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23:13:23

젠레스 존 제로/적/주간 보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젠레스 존 제로/적
파일:젠레스 존 제로-로고 타이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22,#000><colcolor=#fff> 스토리
콘텐츠
시스템
아이템
미디어 믹스
기타
}}}}}}}}} ||
1. 개요2. 에테르 돌연변이
2.1. 미아즈마 프리스트2.2. 마리오네트·쌍둥이2.3. 죽음의 도살자
3. 침식체
3.1. 방황하는 사냥꾼3.2. 「오버로드 침식체·폼페이」3.3. 미지의 복합 침식체
4. 특수
4.1. 새크리파이스·브랑그

1. 개요

젠레스 존 제로의 주간 보스들에 대해 기록한 문서.

스코트 전초기지에서 노토리우스 사냥이라는 이름의 컨텐츠에 등장한다. 1주일에 3번만 입장 가능하고, 핵심스킬 육성 재료를 드랍한다. 1.2버전 패치로 1주일에 3번 무료 입장, 이후 배터리 60을 소모하여 입장할 수 있게 바뀌었다.

보면 알겠지만, 각 스토리 액트의 최종보스로 구성되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래는 액트 클리어를 하지 않으면 해당 보스는 열리지 않았으나, 1.2버전 패치로 바로 모든 주간 보스 배틀이 가능하게 바뀌었다.

여담으로 4장부터 보스 이름에 등장인물 이름이 들어가는 덕분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공식이 인겜에서 스토리 스포를 작렬한다.

2. 에테르 돌연변이

2.1. 미아즈마 프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미아즈마 프리스트.png
미아즈마 프리스트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생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2,279,332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미아즈마 프리스트는 페이즈에 따라 교체되며, 해당 단계의 특수 스킬을 사용한다. 미아즈마 프리스트의 일부 스킬 중 에이전트가 [극한 지원] 시전 시 지원 포인트를 소모하지 않으며, 짧은 시간 동안 [패링 지원]을 여러 번 시전 시 미아즈마 프리스트가 특수 스턴 상태에 진입한다. 해당 기간 동안 에이전트가 미아즈마 프리스트에게 주는 피해가 증가한다.
배경 정보
뉴에리두에게 공동은 절망적인 재앙이었다. 공동이 확장될 때마다 공포와 죽음, 고통… 모든 절망스러운 것들이 사람들의 이성을 집어삼키고 수많은 사람들의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
재앙의 조짐은 공동 깊숙한 곳의 그림자에서 시작되었지만, 그 안에서 기이한 부름을 들은 이들이 있었고, 그들은 절망 속에서 한 줄기… 희망과 구원을 발견했다.
그때부터 그들은 은밀한 부름에 따라 비밀 조직을 설립했고, 미아즈마 프리스트는 에리두의 그림자 속에 숨어… 길 잃은 자들에게 그분의 축복을 전파했다.
「미아즈마 프리스트」는 공동의 확장이 단순한 천재지변이 아니라고 여겼다. 역대 「프리스트」들은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고, 이를 통해 갈망하던 진리에 도달하고자 했다… 공동 속의 의지는 마침내 현실이 될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희생은 불가피했고, 작은 문제들 또한 필연적으로 발생했다. 공허 사냥꾼의 표적이 되고 여러 조직의 추적을 받았지만, 이 모든 것은 진리로 향하는 길목에서 맞닥뜨린 사소한 곤경에 불과했다.
오랜 노력 끝에 「미아즈마 프리스트」는 마침내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충분한 준비를 갖추어 공동으로부터 그 의지를 세상에 강림시켰다. 「미아즈마 프리스트」의 몸을 휘감고 덮은 미아즈마는 다른 이들에게는 닿을 수조차 없는 침식 물질이었으나, 「미아즈마 프리스트」에겐 눈부시게 타오르는 무기이자 갑옷이 되었다.
이 모든 것이 바로 「미아즈마 프리스트」가 축복받았다는 가장 좋은 증거였다.
「그분의 의지가… 마침내 이 세상에 강림할 것이다」
「너희가 해야 할 일은 아주 간단하다…」
「귀 기울이고, 복종하고, 그리고… 축복을 받아들여라!」
——의식을 거행하는 미아즈마 프리스트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4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Miasma Priest
파일:중국 국기.svg [ruby(秽息, ruby=huìxī)][ruby(司祭, ruby=sījì)]
파일:일본 국기.svg ミアズマの[ruby(司祭, ruby=しさい)]
}}}}}}}}}

시즌 2 제1장의 최종 보스이다.
수시로 위치를 옮기며 짧은 주기의 연속공격을 하기 때문에, 딜링 중 빈틈이 생기거나 해서 한 번 맞으면 HP를 다량으로 잃을 수 있다. 익숙해지지 않으면 보스전 내내 여유가 없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각 패턴은 회피를 해도 좋지만 패링 시 후속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패링 타이밍을 잘 재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패턴이 있는지만 알아도 공략에 문제가 없던 시즌 1의 보스들과 달리, 이 보스는 각 패턴의 부가적인 내용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 일반 패턴
    • 좌우베기 후 원거리 공격. 좌우베기는 1~2회[1] 시전하며, 모든 베기를 연속 패링 시 원거리 공격이 나오지 않고 부위파괴와 5초 경직을 부여한다.
    • 방어 자세. 검을 앞으로 내밀어 가드를 취한다. 검붉은 불빛이 반짝이는 것으로 쉽게 파악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모든 공격의 데미지가 1로 들어가고, 그로기 게이지가 차도 그로기에 진입하지 않는다. 단, 궁극기 데미지는 온전히 들어간다.
    • 웃음소리 후 3연속 베기. 패링 타이밍이 가장 난해한 패턴으로, 1타와 2타의 간격이 매우 짧다. 1타 패링과 동시에 캐릭터 교체를 해야 2타 패링이 성공한다. 3타는 간격이 널널하지만 앞의 1, 2타는 1타 불빛이 반짝이는 것을 보고 캐릭터 교체를 2번 연타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이외에는 단순 베기 동작이므로 평범하게 대처하면 된다.

