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관구 | 서울 · 인천 · 수원 · 의정부 · 춘천 · 원주 · 대전 · 평양† · 함흥† |
대구관구 | 대구 · 부산 · 안동 · 마산 · 청주 |
광주관구 | 광주 · 전주 · 제주 |
교황청 직속 | 군종 · 덕원자치수도원† |
※ 밑줄: 대교구 ※ 위 첨자†: 침묵의 교회 |
<colbgcolor=#1D2088><colcolor=#fff> 천주교 의정부교구 Diocese of Uijeongbu Dioecesis Uiiongbuensis | |
| |
형태 | <colbgcolor=#fff,#1c1d1f>가톨릭 교구 |
전례 | 로마 전례 |
교구 설정 | 2004년 6월 24일 ([age(2004-06-24)]주년) |
국가 |
|
소속관구 | 서울관구 |
관할지역 | 경기도 북부[1] |
주보성인 | 성 김대건 안드레아 |
교구청 소재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 261 (의정부동) |
교구장 |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
총대리 | 이정훈(클레멘스) 신부 |
은퇴 주교 | 이한택 요셉 주교 이기헌 베드로 주교 |
주교좌 | 의정부성당 |
교구 현황 | 주교 3명 사제 243명 본당 87개 공소 4개 신자 330,568명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24 기준) |
|
<colbgcolor=#1D2088><colcolor=#fff><nopad> |
주교좌 의정부성당 |
|
의정부교구청 |
1. 개요
|
‘미사에서 주님을 만난 기쁨으로 서로 친교를 나누고 이웃에게 선교하며 세상에 봉사하는 교회를 향하여’ 2025년 천주교 의정부교구 사목표어 |
총 신자 수는 2018년 12월 기준 309,591명이며, 그 외의 여러 지표는 위 표에 있는 바와 같다.
1.1. 역사
한국 천주교의 모든 교구가 서울대교구에서 분리됐듯이 의정부교구 관할 지역과 사제들도 2004년 상반기까지는 서울대교구 소속이었다. 2004년 6월 24일에 교황청 교령으로 서울대교구에서 분가가 결정됐으며 9월 24일에 의정부교구의 법인이 설립되었다. 당시 소속 성당은 55개였으며, 기존 서울대교구 소속 사제 150명이 의정부교구로 소속을 옮겼다. 그 해 10월 5일에 종교 법인으로 등기되었고 10월 11일에 이한택 요셉 주교가 초대 교구장으로 착좌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서울대교구 관할 황해도는 월경지가 됐다.2010년 5월 4일부로 이한택 주교가 은퇴하고 이기헌 베드로 주교가 착좌하였다.
2010년 8월 12일부터 8월 16일까지(5일간) 한국청년대회(KYD)가 열렸으며 신생교구답지 않게 청년 양성에 가장 힘을 많이 쓰기로 유명하며, 또 최근에 이슈가 된 사회교리에도 역량을 쏟고 있다.
매년 10월 중순에 의정부교구 소속의 인디밴드 공연인 U-Make Project(이하 UMP)가 열리며[2][3] 11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는 청년성가대회인 U-Festival[4]이 참회와속죄의성당에서 열리고 있다. 그러나 참여율의 저조로 인해 2016년 이후로는 성가대회 대신 다른 행사들을 통해 참여율 제고를 꾀하고 있다. 2018년 제7회 U-Festival은 행사 장소도 참회와 속죄의 성당이 아닌 신한대학교에서 열렸다. 현재는 소규모 행사 위주로 진행중이어서 U-Festival은 개최하지 않는다.
또한 2014년을 시작으로 교구 내 순례길인 신앙의 길 성지 개발에도 힘을 쓰고 있다. 매년 4~5월과 9~10월 사이에 두 개 기수의 순례단을 구성하여 1~7구간을 함께 순례한다. 신학생들의 순례에 대한 양성을 위해 매년 1월에 신학생 순례단도 구성하여 실시 중이다. 매년 9~10월에 청년 신앙의 길 역시 진행하고 있다.(코로나19 때문에 2020년과 2021년에는 취소)
2024년 3월 13일,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가 의정부교구 제3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앞선 두 교구장인 이한택 주교, 이기헌 주교와 달리 손 주교는 의정부교구 관할 지역에서 태어난 최초의 의정부교구장이 되었다.
