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08080><colcolor=#fff> 전옥 全玉 | Jeon Ok | |
본명 | 전덕례 (全德禮) |
출생 | 1911년 4월 2일 |
함경남도 함흥부 | |
사망 | 1969년 10월 22일 (향년 58세)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 |
학력 | 함흥보통학교 (졸업) |
가족 | 동생 전황 배우자 최일 자녀 강효실, 강효제, 강효선 사위 최무룡 외손녀 최현숙, 최예숙, 최연숙 외손자 최민수 |
데뷔 | 1927년 영화 '잘 있거라' |
[clearfix]
1. 개요
한민족 출신 배우이자 가수로, 본명은 전덕례(全德禮). 비극적인 내용의 영화작품에 많이 나왔으며 배우 겸 감독 강홍식의 전 아내이자 강효실과 강효선 남매의 모친, 최무룡의 장모, 최민수의 외조모이기도 하다.2. 생애
1911년 4월 2일 함경북도 함흥군에서 전영술의 8남매 중 둘째이자 장녀로 태어났다. 함흥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영생중학교 2학년 들어 가세가 기울자 부모는 그녀를 결혼시키려 했다. 이에 그녀는 배우가 되려고 극단을 기웃거리다 부모를 설득해가며 오빠 전두옥과 함께 경기도 경성부로 내려갔고, 1927년 나운규 감독으로부터 출연 교섭을 받아 그의 영화작품 <잘 있거라>에서 여주인공으로 출연하면서 은막에 처음 얼굴을 비췄다. 이듬해 <사랑을 찾아서>를 통해 출연하여 관객들의 박수를 전적으로 받았고, <옥녀> 등지의 나운규 작품에 많이 나왔으며 가수로서도 구슬픈 노랫소리로 주목을 많이 받았다.1929년 극단 '토월회'에 입단해 연극배우로 전업하여 박승희가 만든 <아리랑고개>에서 주연을 맡았고, 당시 상대 역이던 강홍식과 결혼하여 강효실과 강효선 남매를 낳기도 했다. 1932년 '태양극단' 창단 후 그쪽으로 옮겨 4년간 몸담다가 1937년 예원좌 창단에도 참여했고, 1941년 라미라가극단을 거치다가 1945년 8.15 광복 후 남해위문대를 '백조가극단'으로 고쳐 전국 순회공연을 했다. 같은 시기 남편 강홍식이 이북으로 돌아가자 최일과 재혼했고, 1950년대 중반 이후 영화계로 돌아갔다. 특히 하한수 감독과 콤비를 이뤄 <눈 나리는 밤>, <자장가>, <목포의 눈물> 등지에 나오며 '눈물의 여왕'으로 불렸다.
1960년에는 종전의 백조악극단을 '백조영화사'로 개편했으나 1962년 영화법 제정 후 문을 닫았고, 1966년 희극배우 이종철과 함께 '연기생활 40주년 기념예능제'를 성대히 열었다. 말년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자택에서 살며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덕송리(현 남양주시 별내동)에서 과수원을 경영했다.
그러나 1969년 10월 22일 오전 8시경 과수원에서 쓰러져 서울특별시를 거쳐 동대문구 전농동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그날 낮 1시에 고혈압으로 숨을 거뒀다.