이 다음 내용은 특수 패턴으로, 일반 패턴을 진행하다가 어느 순간 맵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특수 패턴을 준비한다. 이때 보스 등 뒤에 생기는 4분할 원판의 빛나는 위치[2]를 통해 다가올 패턴을 알 수 있다.
  • 녹색(왼쪽 위)
    문양은 한손검. 1~2회 찌르기 후 베기. 거리가 멀거나 찌르기에서 피격당할 경우 베기 공격은 패링이 불가능하다. 보스전 시작 시 맨 처음 나오는 패턴이다.
  • 노란색(오른쪽 위)
    문양은 원. 보스를 중심으로 넓은 범위에 기 폭발을 일으킨다.
  • 빨간색(왼쪽 아래)
    문양은 불꽃. 보스 전방 일직선으로 3개의 장판이 생긴 후 폭발한다.
  • 보라색(오른쪽 아래)
    문양은 쌍검. 이 보스의 핵심이자 많은 유저들이 어려워하는 패턴. 쌍검을 들고 총 10회의 연속공격을 한다.[3] 1~7타가 쉴 틈 없이 거의 이어진 동작처럼 몰아치고 8, 9, 10타가 널널한 간격으로 날아온다. 각 공격은 모두 패링 가능하고, 7회 이상을 연속으로 패링 시 부위파괴를 발생시킨다. 각 공격마다 불빛이 반짝이고, 패링 시 짧게 타임슬립이 걸리는 걸 이용하면 생각보다 반응이 어렵지 않다. 다만 10회 모두 패링은 조금 익숙해져야 한다.
  • 모든 색
    원판 전체가 빛나며, 4가지 패턴이 모두 나온다. 이 상태에서 보스는 받는 피해 감소, 그로기 면역, 미아즈마 실드, 경직저항 강화를 얻는다. 또한 4가지 패턴에 다음 변경점이 생긴다.
    • 녹색 패턴의 찌르기가 2~3회로 증가.
    • 노란색 패턴의 폭발이 연속 2회로 변경.
    • 빨간색 패턴의 장판이 세 갈래로 확장.
    • 보라색 패턴의 연속공격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각 공격 패링마다 미아즈마 실드를 7~8% 정도만큼 깎을 수 있다. 7연속만 해도 절반을 깎을 수 있으므로 패링을 잘 쳐주면 좋다.


[1] 좌로 한 번 우로 한 번 베는 것이 1회다.[2] 위치별로 색깔과 문양이 있기 때문에 알아보기 쉽다.[3] 이 때는, 지원 포인트를 소모하지 않는다.

