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팩스턴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3년 | → | 2024년 | → | 2025년 |
1. 개요2. 시즌 전3. 정규시즌
3.1. 4월
4. 총평5. 시즌 후3.1.1. 4월 1일: SF전 (홈) [승리]3.1.2. 4월 8일: MIN전 (원정) [승리]3.1.3. 4월 14일: SD전 (홈) [ND]3.1.4. 4월 23일: WSH전 (원정) [ND]3.1.5. 4월 29일: ARI전 (원정) [승리]
3.2. 5월3.2.1. 5월 5일: ATL전 (홈) [승리]3.2.2. 5월 11일: SD전 (원정) [승리]3.2.3. 5월 17일: CIN전 (홈) [ND]3.2.4. 5월 24일: CIN전 (원정) [ND]3.2.5. 5월 29일: NYM전 (원정) [ND]
3.3. 6월3.3.1. 6월 5일: PIT전 (원정) [패배]3.3.2. 6월 11일: TEX전 (홈) [승리]3.3.3. 6월 17일: COL전 (원정) [승리]3.3.4. 6월 24일: CWS전 (원정) [ND]3.3.5. 6월 30일: SF전 (원정) [패배]
3.4. 7월3.4.1. 7월 6일: MIL전 (홈) [ND]3.4.2. 7월 12일: DET전 (원정) [ND]3.4.3. 7월 21일: BOS전 (홈) [승리]3.4.4. 7월 26일: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3.4.5. 7월 30일: SEA전 (홈) [패배]
3.5. 8월3.6. 9월3.7. 정규시즌 성적[clearfix]
1. 개요
제임스 팩스턴의 2024 시즌을 정리한 문서.2. 시즌 전
2월 29일 신시내티와의 시범경기에 선발등판하여 다저스에서의 첫 선을 보였다. 1회말에 연속 안타를 내주며 흔들리며 1실점했지만 그 뒤로는 안정을 찾으며 2이닝 2피안타 4K 1실점으로 등판을 마무리했다.3. 정규시즌
3.1. 4월
3.1.1. 4월 1일: SF전 (홈)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5 | 5 | 4 | 0 | 5 | 0 | 0 | 97 |
3.1.2. 4월 8일: MIN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 | 4 | 3 | 1 | 1 | 2 | 2 | 86 |
3.1.3. 4월 14일: SD전 (홈)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5 | 1 | 3 | 1 | 8 | 3 | 3 | 95 |
3.1.4. 4월 23일: WSH전 (원정)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4⅔ | 1 | 5 | 0 | 3 | 1 | 1 | 89 |
3.1.5. 4월 29일: ARI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5 | 4 | 6 | 0 | 5 | 4 | 4 | 96 |
이날도 제구 난조에 시달리며 볼넷을 5개나 남발하는 답이 없는 피칭을 경기 내내 이어갔고, 5이닝 4실점에 그쳤지만 타선이 폭발한 덕에 벌써 시즌 3승을 챙겼다.
현재까지 K/9 5.26 BB/9 7.71의 가관 수준의 볼삼비를 보여주고 있다. xERA 6.14, FIP 5.57, xFIP 6.20 fwar -0.1의 답없는 세이버 스탯과 상반되게 클래식 스탯은 3승 무패 ERA 3.51을 달리는 중이다.[1] 전체적으로 전 시즌 대비 2마일 가량 하락한 구속과 함께 제구까지 나빠진 영향을 세게 받고 있는 상태인데, 결과적으로 딱 5선발 수준을 기대하고 데려온 만큼의 피칭을 보여주고 있다. 직구의 회전수는 떨어지고 체인지업의 회전수는 올라가는 답도 없는 구위 하락도 심각한 문제. 부상으로 빠지지만 않으면 대충 5이닝만 먹어줘도 자기 할일은 어느 정도 한 것이지만, 피칭 퀄리티가 폐급이기에 부상자들이 복귀하는 후반기엔 불펜으로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
3.2. 5월
3.2.1. 5월 5일: ATL전 (홈)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⅔ | 3 | 5 | 1 | 2 | 1 | 1 | 84 |
3.2.2. 5월 11일: SD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 | 4 | 4 | 0 | 0 | 0 | 0 | 95 |
3.2.3. 5월 17일: CIN전 (홈)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6 | 2 | 7 | 2 | 0 | 3 | 3 | 92 |
3.2.4. 5월 24일: CIN전 (원정)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4⅔ | 4 | 5 | 2 | 4 | 5 | 5 | 95 |
3.2.5. 5월 29일: NYM전 (원정)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3 | 3 | 2 | 0 | 1 | 0 | 0 | 50 |
3.3. 6월
3.3.1. 6월 5일: PIT전 (원정)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패 | 1⅔ | 2 | 6 | 0 | 2 | 7 | 6 | 45 |
3.3.2. 6월 11일: TEX전 (홈)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6 | 2 | 2 | 0 | 2 | 1 | 1 | 87 |
3.3.3. 6월 17일: COL전 (원정)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7 | 8 | 2 | 1 | 1 | 1 | 1 | 91 |
3.3.4. 6월 24일: CWS전 (원정)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5 | 6 | 3 | 0 | 3 | 0 | 0 | 91 |
