759년 9월 2일
장소

조라우
(現 폴란드 자리 시)
교전국 프로이센
(공세)
<rowcolor=black> 오스트리아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svg 치텐 백작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svg 윈치 (소령)
지휘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다운 백작
병력 프로이센군: 10,000명 오스트리아군: 55,050명
- 보병: 42,870명
- 중기병: 5,410명
- 경기병: 2,090명
- 기병: 4,680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프로이센의 승리
- 오스트리아군의 후퇴로 인한 프로이센의 전략적 승리
영향 지나 전투 발발
1. 개요2. 배경3. 전투 경과4. 결과

[clearfix]

1. 개요

7년 전쟁 시기인 1759년 9월 2일 슐레지엔 지역의 조라우에서 프로이센군오스트리아군이 격돌한 전투. 전투 자체는 승패를 가리기 어렵지만 오스트리아 총사령관 다운 백작 레오폴트 요제프가 전투 이후 군대를 후퇴시켰으므로 전략적으로는 프로이센 측이 이득을 취했다고 할 수 있겠다.

2. 배경

1759년 8월 18일 프리드리히 대왕의 친동생인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왕자쿠너스도르프 전투에서 러시아-오스트리아군에게 대패한 조국이 멸망의 위기에 처한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다운 백작 레오폴트 요제프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대군을 붙들어놓기로 결심했다. 이에 그는 자신의 군대를 보강하기 위해 란데슈트에서 보병 7개 대대와 기병 3개 대대를 이끌고 마침 란데슈트에서 잔여 군단을 수습하고 있던 푸케 장군과 합세했다. 8월 27일, 하인리히 왕자와 푸케 장군은 30개의 보병대대와 58개의 기병대대를 이끌고 루사티아 방면으로 행진했다. 같은 날, 게르도르프 후사르 분대는 스프로토우에서 벡 장군의 오스트리아 경기병대와 맞붙었다. 벡 장군은 곧 후퇴했고, 프로이센군은 스프로토우에 성공적으로 입성했다.

8월 28일, 한스 요아힘 폰 치텐 장군이 이끄는 프로이센 기병대가 세이건에 도착했다. 그들은 마을 안팍에 진을 치고 부서진 다리를 수리했다. 8월 29일 치텐의 기병대는 소라우로 진군했고 하인리히 공은 세이건에 도착해 적 후사르 84명과 3명의 장교들을 사로잡았다. 한편 불로우 장군은 6개의 보병대대와 5개 기병 대대를 이끌고 나움부르크를 점령했다. 이러한 적의 움직임을 전해들은 다운 백작은 이러다가는 러시아군과 오스트리아군과의 연결망이 차단될 것을 우려해 아돌프 니콜라스 폰 부크코프 장군에게 트아이벨로 진군할 것을 지시했고 다인스 후작에게 프리버스로 진군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치텐 기병대가 소라우에 나타나자, 다운 백작은 증원군을 기다리지 않고 니스로 후퇴하고 부크코프 장군의 부대와 모스카에서 합류했다.

8월 30일, 다운 백작은 치텐을 공격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벡 장군의 군단을 위센에서 치텐의 군대의 후방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부슈무흘로 진격하게 했고 에스테라지의 군단을 솜머펠트에서 프로이센군 우측면을 향해 진군하게 했으며, 자신은 오스트리아 본군과 함께 전방에서 공격하기로 했다. 얼마 후, 치텐 백작의 선봉대가 타아이벨에서 적 정찰병과 충돌해 73명의 포로를 생포해왔고, 치텐 백작은 이 포로들을 심문해 다운 백작의 계획을 파악했다. 이에 치텐은 하인리히 공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하인리히 공은 9월 1일 200명의 후사르와 일부 보병대를 부슈무흘로 파견해 마침 그곳을 점령하려 했던 벡 장군의 선봉대를 격파했다. 한편 다운 백작은 적이 자신의 의도를 눈치챘다는 걸 깨닫지 못한 채 공세 작전을 개시한다.

3. 전투 경과

9월 2일 아침, 치텐 백작의 척후병들은 소라우 방향으로 쳐들어오고 있는 오스트리아군을 발견하고 급히 보고했다. 이에 치텐 백작 휘하 부관 크제트리츠 장군은 적의 움직임을살펴보기 위해200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출격해 적의 접근을 확인했다. 얼마후 5만 가량의 오스트리아군이 서쪽에서 남서쪽으로, 그리고 남쪽의 소로를 따라 각기 갈라져 치텐의 프로이센군을 향해 접근했다. 치텐은 적과 정면 대결하는 건 어리석은 짓이라고 판단하고 퇴로를 확보한 뒤 후퇴 작전을 시행했다. 그는 군수품들을 실은 마차들을 먼저 출발시키고 리벤티쉬 기병대가 이들을 호위하게 했다. 그 다음으로는 포병대를 후퇴시켰고 주력군은 그들을 바짝 따라갔다. 또한 소라우의 전방 마을인 부슈무흘에는 크제트리츠 장군 휘하의 드라군 분대와 정예 보병대가 배치되어 아군의 후퇴를 엄호하게 했다.

얼마 후, 오스트리아 기병대가 부슈무흘에 도착해 후위에 남겨진 적 보병대를 여러차례 공격했다. 하지만 이 정예 보병대(프리바탈리온 살렘논)는 부슈무흘 다리를 사수해 적 기병대의 공격을 무력화시켰다. 그 후 그들은 본대가 멀리 후퇴할 때까지 다리를 끝까지 사수하여 적 후사르와 드래곤 분대의 진군을 지연시킨 뒤 질서정연하게 철수했다. 이리하여 소라우 전투는 막을 내렸다.

4. 결과

정예 보병대 프리바탈리온 살렘논은 약 15명의 병사를 잃었고 크제트리츠 드래곤 분대는 몇명의 병사들을 잃었지만 후위대를 지휘했던 보브르 대위는 전사했다. 반면 오스트리아군의 손실은 알려진 바 없다. 다운 백작은 적이 철수한 뒤 소라우를 점령했지만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마침내 자신의 군대를 되돌려 트아이엘에 있는 자신의 진영으로 돌아갔다. 벡 장군의 군단 대부분은 그 사이 행진이 지연되었고, 치텐 백작은 함정을 벗어나 세이건에서 하인리히 공과 합류했다. 이후 다운 백작은 일부 병력을 북상시켜 작센 북부 일대를 점령하게 했고, 프로이센군은 이에 맞서 지나 전투에서 적과 교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