2.2. 마리오네트·쌍둥이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마리오네트·쌍둥이.png
마리오네트·쌍둥이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902,261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마리오네트·쌍둥이는 대량의 콤보 스킬을 사용한다. 일부 쌍둥이의 춤 동작 동작 중에 연속으로 여러 차례 [패링 지원]을 사용하면 춤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쌍둥이 중 한 명이 전투 불능이 되면 나머지 한 명이 되살릴 수도 있다.
배경 정보
몇 년 전, 샛별처럼 빛나는 한 쌍의 천재 무용수 자매가 나타났다. 그들은 빠른 속도로 인기를 끌어, 화려한 「발레 빌딩」에서 성대한 단독 공연을 열었다.
그러나 공연이 막바지에 다다른 순간, 갑작스러운 공동 폭발로 인해 발레 빌딩이 공동에 잠기게 되었고, 자매 무용수 또한 어둠 속으로 사라졌다. 수많은 사람이 이 소식을 듣고 탄식을 금치 못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아 있는 영상과 문서 자료에서만 그녀들의 생동감 넘치는 춤을 엿볼 수 있다.
발레 빌딩에 들어가 본 극소수의 레이더만 알고 있는 사실인데, 발레 빌딩에 잊힌 무도곡이 울려 퍼지면 「마리오네트」들의 아득하고 역동적인 그림자가 어김없이 찾아온다고 한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그들이 그때의 쌍둥이 무용수와 모종의 연관이 있어, 어둠 속에서 그녀들을 대신해 당시의 「커튼콜」을 완성하려는 것이라 믿고 있다.
「그 괴상한 음악이 끝나니까 두 마리오네트가 어둠 속에서 모습을 드러내 우리를 향해 인사했어…」
「응? 공연이 시작된다는 뜻인가?」
「아니, 내 생각엔…『도망가고 싶어도 이미 늦었어, 전부 끝났거든』이라는 뜻 같아…」
——<공동 탐방> 251호, 생존한 공동 조사원의 인터뷰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7초
스턴 데미지 비율
200%
관련 업적 커튼콜[4]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Twin Marionett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冥宁芙, ruby=míngníngfú)]・[ruby(双子, ruby=shuāngzǐ)]
파일:일본 국기.svg マリオネット・ツインズ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노토리우스·마리오네트.png
노토리우스·마리오네트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448,105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노토리우스·마리오네트는 파트너 분신을 소환해 공격한다. 해당 파트너 분신이 처치될 때마다 다음번 자신의 그로기 상태 시간이 증가한다.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7초
스턴 데미지 비율
20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otorious - Marionette
파일:중국 국기.svg [ruby(恶名, ruby=èmíng)]・[ruby(冥宁芙, ruby=míngníngfú)]
파일:일본 국기.svg [ruby(要警戒, ruby=ようけいかい)]・マリオネット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보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마리오네트·회색 베일.png
마리오네트·회색 베일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보스
체력
902,261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마리오네트가 점멸로 적에게 접근하고 끝없는 공세를 펼친다.
배경 정보
몇 년 전, 샛별처럼 빛나는 한 쌍의 천재 무용수 자매가 나타났다. 그들은 빠른 속도로 인기를 끌어, 화려한 「발레 빌딩」에서 성대한 단독 공연을 열었다.
그러나 공연이 막바지에 다다른 순간, 갑작스러운 공동 폭발로 인해 발레 빌딩이 공동에 잠기게 되었고, 자매 무용수 또한 어둠 속으로 사라졌다. 수많은 사람이 이 소식을 듣고 탄식을 금치 못했다.
공연 당일, 자매는 시신으로부터 세 번의 「흉조」로 경고받았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자매가 일부 세력의 미움을 샀고, 결국 배후자들에 의해 「공동 재해」를 계기로 제거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른바 「흉조」는 맘씨 좋은 사람의 완곡한 경고였던 것이다. 오늘날 진실을 증명할 방법은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아 있는 영상 자료에서만 여동생 「오데트」의 생동감 넘치는 춤을 엿볼 수 있다.
극소수의 엘리트 레이더만 알고 있는 사실인데, 발레 빌딩에 잊혀진 무도곡이 울려 퍼질 때, 「마리오네트·회색 베일」의 아득하고 역동적인 그림자가 어김없이 찾아온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마리오네트가 그때의 「오데트」와 모종의 연관이 있어, 어둠 속에서 그녀를 대신해 당시의 「커튼콜」을 완성하려는 것이라 믿고 있다.
그렇지만 이번엔 무용수의 우아한 스텝은 사랑과 아름다움이 아닌, 죽음과 절망을 선사한다.
「이 마리오네트가 언니인지 동생인지…」
「아아악! 예술적 소양이 없는 게 아니라, 진짜 구별이 안 된다고!」
——「로프넷」, 어떤 레이더의 게시글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7초
스턴 데미지 비율
200%
관련 업적 커튼콜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Gray Veil Marionett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冥宁芙, ruby=míngníngfú)]・[ruby(灰纱, ruby=huīshā)]
파일:일본 국기.svg マリオネット・グレイベール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보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마리오네트·검은 베일.png
마리오네트·검은 베일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보스
체력
902,261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마리오네트가 점멸로 적에게 접근하고 끝없는 공세를 펼친다.
배경 정보
몇 년 전, 샛별처럼 빛나는 한 쌍의 천재 무용수 자매가 나타났다. 그들은 빠른 속도로 인기를 끌어, 화려한 「발레 빌딩」에서 성대한 단독 공연을 열었다.
그러나 공연이 막바지에 다다른 순간, 갑작스러운 공동 폭발로 인해 발레 빌딩이 공동에 잠기게 되었고, 자매 무용수 또한 어둠 속으로 사라졌다. 수많은 사람이 이 소식을 듣고 탄식을 금치 못했다.
공연 당일, 자매는 「흉조」를 세 차례나 마주쳤다고 한다. 그러나 자매는 무대, 박수와 명예에 눈이 멀어, 사신의 마지막 경고를 무시한 채 공연을 이어 나갔다.
오늘날까지 자매 중 맏이의 남아있는 영상은 많지 않다. 잡지의 흐릿한 사진을 제외하면, 춤추는 「오딜」의 신비롭고 마음을 울리는 자태를 볼 수 있는 방법은 많지 않다.
극소수의 엘리트 레이더만 알고 있는 사실인데, 발레 빌딩의 깨진 스포트라이트가 다시 켜질 때 우아하고 신비로운 「마리오네트·검은 베일」이 그림자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마리오네트가 그때의 「오딜」과 모종의 연관이 있어, 어둠 속에서 그녀를 대신해 당시의 「커튼콜」을 완성하려는 것이라 믿고 있다.
몇 년을 단위로, 「운이 좋아」 그 「커튼콜」을 보게 된 관객들은 평생 잊지 못할 악몽을 선물 받는다고 한다.
「만약 발레 빌딩에서 마리오네트를 보게 된다면, 도망갈 시도는 하지 않는 게 좋아」
「차라리 녀석의 커튼콜 공연을 얌전히 감상하는 게 낫지!」
「최소한 일종의 우아하고 체면 있는 죽음이라고 할 수 있잖아…」
——「로프넷」, 어떤 레이더의 하소연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7초
스턴 데미지 비율
200%
관련 업적 커튼콜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Black Veil Marionette
파일:중국 국기.svg [ruby(冥宁芙, ruby=míngníngfú)]・[ruby(黑纱, ruby=hēishā)]
파일:일본 국기.svg マリオネット・ブラックベール
}}}}}}}}}

시즌1 제3장의 최종 보스이다. 다른 에테리얼의 코어는 대부분 머리에 있는데, 쌍둥이는 특이하게 코어가 허리에 있다.
1.0 버전에서 등장한 주간 보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아 퇴각하였다. 당시 상황이 공동으로 들어가려는 비행선을 막는게 급선무라 퇴각한 쌍둥이를 뒤쫓지 않고 곧바로 옥상으로 달려갔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2인형 보스인데다 전반적인 공격 모션을 보고 원신의 토벌 보스인 「얼음 바람 모음곡」과 유사하다는 의견이 많다. 엔드 콘텐츠에서의 난이도가 상당하다는 점도 유사하다.

정체는 천재 무용수로 불렸던 님프 자매이다. 발레 빌딩의 주인인 발레 형제에 의해 고용되어 빌딩에서 공연을 할 예정이었지만 자매의 무용복이 갑자기 사라지고 건물 내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는 등 공동 재해의 조짐이 보였음에도 이미 파산 위기에 도달해 마지막 기회로 공연에 남은 재산을 쏟아부은 발레 형제는 이를 무시하고 자매를 협박해 공연을 강행했고 결국 자매는 공동에 집어삼켜져 에테리얼 침식체가 되었다.

