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민성준 VC · 2 김건희 · 5 이명주 C · 6 문지환 · 7 김도혁 VC · 8 신진호 · 9 무고사 · 11 제르소 13 최승구 · 14 최우진 · 15 임형진 · 16 이가람 · 20 델브리지 · 21 백민규 · 24 김민석 · 25 이범수 26 김성민 · 27 김보섭 · 28 민경현 · 32 강도욱 · 33 김현서 · 37 홍시후 · 38 박진홍 · 47 김동민 66 김세훈 · 77 박승호 · # 황성민 · # 김명순 · # 이주용 VC · # 이동률 · # 박경섭 · # 이상현 · # 성힘찬 · # 박호민 |
윤정환{{{#!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인천 유나이티드 FC No. VC | ||
이주용 李周勇 | Lee Ju-yong |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출생 | 1992년 9월 26일 ([age(1992-09-26)]세) | |
경기도 고양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180cm, 78kg | |
포지션 | 레프트백, 윙어 | |
주발 | 왼발 | |
학력 | 낙민초등학교 (졸업) 백마중학교 (졸업) 인천대건고등학교 (전학) 전주영생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체육학 11 / 중퇴) | |
소속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유스 |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8) 전북 현대 모터스 (2009~2010) |
프로 | 전북 현대 모터스 (2014~2022) → 아산 무궁화 FC (2017~2018 / 군 복무) → 인천 유나이티드 FC (2022 / 임대) 제주 유나이티드 FC (2023~2024) 인천 유나이티드 FC (2025~ ) | |
국가대표 | 5경기 (대한민국 / 2015~2020) | |
등번호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3, 13, 22 전북 현대 모터스 - 13, 32 아산 무궁화 FC - 3 인천 유나이티드 FC - 32 제주 유나이티드 FC - 32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2. 클럽 경력
자세한 내용은 이주용(1992)/클럽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2014년 12월 4일, 슈틸리케호의 아시안컵 대비 제주 전지 훈련 명단에 포함되며 생애 첫 태극마크를 달게 되었다. 하지만 김진수, 박주호, 윤석영 등의 유럽파들의 존재로 인해 2014 K리그1 베스트 풀백으로 선정된 홍철도 선발되지 못했고, 이주용 역시 탈락하고 말았다.2015년 6월 UAE와의 평가전, 미얀마와의 월드컵 예선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정식 발탁되었으나 2015 시즌에는 폼이 좀 떨어져서 발탁에 의문을 제기하는 여론이 꽤 있었다. 2015년 6월 11일, UAE와의 친선 경기에서 김진수와 교체 투입되며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15 EAFF 동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발탁되며 국가대표팀 첫 대회에 출전했다. 등번호 13번을 달았고, 홍철과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2차전 한일전과 3차전 북한전에 출전했다. 그리고 대회 우승에 기여하며 첫 대회에서 우승까지 경험했다.
그러나 이후 전북에서 입지가 애매해졌고 기존 김진수, 박주호를 비롯해 홍철, 김민우가 대표팀에서 자리를 잡아가며 이주용은 한동안 선발되지 못했다.
2020년 10월에 열리는 '성인대표팀 vs. U23 올림픽 대표팀' 2연전에 깜짝 선발되며 무려 5년 만에 A대표팀 선발 및 출전했다. 전반 22분 선제골을 기록하면서 자신의 국가대표 통산 첫 득점을 기록하게 되었지만 공식 A매치는 아니었기에 국대 커리어에는 득점과 출전이 기록되지 않는다.
그리고 10월 12일에 열린 2차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안찬기 골키퍼가 걷어낸 공을 발리 슈팅으로 연결해 또다시 득점에 성공했다. 득점을 비롯하여, 돌파, 크로스 여러 방면에서 2연전 동안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었다.
2020년 11월 원정 평가전에서는 처음에는 소집되지 않았으나, 김진수가 사우디에서 오스트리아로 출국하기 직전에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대표팀에 대체 발탁되었다. 거기다 홍철까지 FA컵 결승 2차전에서의 부상으로 하차하는 바람에 풀백이 첫 발탁된 윤종규와 이주용 둘만 남아 사실상 반강제적으로 주전 레프트백으로 뛰었다.두 번의 깜짝 발탁 때문에 벤투 감독이 정발 풀백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축구 팬들에게 확실히 각인시킨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20년, 벤투 감독의 구상에서 이주용은 김진수와 홍철, 이 두 선수 다음의 3순위 레프트백 정도의 위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윤종규, 김진야 등의 신예들이 국가대표팀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정우재나 강상우 같이 국대 가능성이 있는 베테랑 선수들도 많아 언제든지 우선 순위는 바뀔 수 있다.
결국 2020년을 마지막으로 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했다.
4. 플레이 스타일
5. 대회 기록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2014, 2015, 2019, 2020, 2021
- FA컵: 2020
- AFC 챔피언스 리그: 2016
- 아산 무궁화 FC
- K리그2: 2018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EAFF 동아시안컵: 2015
6. 여담
- 등번호 32번을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