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투표: KST 2016년 4월 13일 6시 ~ 18시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 진행 | |||
선거구 획정 (과정) | 주요 이슈 | 여론조사 | 출구조사 | |
개표 | ||||
지역구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비례대표 | ||||
결과 분석 | ||||
<colbgcolor=#f5f5f5,#2d2f34> 정당별 | <colbgcolor=#fff,#1c1d1f>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 · 정의당 | |||
지역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관련 문서 | ||||
제20대 국회 · 제20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 }}}}}} |
부산광역시 제20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영도 | 서·동 | 동래 | ||
김무성 | 유기준 | 김영춘 | 이헌승 | 이진복 | |
남 갑 | 남 을 | ||||
김정훈 | 박재호 | 전재수 | 김도읍 | 하태경 | |
사하 갑 | 사하 을 | 금정 | 연제 | ||
윤준호 | 최인호 | 조경태 | 김세연 | 김해영 | |
수영 | 사상 | 기장 | |||
유재중 | 장제원 | 윤상직 | |||
* 해운대 을 배덕광 사퇴 (2018.1.29.) | |||||
◀ 제19대 제21대 ▶ | }}} }}}}}} |
1. 개요
이 문서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 지역구 선거의 후보자 및 투표 결과를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선거구 순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발표 순서에 따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을 참조하여 작성되었다.2. 후보 및 결과
2.1. 중구·영도구
중구·영도구 부산 중구 일원, 영도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무성(金武星) | 43,447 | 1위 |
[[새누리당|]] | 55.8% | 당선 | |
2 | 김비오(金枇澳) | 31,717 | 2위 |
| 40.74% | 낙선 | |
5 | 이선자(李善子) | 2,68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3,128 | 투표율 51.74% |
투표 수 | 79,231 | ||
무효표 수 | 1,381 |
2.2. 서구·동구
서구·동구 서구 일원[부산서구], 동구 일원[부산동구]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기준(兪奇濬) | 47,577 | 1위 |
[[새누리당|]] | 52.20% | 당선 | |
2 | 이재강(李在康) | 31,724 | 2위 |
| 34.81% | 낙선 | |
5 | 임정석(林正錫) | 11,83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81,730 | 투표율 51.17% |
투표 수 | 92,999 | ||
무효표 수 | 1,86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c9252b><bgcolor=#c9252b> 20대 총선 부산 서구·동구 개표 결과 ||
기장군 선거구가 신설되면서 이번 선거부터 선거구가 조정되었는데 중구·동구 선거구가 분리되어 중구는 영도구와 합쳐 중구·영도구 선거구를 형성하였고 동구는 단일 선거구였던 서구와 합쳐 지금의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었다.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
득표수 (득표율) | 47,577 (52.20%) | 31,724 (34.81%) | 11,833 (12.98%) | + 15,853 (△17.39) | 92,999 (51.17%) |
국회의원 선거 (부산 서구) |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6,115 (51.91%) | 17,706 (35.20%) | 6,478 (12.87%) | + 8,409 (△16.71) | 51,271 (50.84%) |
동대신1동 | 52.46% | 29.83% | 17.71% | △22.63 | 52.31 |
동대신2동 | 50.01% | 32.45% | 17.53% | △17.56 | 50.84 |
동대신3동 | 50.24% | 36.50% | 13.26% | △13.74 | 53.27 |
서대신1동 | 51.0% | 35.08% | 13.92% | △15.92 | 51.71 |
서대신3동 | 51.21% | 35.81% | 12.97% | △15.40 | 54.57 |
서대신4동 | 49.39% | 38.12% | 12.48% | △11.27 | 55.11 |
부민동 | 45.03% | 41.65% | 13.32% | △3.38 | 53.37 |
아미동 | 55.98% | 30.61% | 13.41% | △25.37 | 42.62 |
초장동 | 57.41% | 30.27% | 12.32% | △27.14 | 42.76 |
충무동 | 54.13% | 33.74% | 12.12% | △20.39 | 49.24 |
남부민1동 | 57.89% | 31.02% | 11.09% | △26.87 | 45.83 |
남부민2동 | 55.06% | 33.52% | 11.42% | △21.54 | 45.98 |
암남동 | 55.76% | 33.81% | 10.43% | △21.95 | 45.09 |
국회의원 선거 (부산 동구) |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1,462 (52.55%) | 14,018 (34.32%) | 5,355 (13.11%) | + 7,444 (△18.23) | 41,728 (51.59%) |
초량1동 | 50.0% | 35.32% | 14.68% | △14.68 | 48.11 |
초량2동 | 56.73% | 27.80% | 15.46% | △28.93 | 47.21 |
초량3동 | 47.02% | 39.09% | 13.89% | △7.93 | 48.87 |
초량6동 | 55.75% | 30.42% | 13.83% | △25.33 | 51.03 |
수정1동 | 49.86% | 35.17% | 14.97% | △14.69 | 52.34 |
수정2동 | 55.35% | 32.50% | 12.15% | △22.85 | 51.48 |
수정4동 | 59.73% | 28.68% | 11.58% | △31.05 | 51.16 |
수정5동 | 54.16% | 32.47% | 13.37% | △21.69 | 50.13 |
좌천동 | 51.88% | 34.15% | 13.97% | △17.73 | 52.23 |
범일1동 | 55.94% | 32.35% | 11.71% | △17.59 | 48.46 |
범일2동 | 50.99% | 37.50% | 11.51% | △13.49 | 48.72 |
범일5동 | 57.28% | 30.83% | 11.89% | △26.45 | 49.82 |
후보 | 유기준 | 이재강 | 임정석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1.86% | 24.36% | 13.77% | △37.50 | |
관외사전투표 | 38.15% | 49.92% | 11.93% | ▼11.77 | |
국외부재자투표 | 30.65% | 65.83% | 3.52 | ▼35.18 |
새누리당에서는 현역 유기준 의원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공천을 받았다. 그런데 공천을 받지 못한 임정석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것이 변수가 되었다. 이렇게 보수 후보가 둘로 나뉘었기에 이재강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예상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강 전 지역위원장이 공천을 받았다.