스토리 보스전 이후 발레 빌딩 근처에서 이 둘의 할아버지에게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물론 할아버지는 자신의 손녀 둘이 에테리얼이 된 건 꿈에도 모르고 있는 채 그저 고통스럽게만 죽지 않았기를 빌며 전부 묻어두다시피 살아가고 있다. 추후 이 할아버지의 의뢰로 자매의 공연이 예정되어있던 공연장에 찾아가게 되는데, 이때 방송실에 남아있던 기록테이프를 발견한다. 그 내용은 무려 공동이 발생하자 두 자매는 오히려 더 안쪽의 방송실로 달려가 공동에 집어삼켜질 때까지 끝없이 경고방송을 했다는 것. 이후 이 테이프를 할아버지에게 전해주는 것으로 퀘스트 마무리.


한 마리를 먼저 해치우면 다른 한 마리가 죽은 동료를 부활시키기 시작한다. 두 몹의 체력 차이를 최대한 좁혀서 동시에 처치하는 것이 관건.
  • 일반 패턴
    • 두 번 발로 차고, 점프 후 째트킥을 시전한다. 패리 가능
    •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공격한다. 기본형과, 치마에 칼날이 나오면서 회전하는 강화형 두 가지가 있다. 패리 가능
    • 한 명이 손을 잡고, 다른 한 명이 빙글빙글 돌면서 공격한다. 마지막에 인사를 하니 피해있다가 딜타임에 집중공격하면 된다. 패리 가능
  • 폭주 패턴 (궁극기이므로 패리 불가)
    • 폭주 패턴을 시작하기 전에 Fairy가 미리 메시지로 예고해주고, 두 마리가 맵 중앙에 모여 빙빙 돌기 시작한다. 일정 체력 이하로 떨어지면 발동하며 이 때는 피해를 줄 수 없어서 회피만 해야 한다. 대개 부활 패턴 없이 한다면 2~3번 발동한다.
    • 패턴 1: 오딜이 오데트를 플레이어 쪽으로 날려보낸다. 자세히 보면 중앙에서 무지개 빛으로 반짝이므로 타이밍에 맞춰 회피하면 된다. 날아간 오데트가 다시 오딜에게 돌아오는 것도 공격 판정이니 조심할 것.
    • 패턴 2: 두 마리가 빙빙 돌면서 탄환을 날린다. 이후 일직선으로 돌진하며 공격을 여러 번 한다. 광역기가 뜨는 범위는 바닥에 옅은 분홍색 선으로 미리 예고해주니 선이 보이면 바로 회피를 누르면 된다. 마지막에 양 옆에 무지개 광선이 나오더니 등장하여 협동공격을 한다. 마찬가지로 공격 전에 무지개 빛으로 반짝이므로 피할 수 있다.
  • 부활 패턴
    • 한 마리가 처치당하면 나머지 하나가 제자리에서 노래를 부르고[5], 쓰러진 개체를 체력 60% 상태로 다시 부활시킨다. 부활이 계속되면서 회복하는 체력은 60%에서 점점 감소한다.
  • 노토리우스·마리오네트 한정 패턴 (패턴 시전 중 패링 불가. 회피만 가능)
    • HP가 75%, 50%, 25%로 떨어지면 사용하는 패턴. 마리오네트가 스테이지 중앙으로 순간 이동 후에 회전 상승하면서, 360도 범위로 방사형 탄환을 날린 후, 분신 마리오네트를 소환하여 플레이어 방향으로 공격하면서 마무리로 본체가 돌진한다. 패턴 시전 시에 마리오네트는 완전 무적이며(HP바가 사라진다), 본체 돌진부터 다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패턴 지속 시간이 생각보다 길고, HP가 일정량 떨어지면 자동으로 발동되는 패턴인데다가 파훼도 안 되기 때문에, 강습전, 격전 시련에서 딜로스 및 매우 강렬한 짜증을 유발한다. 그나마 강습전에서는 분신 처치시에 조작 점수가 들어가기 때문에 조금 낫다.


[4] 부활 패턴을 성공적으로 저지했을 때 달성되는 업적.[5] 이때 그로기 상태로 만들거나, 상태 이상일 때, 혹은 강화 특수 스킬이나 궁극기를 사용하여 적을 경직 시킬 경우 부활을 늦출 수 있다