3. 출연작 목록
3.1. 영화
- 잘 있거라 (1927)
- 낙원을 찾는 무리들 (1927)
- 옥녀 (1927)
- 사랑을 찾아서 (1928)
- 복지만리 (1941)
- 망루의 결사대 (1943) - 황혜옥 역
- 병정님 (1944)
- 애정파도 (1956)
- 항구의 일야 (1957)
- 잃어버린 청춘 (1957) - 주 마담 역
- 목포의 눈물 (1958) - 원작 / 주연
- 화류춘몽 (1958)
- 춘향전 (1958)
- 자장가 (1958) - 원작 / 주연
- 눈 나리는 밤 (1958) - 원작 / 주연
- 눈물 (1958)
- 황혼의 애상 (1959)
- 재생 (1959) - 최씨(봉구의 어머니) 역
- 한말풍운과 민충정공(일명: 혈죽) (1959) - 모당 역
- 결혼조건 (1959)
- 사랑뒤에 오는 사랑 (1959)
- 이름없는 별들 (1959) - 윤씨(상훈의 어머니) 역
- 아름다운 여인 (1959)
- 카츄샤 (1960) - 란실 역
- 이별의 종착역 (1960) - 구씨 역
- 청춘일번가 (1960) - 마담 김 역
- 울지마라 두남매 (1960) - 동리부인 역
- 저 언덕을 넘어서 (1960) - 박씨(어머니) 역
- 버림받은 천사 (1960) - 유모 역
- 연산군(장한사모편) (1962) - 인수대비 역
- 여정만리 (1962) - 한씨 역
- 불러도 대답없는 이름이여 (1962) - 조씨 역
- 십이인의 야도 (1962) - 할멈(손장의 노비) 역
- 모성애 (1962) - 이 여사 역
- 폭군 연산(복수·쾌거편) (1962) - 인수대비 역
- 대심청전 (1962) - 장 승상 부인 역
- 피리불던 모녀고개 (1962) - 백씨 역
- 쾌걸 흑두건 (1962) - 윤씨 역
- 강화도령 (1963) - 복녀의 어머니 역
- 망부석 (1963) - 문숙의 어머니 역
- 사위소동 (1963) - 윤씨 역
- 백년한 (1963) - 조씨(강완의 어머니) 역
- 쌀 (1963) - 석씨 역
- 처와 그 여인 (1963) - 춘란의 어머니 역
- 비내리는 호남선 (1963) - 조씨 역
- 고려장 (1963) - 무당 역
- 율곡과 그 어머니 (1963) - 손씨 역
- 애정삼백년 (1963)
- 묘향비곡 (1963)
- 한양에 온 성춘향 (1963) - 월매 역
- 철종과 복녀 (1963)
- 강짜소동 (1963) - 이 부인 역
- 어떤 정사 (1964) - 조 여사 역
- 울지마라 물새야 (1964) - 김씨 역
- 아스팔트 (1964) - 어머니 역
- 유부녀 (1964) - 민씨 역
- 두고만 보세요 (1964) - 윤씨(명화의 어머니) 역
- 명동에 밤이 오면 (1964) - 정씨 역
- 부부전쟁 (1964) - 노기 역
-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 (1964) - 신정왕후 조씨 역
- 아내는 고백한다 (1964) - 마씨 역
- 죽은 자와 산 자 (1965)
- 갯마을 (1965) - 무녀 역
- 마포사는 황부자 (1965) - 매파 역
- 육체의 문 (1965) - 김 노파 역
- 물레방아 (1966) - 점쟁이 역
- 국제금괴사건 (1966) - 점쟁이 역
- 유정 (1966)
- 백발의 처녀 (1967) - 무당 역
- 산 (1967) - 정옥의 어머니 역
- 나그네 임금 (1967) - 순원왕후 역
- 천도화 (1967) - 모태후 역
- 후취댁 (1969) - 노부인 역
- 특호실 여자손님 (1970) - 안씨(명준의 어머니) 역
3.2. 연극
- 아랑 (1940)[1]
- 다정불심 (1954)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56)
- 고래 (1956)
- 여인천하 (1960) - 노상궁 역
- 철새 (1965)
- 풍운아 나운규 (1965)
- 3천만의 애인 (1966)
3.3. 드라마
- 새야새야 파랑새야 (1964, KBS)
- 바이엘 극장: 누명을 써라 (1965, TBC)
- 형사수첩: 불러도 대답없는 이름 (1966, TBC)
3.4. 음반
- 항구의 일야 (1933, 폴리도르음반회사): 1972년 지구레코드에서 재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