개표 결과, 새누리당 유기준 후보가 민주당 이재강 후보를 누르고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재강도 34.81%를 득표하여 선전했다. 특히 유기준은 서구 서대신4동, 부민동, 동구 초량3동, 수정1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를 받았다.
2.3. 부산진구 갑/을
부산진구 갑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양정1동, 양정2동, 부전1동, 부암1동, 부암3동, 연지동, 초읍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나성린(羅城麟) | 42,853 | 2위 |
[[새누리당|]] | 46.49% | 낙선 | |
2 | 김영춘(金榮春) | 45,706 | 1위 |
| 49.59% | 당선 | |
5 | 오승철(吳昇哲) | 3,61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5,569 | 투표율 56.48% |
투표 수 | 93,510 | ||
무효표 수 | 1,338 |
부산진구 을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가야1동, 가야2동,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전포1동, 전포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헌승(李憲昇) | 39,285 | 1위 |
[[새누리당|]] | 47.61% | 당선 | |
2 | 조영진(曺永珍) | 24,058 | 2위 |
| 29.16% | 낙선 | |
3 | 이덕욱(李德旭) | 14,905 | 3위 |
[[국민의당(2016년)|]] | 18.06% | 낙선 | |
5 | 김재하(金在河)[3] | 4,25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1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0,350 | 투표율 52.15% |
투표 수 | 83,630 | ||
무효표 수 | 1,130 |
2.4. 동래구
동래구 동래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진복(李珍福) | 53,371 | 1위 |
[[새누리당|]] | 42.52% | 당선 | |
2 | 김우룡(金雨龍) | 30,198 | 2위 |
| 24.06% | 낙선 | |
3 | 정상원(鄭相元) | 20,617 | 4위 |
[[국민의당(2016년)|]] | 16.42% | 낙선 | |
5 | 박승환(朴勝煥) | 21,30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9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7,516 | 투표율 55.87% |
투표 수 | 127,111 | ||
무효표 수 | 1,616 |
2.5. 남구 갑/을
남구 갑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정훈(金正薰) | 33,441 | 1위 |
[[새누리당|]] | 51.95% | 당선 | |
2 | 이정환(李正煥) | 30,923 | 2위 |
| 48.0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638 | 투표율 55.08% |
투표 수 | 65,901 | ||
무효표 수 | 1,537 |
남구 을 감만1동, 감만2동, 용당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우암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용교(徐瑢敎) | 30,260 | 2위 |
[[새누리당|]] | 43.45% | 낙선 | |
2 | 박재호(朴在昊) | 33,499 | 1위 |
| 48.11% | 당선 | |
3 | 유정기(劉正基) | 5,871 | 3위 |
[[국민의당(2016년)|]] | 8.4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6,576 | 투표율 60.38% |
투표 수 | 70,384 | ||
무효표 수 | 754 |
2.6. 북구·강서구 갑/을
북구·강서구 갑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민식(朴敏植) | 38,527 | 2위 |
[[새누리당|]] | 44.07% | 낙선 | |
2 | 전재수(田載秀) | 48,887 | 1위 |
| 55.92%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46,182 | 투표율 60.53% |
투표 수 | 88,490 | ||
무효표 수 | 1,076 |
북구·강서구 을 북구 금곡동,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 강서구 일원[4]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도읍(金度邑) | 54,255 | 1위 |
[[새누리당|]] | 49.47% | 당선 | |
2 | 정진우(鄭鎭宇) | 42,352 | 2위 |
| 38.62% | 낙선 | |
3 | 정규룡(丁奎龍) | 13,057 | 3위 |
[[국민의당(2016년)|]] | 11.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1,127 | 투표율 58.05% |
투표 수 | 110,948 | ||
무효표 수 | 1,294 |
2.7. 해운대구 갑/을
해운대구 갑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중2동, 좌1동, 좌2동, 좌3동, 좌4동, 송정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하태경(河泰慶) | 51,197 | 1위 |
[[새누리당|]] | 51.75% | 당선 | |
2 | 유영민(兪英民) | 40,563 | 2위 |
| 41.01% | 낙선 | |
4 | 이병구(李炳九) | 6,307 | 3위 |
[[정의당|]] | 6.37% | 낙선 | |
5 | 문만길(文萬吉) | 846 | 4위 |
| 0.8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85,677 | 투표율 54.34% |
투표 수 | 100,905 | ||
무효표 수 | 1,992 |