2.3. 죽음의 도살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죽음의 도살자.png
죽음의 도살자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페이즈)
체력 (2페이즈)
495,460 (70LV)
840,687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죽음의 도살자는 시원시원한 공격 방식을 사용하며, 일정 피해를 받으면 두 번째 페이즈에 진입한다. 두 번째 페이즈에서는 공격이 더욱 광폭해지며, 레이저 공격을 사용한다. 두 번째 페이즈에서 광폭한 연속 공격이 종료된 후, 해당 적에게 헤비급 공격을 사용하면 추가로 스턴을 발동할 수 있다.
배경 정보
다른 고위험 에테리얼과 달리 「죽음의 도살자」는 큰 덩치를 자랑하지만 몸속의 에테르는 저활성 상태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도살자」는 어떤 장애물도 찢어발길 수 있는 강인한 힘을 가지고 있어, 왜곡되고 파괴된 지하철 구역 전체는 관계자 외 출입이 금지된 「주방」이 되어버렸다.
위협성을 띤 타깃이 「죽음의 도살자」의 강렬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순간, 무서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죽음의 도살자」의 몸 안에 누적된 고농도의 에테르가 순식간에 극성화가 되고, 기하급수적으로 치솟는 에너지로 인해 팔다리가 급격하게 변형되어 더욱 잔인하고 탐욕스러운 「식사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것은 「에피타이저」는 이미 끝났으며, 성대한 「연회」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이 「연회상」의 일부가 되고 싶지 않다면, 발을 잘 못 들인 레이더는 가능한 녀석의 「주방」을 멀리하고 신중하게 길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해당 공동은 길이 다소 복잡하지만 딱 하나 확실한 것이 있다. 「놈」이 길의 끝에 나타나는 순간, 그 길은 「저승길」이 된다는 것이다.]
——공동 조사 길드의 「죽음의 공동」에 관한 17번째 조사 기록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관련 업적 말로의 도살자[6]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Dead End Butch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死路, ruby=sǐlù)][ruby(屠夫, ruby=túfū)]
파일:일본 국기.svg デッドエンドブッチャー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갓 태어난 죽음의 도살자.png
갓 태어난 죽음의 도살자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페이즈)
체력 (2페이즈)
495,460 (70LV)
840,687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갓 태어난 죽음의 도살자는 시원시원한 공격 방식을 사용하며, 일정 피해를 받으면 두 번째 페이즈에 진입한다. 두 번째 페이즈에서는 공격이 더욱 광폭해지며, 레이저 공격을 사용한다. 두 번째 페이즈에서 광폭한 연속 공격이 종료된 후, 해당 적에게 헤비급 공격을 사용하면 추가로 스턴을 발동할 수 있다. 갓 태어난 죽음의 도살자는 민첩한 회피로 적의 공격을 피한다.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관련 업적 말로의 도살자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ewborn Dead End Butch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初生, ruby=chūshēng)][ruby(死路, ruby=sǐlù)][ruby(屠夫, ruby=túfū)]
파일:일본 국기.svg [ruby(初生, ruby=しょせい)]のデッドエンドブッチャー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노토리우스·죽음의 도살자.png
노토리우스·죽음의 도살자
진영
에테르 돌연변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116,988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노토리우스·죽음의 도살자는 에테르 에너지를 활용해 다양한 원거리 공격을 펼칠 수 있으며, 자신이 「에테르 강화」 상태에 진입해 공격력을 높일 수 있다. 해당 적을 그로기로 만들면 「에테르 강화」 상태가 종료된다.
배경 정보
「죽음의 도살자」는 큰 덩치를 자랑하지만 다른 고위협 에테리얼과 달리 체내 에테르는 저활성 휴면 상태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의 도살자」는 어떤 장애물도 찢어발길 수 있는 강인한 힘을 가지고 있어, 왜곡되고 파괴된 지하철 구역 전체는 녀석의 「관계자 외 출입 금지 주방」이 되어버린다.
위협성을 띤 타깃이 「죽음의 도살자」의 강렬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순간, 무서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죽음의 도살자」의 몸 안에 누적된 고농도의 에테르가 순식간에 극성화가 되고, 기하급수적으로 치솟는 에너지로 인해 팔다리가 급격하게 변형되어 더욱 잔인하고 탐욕스러운 「식사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것은 「에피타이저」는 이미 끝났으며, 성대한 「잔치」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이 「잔칫상」의 일부가 되고 싶지 않다면, 발을 잘 못 들인 레이더는 가능한 녀석의 「주방」을 멀리하고 신중하게 길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해당 공동은 길이 다소 복잡하지만 딱 하나 확실한 것이 있다. 「놈」이 길의 끝에 나타나는 순간, 그 길은 「저승길」이 된다는 것이다]
——공동 조사 길드의 「죽음의 공동」에 관한 17번째 조사 기록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otorious - Dead End Butch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恶名, ruby=èmíng)]・[ruby(死路, ruby=sǐlù)][ruby(屠夫, ruby=túfū)]
파일:일본 국기.svg [ruby(要警戒, ruby=ようけいかい)]・デッドエンドブッチャー
}}}}}}}}}

튜토리얼격인 시즌1 프롤로그 · 제1장의 최종 보스다. 이 보스 이후 2장부터는 공격 후에 장판이나 연속해서 공격하는 적이 등장하니 이 보스로 회피 연습하기 좋다.


궁극기를 제외한 모든 공격이 패링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공격 속도가 매우 빠르고, 연속적으로 공격을 하는 경우가 많다.
  • 1 페이즈
    • 손의 창을 휘두른다.
    • 손의 창을 두 번 휘두르고 점프하여 내려찍는다. 찍을 때 주위에 폭발피해를 준다.
  • 2 페이즈
    • 페이즈 전환 시 창을 버리고 등에 팔 두 개가 돋아나며 포효한다. 이 페이즈 전환 변신 할 때는 공격이 불가능하다.
    • 등에 돋아난 두 팔로 적을 내리찍는다.
    • 등에 돋아난 두 팔을 휘두른다.
    • 점프하며 내리 찍어서 공격한다.
    • 궁극기(패링 불가): 무지개 빛으로 반짝거리더니 몸통의 에테리얼 코어에서 레이저를 발사한다. 도살자와 일정 거리 안에 있을 때는 시전하지 않으며, 일정 거리 밖에 있으면 무조건 시전한다.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갈 때까지 연사하므로 도살자와 근접하여 있도록 강요받는다.
    • 궁극기(패링 불가): 기를 모으다가 자기 주변으로 범위공격을 시전한다. 주위가 무지개 빛으로 반짝이므로 피해야 하며, 한 번이 아니라 시간차로 두 번 폭발한다.


[6] 죽음의 도살자를 그로기 상태에 빠트리지 않은 채로 격퇴할 시 달성되는 업적.