3.3.5. 6월 30일: SF전 (원정) [패배]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패 | 4 | 4 | 12 | 1 | 2 | 9 | 9 | 89 |
3.4. 7월
3.4.1. 7월 6일: MIL전 (홈)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5 | 3 | 4 | 1 | 2 | 2 | 2 | 83 |
3.4.2. 7월 12일: DET전 (원정) [ND]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ND | 3⅔ | 1 | 5 | 0 | 4 | 3 | 3 | 81 |
3.4.3. 7월 21일: BOS전 (홈) [승리]
<rowcolor=#FFFFFF>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투구수 |
승 | 5 | 7 | 4 | 1 | 4 | 3 | 3 | 95 |
3.4.4. 7월 26일: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
그러나 세부 스탯이 너무나 형편없었고 7월 22일 26인 로스터에 리버 라이언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되었고, DFA가 된지 며칠 뒤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되었다. 팩스턴이 DFA된 배경에는 이미 팩스턴이 이 경기를 기점으로 옵션 조건을 다 충족했고, 마침 레드삭스측에서 다저스 구단에게 접촉해서 팩스턴과의 재결합을 원한다고 밝혀서 트레이드가 성사될 수 있었다고 한다.#3.4.5. 7월 30일: SEA전 (홈) [패배]
3.5. 8월
3.5.1. 8월 5일: KC전 (원정) [승리]
3.5.2. 8월 11일: HOU전 (홈) [ND]
3.6. 9월
9월 11일, 올 시즌이 끝나면 은퇴할 것이라고 밝혔다.3.7. 정규시즌 성적
<rowcolor=#FFFFFF> 일자 | 상대 | 승/패 | 이닝 | 탈삼진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실점 | 자책점 |
4/1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승 | 5 | 5 | 4 | 0 | 5 | 0 | 0 |
4/8 | 미네소타 트윈스 | 승 | 6 | 4 | 3 | 1 | 1 | 2 | 2 |
4/14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ND | 5 | 1 | 3 | 1 | 8 | 3 | 3 |
4/23 | 워싱턴 내셔널스 | ND | 4⅔ | 1 | 5 | 0 | 3 | 1 | 1 |
4/29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승 | 5 | 4 | 6 | 0 | 5 | 4 | 4 |
4월 전체 - 5G 25⅔이닝 3승 0패 ERA 3.51 15K WHIP 1.68 | |||||||||
5/5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승 | 6⅔ | 3 | 5 | 1 | 2 | 1 | 1 |
5/11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승 | 6 | 4 | 4 | 0 | 0 | 0 | 0 |
5/17 | 신시내티 레즈 | ND | 6 | 2 | 7 | 2 | 0 | 3 | 3 |
5/24 | 신시내티 레즈 | ND | 4⅔ | 4 | 5 | 2 | 4 | 5 | 5 |
5/29 | 뉴욕 메츠 | ND | 3 | 3 | 2 | 0 | 1 | 0 | 0 |
5월 전체 - 5G 26⅓이닝 2승 0패 ERA 3.08 16K WHIP 1.10 | |||||||||
6/5 | 피츠버그 파이리츠 | 패 | 1⅔ | 2 | 6 | 0 | 2 | 7 | 6 |
6/11 | 텍사스 레인저스 | 승 | 6 | 2 | 2 | 0 | 2 | 1 | 1 |
6/17 | 콜로라도 로키스 | 승 | 7 | 8 | 2 | 1 | 1 | 1 | 1 |
6/24 | 시카고 화이트삭스 | ND | 5 | 6 | 3 | 0 | 3 | 0 | 0 |
6/30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패 | 4 | 4 | 12 | 1 | 2 | 9 | 9 |
6월 전체 - 5G 23⅔이닝 2승 2패 ERA 6.46 22K WHIP 1.48 | |||||||||
7/6 | 밀워키 브루어스 | ND | 5 | 3 | 4 | 1 | 2 | 2 | 2 |
7/12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ND | 3⅔ | 1 | 5 | 0 | 4 | 3 | 3 |
7/21 | 보스턴 레드삭스 | 승 | 5 | 7 | 4 | 1 | 4 | 3 | 3 |
7/30 | 시애틀 매리너스 | 패 | 4⅓ | 5 | 6 | 1 | 1 | 3 | 3 |
7월 전체 - 4G 18이닝 1승 1패 ERA 5.50 22K WHIP 1.48 | |||||||||
8/5 | 캔자스시티 로열스 | 승 | 6 | 4 | 5 | 0 | 1 | 2 | 2 |
8/11 | 휴스턴 애스트로스 | ND | ⅔ | 0 | 2 | 0 | 0 | 0 | 0 |
8월 전체 - 2G 6⅔이닝 1승 0패 ERA 2.70 4K WHIP 1.20 | |||||||||
시즌 전체 - 21G 100⅓이닝 9승 3패 ERA 4.43 73K WHIP 1.45 |
4. 총평
21경기(18경기 선발) 100⅓이닝 등판해 9승 3패를 기록했지만 ERA 4.43으로 부진했다.5. 시즌 후
시즌 도중에 밝힌 대로 올시즌이 끝난 이후 은퇴하였다.[1] 이 정도 차이가 시즌 말까지 유지된다면 클래식 스탯의 맹점을 찌르는 좋은 예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