[[해운대구 을|{{{#fff {{{+1 해운대구 을}}}}}}]] 반여1동, 반여2동, 반여3동, 반여4동, 반송1동, 반송2동, 재송1동, 재송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덕광(裵德光) | 40,905 | 1위 |
[[새누리당|]] | 49.65% | 당선 | |
2 | 윤준호(尹俊皓) | 30,128 | 2위 |
| 36.57% | 낙선 | |
5 | 최선명(崔宣明) | 11,34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0,777 | 투표율 52.07% |
투표 수 | 83,721 | ||
무효표 수 | 1,339 |
2.8. 사하구 갑/을
사하구 갑 괴정1동, 괴정2동, 괴정3동, 괴정4동, 당리동, 하단1동, 하단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척수(金拓洙) | 31,350 | 2위 |
[[새누리당|]] | 45.41% | 낙선 | |
2 | 최인호(崔仁昊) | 34,080 | 1위 |
| 49.36% | 당선 | |
5 | 전창섭(全昌燮) | 1,08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7% | 낙선 | |
6 | 박경민(朴景旻) | 52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75% | 낙선 | |
7 | 박태원(朴台原) | 1,99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3,247 | 투표율 56.82% |
투표 수 | 70,031 | ||
무효표 수 | 999 |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경태(趙慶泰) | 50,337 | 1위 |
[[새누리당|]] | 59.65% | 당선 | |
2 | 오창석(吳昶錫) | 22,328 | 2위 |
| 26.46% | 낙선 | |
3 | 배관구(裵寬求) | 8,706 | 3위 |
[[국민의당(2016년)|]] | 10.31% | 낙선 | |
4 | 유홍(柳鴻) | 1,436 | 4위 |
[[정의당|]] | 1.70% | 낙선 | |
5 | 안중영(安重榮) | 856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1% | 낙선 | |
6 | 최지웅(崔智雄) | 713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8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6,920 | 투표율 54.36% |
투표 수 | 85,344 | ||
무효표 수 | 968 |
2.9. 금정구
금정구 금정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세연(金世淵) | 65,038 | 1위 |
[[새누리당|]] | 56.58% | 당선 | |
2 | 박종훈(朴鍾勳) | 37,684 | 2위 |
| 32.78% | 낙선 | |
4 | 노창동(盧昌東) | 12,207 | 3위 |
[[정의당|]] | 10.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9,696 | 투표율 55.76% |
투표 수 | 116,936 | ||
무효표 수 | 2,007 |
2.10. 연제구
연제구 연제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희정(金姬廷) | 48,643 | 2위 |
[[새누리당|]] | 48.39% | 낙선 | |
2 | 김해영(金海永) | 51,867 | 1위 |
| 51.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77,058 | 투표율 57.82% |
투표 수 | 102,734 | ||
무효표 수 | 1,864 |
2.11. 수영구
수영구 수영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재중(柳在仲) | 43,202 | 1위 |
[[새누리당|]] | 52.43% | 당선 | |
2 | 김성발(金成發) | 21,212 | 2위 |
| 25.74% | 낙선 | |
3 | 배준현(裵俊炫) | 17,974 | 3위 |
[[국민의당(2016년)|]] | 21.8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4,956 | 투표율 54.00% |
투표 수 | 83,718 | ||
무효표 수 | 1,330 |
2.12. 사상구
사상구 사상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수조(孫受祚) | 30,463 | 3위 |
[[새누리당|]] | 26.61% | 낙선 | |
2 | 배재정(裵在禎) | 41,055 | 2위 |
| 35.87% | 낙선 | |
5 | 장제원(張済元) | 42,924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5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00,808 | 투표율 57.72% |
투표 수 | 115,903 | ||
무효표 수 | 1,461 |
2.13. 기장군
기장군 기장군 일원[5]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상직(尹相直) | 26,371 | 1위 |
[[새누리당|]] | 41.55% | 당선 | |
2 | 조용우(趙龍雨) | 20,843 | 2위 |
| 32.84% | 낙선 | |
4 | 이창우(李昌雨) | 3,505 | 4위 |
[[정의당|]] | 5.52% | 낙선 | |
5 | 박견목(朴堅穆) | 12,74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624 | 투표율 53.78% |
투표 수 | 64,338 | ||
무효표 수 | 877 |
[부산서구] 동대신1동, 동대신2동, 동대신3동, 서대신1동, 서대신3동, 서대신4동,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1동, 남부민2동, 암남동[부산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좌천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5동[3] 민주노총 부산지부장 출신이다.[4]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1동, 명지2동, 가락동, 녹산동, 가덕도동[5] 기장읍, 장안읍, 정관읍, 일광면, 철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