3. 침식체

3.1. 방황하는 사냥꾼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방황하는 사냥꾼.png
방황하는 사냥꾼
진영
침식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
전투 정보
전투 중, 방황하는 사냥꾼은 매우 높은 방어력을 지니고 있으며, 일부 원거리 스킬로 지면에 [미아즈마 늪]을 생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스킬은 [미아즈마 늪]을 통해 [분리된 칼날]을 생성하여 방해 사격을 가한다. 또한, 방황하는 사냥꾼이 [미아즈마 영역]을 전개하면 모습을 감추고 힘을 축적하며, 플레이어가 [통찰술]로 꿈잡이·루시아를 찾아내면 방황하는 사냥꾼이 모습을 드러내고 기습을 가한다. 이때 [패링 지원]에 성공하면 적의 행동을 중단시키고 부위 파괴 효과를 주어 [미아즈마 실드]를 일부 감소시킨다. 만일 꿈잡이·루시아를 제대로 찾지 못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방황하는 사냥꾼이 강력한 스킬을 시전하며, 해당 스킬은 무적 효과를 무시하고 피해를 입혀 파티의 미아즈마 오염 수치가 최대치에 도달하게 된다.
배경 정보
풍부한 전투 경험을 가진 침식체. 공격과 방어 능력을 겸비했으며, 몸놀림이 민첩하다. 은밀한 곳에 숨어 있다가 타깃의 약점을 노려 가장 효율적인 공격을 시전하는 데 능하다.
더 많은 것을 기록해야 했다. 행동 특성이나, 그림자처럼 함께하는 노랫소리 같은 것들… 하나, 이 정도면 됐다. 여기까지만 기록하자. 루시아의 노트에 있는 그리다 만 그 초상화처럼——

「세어보자, 별 하나. 세어보자, 별 둘. 셋 세면, 모두 숨어야 해」
——방황하는 사냥꾼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고통」받은 조사원들이 집에서 집안일을

하다가 무의식중에 동요를 부르기 시작했다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2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2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Wandering Hunt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彷徨, ruby=fǎnghuáng)][ruby(猎手, ruby=lièshǒu)]
파일:일본 국기.svg ワンダリングハンター
}}}}}}}}}

시즌 2 제 4장의 최종 보스.

불/얼음 약점이지만, 2.3 버전 업데이트로 동시에 추가된 침식체 보스 '헤이토'와 마찬가지로 빙결 면역에 이상 축적치는 물론이고 방어력 수치가 1588(미아즈마 패턴 전개 시 +40%)로 매우 높아 명파 에이전트 이외에는 효율이 떨어진다.

3.2. 「오버로드 침식체·폼페이」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오버로드 침식체·폼페이」.png
「오버로드 침식체·폼페이」
진영
침식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페이즈)
체력 (2페이즈)
549,358 (70LV)
953,456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오버로드 폼페이가 오토바이와 부유포를 이용해 공격하며, 일부 스킬 사이에 패링 지원 공격을 받으면 약점을 드러낸다. 일정 피해를 받으면 두 번째 페이즈에 진입해 오토바이의 뒷바퀴와 장검으로 번갈아 공격하며, 오토바이 뒷바퀴는 에테르 에너지를 축적해 넓은 범위의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배경 정보
외환선의 사람들은 그를 「오버로드 폼페이」라 불렀다.
그리고 지금, 그것의 영혼은 극성 에테르에 의해 부식되었고, 신체는 유황과 중유에 오염되었다. 「외환선을 지키겠다」는 맹세에 뛰던 심장은 무궁한 에너지를 품은 초임계 에테르 코어가 되었다.
과거 「외환선의 공동 주인」은 이제 다른 형태로 다시 태어났다.
자유, 위엄… 폭력, 광기.
그것은 먼지와 연기, 열화 위를 질주하며 주변의 모든 움직이는 물체를 움켜쥐고, 망설임 없이 찢고 부서뜨렸다.
옛 지인은 조각난 그것의 속삭임에서 그것이 얕은 복수를 추구하는 게 아니라, 그저 「외환선의 법칙」에 도전하려는 눈앞의 모든 「이종」을 짓밟으려는 것뿐이라고 추측했다. 어쩌면 이건 과거의 「오버로드 폼페이」에게 남은 마지막 집념일지도 모른다.
「우리의 대장은 『그것』이 됐지만, 그는… 여전히 예전의 그인 것 같다」
——벌벌 떠는 원조 「트라이엄프」의 졸개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2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4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Corrupted Overlord - Pompey
파일:중국 국기.svg 「[ruby(霸主, ruby=bàzhǔ)][ruby(侵蚀体, ruby=qīnshítǐ)]・[ruby(庞培, ruby=pángpéi)]」
파일:일본 국기.svg 「[ruby(覇者, ruby=はしゃ)][ruby(侵蝕体, ruby=しんしょくたい)]・ポンペイ」
}}}}}}}}}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노토리우스·폼페이.png
노토리우스·폼페이
진영
침식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120,556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노토리우스·폼페이의 공격은 지면에 불안정한 에테르 에너지를 남기며 상대가 가까이 오거나 에너지 충전을 시전하면 에테르 에너지가 격렬한 폭발을 일으킨다. 필요시 무기를 들고 가드하여 가드 성공 후 빠르게 반격한다.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2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4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Notorious - Pompey
파일:중국 국기.svg [ruby(恶名, ruby=èmíng)]・[ruby(庞培, ruby=pángpéi)]
파일:일본 국기.svg [ruby(要警戒, ruby=ようけいかい)]・ポンペイ
}}}}}}}}}

트라이엄프 소속이자 외환선의 오버로드 폼페이가 에테르에 급격하게 노출되어 침식체로 변한 것이며, 시즌1 제4장의 최종보스이다. 인간이 에테리얼로 변하는 모습이 인게임 최초로 3D 애니메이션으로 나온다.[7] 변하는 도중 팔다리가 꺾이고 몸에서 에테리얼의 핵이 부풀어오르는 등 묘사가 매우 참혹하다.

1페이즈에서는 바이크를 타면서 플레이어를 공격하고 2페이즈에서는 검과 망치로 빠르게 공격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 1 페이즈
    • 플레이어 주위를 돌다가 정면으로 와서 바이크로 내려찍는다. 이때 움직이는 바이크 앞에 있으면 피해를 입는다.
    • 채찍을 휘두르면서 플레이어 주위로 에테르 레이저를 발사한다.
  • 2 페이즈
    • 페이즈 전환 시 바이크를 땅에다 던져서 범위 피해를 주고 망치와 검을 꺼낸다.
    • 망치로 내려 찍은 뒤 강력한 폭발을 일으킨 후 5연격 공격을 한다. 패링 타이밍이 4번이나 있어 회피를 하거나 패링을 4번 해야한다.
    • 검을 세 번 휘두르고 마지막에 찌르기 공격을 한다.
    • 궁극기(패링 불가): 원형으로 돌아가면서 바닥에 표식을 남기고 넓은 범위의 폭발을 두 번에 걸쳐서 일으키고 플레이어를 향해 도약 후 망치로 내려친다.
오버로드 침식체·폼페이 —— 강적 목격 기록

전반적으로 붕괴3rd브로냐 자이칙/이치의 율자, 일명 "부릉냐"의 필살기인 중장토끼 19C 바이크 모드가 모티브인 듯 보이는데, 부릉냐가 데빌 메이 크라이 5의 오토바이 무기인 "카발리에"의 모션을 도용했다는 비판[8]이 있어서 폼페이도 표절이라는 비난을 받는다.


[7] 그림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건 튜토리얼의 보스인 듀라한. 레드팽 단의 보스 실버가 듀라한이 되는 장면이 그림으로 나온다.[8] 참고 자료: 키아나 마이너 갤러리붕괴3rd 표절 사전이란 게시물에서 27번 움짤이 부릉냐, 26번이 카발리에 콤보 B다.

3.3. 미지의 복합 침식체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미지의 복합 침식체.png
미지의 복합 침식체
진영
침식체
분류
에테리얼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페이즈)
체력 (2페이즈)
594,552 (70LV)
1,123,745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미지의 복합 침식체는 다양한 중장비의 공격 스타일을 혼합해 공격하며, 밀집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그로기 상태일 때 해당 적의 본체를 공격할 수 있으며, 본체에 일정 피해를 주고 부위 파괴 효과를 주면, 한 번에 대량의 피해를 받는다. 그와 동시에 해당 적의 다리 부분에 일정한 피해를 준 후 부위 파괴 효과를 주면, 한 번에 대량의 그로기 수치를 누적할 수 있다.
배경 정보
벨로보그 중공업의 창립자인 「호루스 벨로보그」는 「건설 장비는 힘과 아름다움이 조합된 결과물이며, 모든 세부분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지의 복합 침식체」의 출현으로 기존의 모든 「클래식한 디자인」은 뒤집혔다. 고농도의 에테르 코어에 의해 여러 엔지니어링 부품은 강제로 짜집기되어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과장된 구조로 재탄생했다.
커팅, 해머링, 드릴링, 프레싱까지… 녀석은 거의 모든 시공 기술을 보유했지만, 기존의 표준 규범에서 훨씬 벗어나 거칠고 예측할 수 없는 전투 동작을 구사한다.
더욱이 임계치에 도달한 에테르 코어는 폭발 에너지를 무제한으로 제공하거나 고압 전류를 몸에 두르기도 하며, 지표면을 찢을 만큼 강력한 충격을 주어 주변의 모든 타깃을 쓸어버리기도 한다.
공동 조사 길드는 방위군을 군용 메카, 레이저 무기 심지어 단거리 미사일까지… 모든 정밀한 기계는 「미지의 복합 침식체」에게 삼켜지고, 분해되고, 접합되어 종국에는 침식체에 가장 부합하는 보잘것없는 작은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놈의 「설계 목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파괴력을 갖추고 살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 디자인은 너무 기괴한걸… 흠… 다시 한번 봐야겠어!」
——공동 깊은 곳에서 그레이스가 「미지의 복합 침식체」를 관찰하고 있다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2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2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관련 업적 분쇄성 골절[9]
분해의 전문가[10][11]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Unknown Corruption Complex
파일:중국 국기.svg [ruby(未知, ruby=wèizhī)][ruby(复合, ruby=fùhé)][ruby(侵蚀体, ruby=qīnshítǐ)]
파일:일본 국기.svg [ruby(未確認, ruby=みかくにん)][ruby(複合, ruby=ふくごう)][ruby(侵蝕体, ruby=しんしょくたい)]
}}}}}}}}}

시즌1 제2장의 최종 보스이다. 메인 스토리 제3장 엔딩에서 이름이 밝혀졌는데 새크리파이스[12]라고 한다.

  • 1 페이즈
    • 오른손의 바퀴로 땅바닥을 긁으며 지속적인 피해를 준다. 공격에 맞으면 청의의 기본공격처럼 바퀴 쪽으로 빨려들어간다. 가끔 패링 가능 패턴
    • 오른손을 휘두른다. 패링 불가
    • 왼손의 드릴로 땅바닥을 뚫으면서 드릴 주위로 광역 피해를 준다. 가끔 패링 가능 패턴
    • 왼손을 휘두른다. 패링 불가
    • 다리로 땅바닥을 내리 찍는다. 패링 가능
    • 어깨에서 다연장 미사일이 여러 발 날라온다. 패링 불가
    • 꼬리로 3번 내리 찍는다. 패링 불가
  • 2 페이즈 추가패턴
    • 페이즈 전환 시 꼬리와 팔로 바닥을 긁으면서 포효하면서 약 3초 정도 바닥에 자기장이 깔린다. 이 페이즈 전환 변신 할 때는 공격이 불가능하므로 멀리서 피해있어야 한다.
    • 꼬리의 집게로 돌을 던진다. 패링 불가
    • 꼬리를 휘둘러서 공격한다. 패링 가능
    • 궁극기(패링 불가) : 꼬리에서 플레이어를 추적하는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발사되는 동안 지속 피해를 주며, 레이저가 계속 쫓아오며, 마지막에는 레이저를 쏜 바닥에 폭발 피해를 입힌다. 몸통 쪽으로 들어가면 안 맞는다고 하는데, 생각보다 레이저의 타격판정이 넓어서 안쪽에 있어도 지속 피해를 준다.

니네베 다음으로 제일 큰 몬스터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는 패링인데 일단 대부분 패링이 불가능한데, 패링이 가능하다고 해도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패링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체되는 경우가 허다하다(특히 꼬리를 휘두를 때 할 수 있는 패링). 그리고 양 팔로 공격할 때는 지속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일단 피하지 못하면 경직상태에서 계속 빨려들어가서 빡침을 유발하기도 한다.

다리와 몸통에 부위 파괴가 가능하므로 지속 피해를 주면 부위 파괴를 할 수 있다.


[9] 단일 전투에서 침식체의 부위 파괴를 3회 발동하면 달성되는 업적.[10] 전투에서 부위 파괴를 누적 10회 발동할 시 달성되는 업적.[11] 미지의 복합 침식체가 아닌 다른 부위 파괴 메커니즘이 있는 적에게 효과를 발동해도 달성된다.[12] Sacrifice. 희생을 뜻한다.

4. 특수

4.1. 새크리파이스·브랑그

{{{#!wiki style="margin: -5px -10px; height: 215px; width: 155px;"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배경-노토리우스.png
파일:젠레스 존 제로-적-프로필-새크리파이스·브랑그.png
새크리파이스·브랑그
진영
특수
분류
새크리파이스
등급
노토리우스
체력 (1페이즈)
체력 (2페이즈)
658,937 (70LV)
1,120,556 (70LV)
전투 정보
전투 중, 새크리파이스·브랑그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원거리와 근거리를 결합한 공격을 펼치며 에테르 균열에서 소환한 거대한 소환물로 협동 공격을 가한다. 일정한 피해를 받은 후 2페이즈에 진입하면 헤비급 공격을 시전해 밀집된 탄막을 연속으로 퍼붓는다. 「제물의 칼날」이 차지하는 동안 충분한 피해를 주면 차지를 중단시키고 약점을 노출시킬 수 있다.
배경 정보
황야를 떠돌던 조난자에서 야누스 구역 치안국의 치안관 부책임자가 된 브랑그의 일생은 누군가에게 귀감이 되는 찬란한 스토리인 것 같았다.
그러나 이 스토리의 배후에 숨겨진 아무도 모르는 죄악과 음모는 모양이 없는 어두운 구름처럼 야누스 구역의 상공을 뒤덮고 있었다.
위대한 사업의 최종 계획을 위해, 브랑그는 배후에서 국면을 쥐락펴락하며 음모를 꾸미고, 이를 위해 서슴지 않고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였다…
그리고 계획이 완성되기까지 단 한 걸음 남았을 무렵, 그는 자신에게 새크리파이스 약물을 주사해 실질적인 행동으로 자신의 독실한 신앙을 증명하려 했다.
그 순간, 모든 욕망과 광적인 신념이 뒤틀린 형태로 구현되어 공동에 나타났다.
솟구치는 활성 에테르 에너지, 모든 것을 파괴하는 엄청난 괴력…… 모든 기괴한 신앙과 혼잡한 욕망은 새롭게 탄생한 그 괴이한 몸체에 똬리를 틀었다…
새크리파이스·브랑그——이것은 그의 마지막 신분이자, 그의 가장 완벽한 모습이었다.
「창조주여, 나를 재창조하소서!」
——브랑그, 가슴에서 터져 나오는 외침을 내뱉으며
상세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ZZZ-속성-물리.png 물리 저항
20%
파일:ZZZ-속성-불.png 불 저항
0%
파일:ZZZ-속성-얼음.png 얼음 저항
-20%
파일:ZZZ-속성-전기.png 전기 저항
0%
파일:ZZZ-속성-에테르.png 에테르 저항
0%
그로기 지속 시간
12초
스턴 데미지 비율
150%
관련 업적 누가 「제물」 인가?[13]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 Sacrifice - Bringer
파일:중국 국기.svg [ruby(牲鬼, ruby=shēngguǐ)]・[ruby(布林格, ruby=bùlíngé)]
파일:일본 국기.svg サクリファイス・ブリンガー
}}}}}}}}}

제5장의 최종 보스이자 스토리 시즌1 최종 보스. 모든 계획이 탄로나고 대공동 6과에게 쫓기던 저스틴 브랑그미야비의 요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정체불명의 약물[14]을 스스로 투여하고 변이한 모습이다. 하루마사에게 저격된 후엔 원거리에서 사라에게 또다른 약물을 투여받아 더욱 덩치가 커졌다.

신체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적으로, 거대한 손 위에 또다른 손이 되어 본체가 생성되며, 허공에서 공간을 찢고 요도와 비슷한 검을 휘두른다. 이때의 모션은 원신마가츠 미타케 나루카미노 미코토와 유사하다.

여담으로, 신체의 그 어떤 부분에서도 코어라고 부를 수 있을만한 부분이 없다.[15]


[13] 2페이즈의 요도 패턴에서 피격 당하지 않고 모든 공격을 피하면 달성되는 업적.[14] Elixir P07[15]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에테리얼인 새크리파이스라서 코어가 없는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새크리파이스도 코어는 있다. 스토리 2장의 최종 보스인 미지의 복합 침식체에게 코어가 존재하고, 메인 스토리 시즌 1 에필로그에서 새크리파이스 코어가 주요 사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