2. 주교단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2088,#1D2088><tablebgcolor=#1D2088,#1D2088>천주교 의정부교구 주교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교구장 주교 | |||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 ||||
| ||||
은퇴 주교 | ||||
이한택 요셉 주교 SJ | 이기헌 베드로 주교 | |||
| | |||
※ 위 목록은 각 주교들의 직책들 중 일부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이 틀에 포함되어야 할 정보가 누락되거나, 직책이 잘못 기재된 것을 발견하면 편집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2.1. 역대 교구장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2088,#1D2088><tablebgcolor=#1D2088,#1D2088>천주교 의정부교구 교구장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
이한택 요셉 (2004~2010) | 이기헌 베드로 (2010~2024) | 손희송 베네딕토 (2024~) | }}}}}}}}} |
순 | 이름 | 임기 | 비고 |
초대 | 이한택 요셉 주교 | 2004년 6월 24일 ~ 2010년 5월 4일 | 국내 최초의 수도회 출신 주교 |
2대 | 이기헌 베드로 주교 | 2010년 5월 4일 ~ 2024년 5월 1일 | |
3대 | 손희송 베네딕토 주교 | 2024년 5월 2일 ~ |
3. 성사전담사제
직책 | 이름 |
원로사목자 | 조원행(야고보) 신부 |
이성만(토마스) 신부 | |
한만옥(토마스) 신부 | |
김현배(프란치스코하비에르) 신부 | |
김영남(다미아노) 신부 | |
서춘배(아우구스티노) 신부 | |
홍승권(대건안드레아) 신부 | |
김남철(바르톨로메오) 신부 | |
조승균(바오로) 신부 | |
여해동(프란치스코살레시오) 신부 | |
윤석주(레오) 신부 | |
유병만(가브리엘) 신부 |
4. 부서
4.1. 총대리
직책 | 이름 |
총대리 | 이정훈(클레멘스) 신부 |
4.1.1. 산하 위원회
직책 | 이름 |
순교자 공경위원회 | 최민호(마르코) 신부 |
정의평화위원회 | 최재영 (세례자요한) 신부 |
4.2. 성직자실
직책 | 이름 |
실장 | 박병주(세례자요한) 신부 |
4.3. 사무처
직책 | 이름 |
처장 | 김효준(레오) 신부 |
4.4. 비서실
직책 | 이름 |
실장 | 이한신(사도요한) 신부 |
4.5. 관리국
직책 | 이름 |
국장 | 이상구(토마스모어) 신부 |
4.6. 홍보국
직책 | 이름 |
국장 | 이종경(비오) 신부 |
4.7. 성소국
직책 | 이름 |
국장 | 권찬길(세례자요한) 신부 |
4.8. 선교사목국
직책 | 이름 |
국장 | 신중호(베드로) 신부 |
신앙교육부담당 | 김형근(세례자요한) 신부 |
노인사목부 담당 | 박규식(암브로시오) 신부 |
병원사목위원회 담당 | 고종향(가롤로) 신부 |
4.9. 청소년사목국
직책 | 이름 |
국장 | 박재범(사도요한) 신부 |
부국장 | 김청렴(도미니코) 신부 |
차장 | 이용호(안드레아) 신부 |
김일현(요셉) 신부 |
4.10. 사회사목국
직책 | 이름 |
국장 | 이정우(도미니코) 신부 |
4.10.1. 사목위원회
직책 | 이름 |
구리 EXODUS | 김상기(요셉) 신부 |
의정부EXODUS | 김영욱(블라시오) 신부 |
파주 EXODUS | 김항수(파스카시오) 신부 |
교정사목위원회 | 이문호(빈첸시오) 신부 |
민족화해위원회 | 남덕희(베드로) 신부[5] |
지역아동사목위원회 | 이학민(안드레아) 신부 |
직장경찰사목위원회 | 홍석정(가시미로) 신부 |
생태환경위원회 | 김승연(프란치스코) 신부 |
5. 지구장
<rowcolor=#FFFFFF> 지구 | 이름 |
1지구 | 김종성(야고보) 신부 |
2지구 | 김동희(모세) 신부 |
3지구 | 이해일(베드로) 신부 |
4지구 | 김영철(베드로) 신부 |
5지구 | 이규섭(스테파노) 신부 |
6지구 | 이은형(티모테오) 신부 |
7지구 | 용하진(실바노) 신부 |
8지구 | 최재영(세례자요한) 신부 |
6. 지구 요양사목
<rowcolor=#FFFFFF> 지구 | 이름 |
1지구 | 양형석(루카) 신부 |
2지구 | 홍기환(베르나르도) 신부 |
3지구 | |
4지구 | |
5지구 | |
6지구 | |
7지구 | 오혁(요한보스코) 신부 |
8지구 | 강승한(세바스티아노) 신부 |
7. 지구 및 관할 성당
<colbgcolor=#1D2088><colcolor=#fff><nopad> | <bgcolor=#fff,#fff> |
천주교 의정부교구 관할구역 |
현재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북한 치하의 미수복 경기도(개성시, 개풍군, 장단군) 역시 의정부교구에서 관할한다.
경기북부 시·군 중 포천시와 가평군은 춘천교구 관할이다. 그런데 가평군은 춘천 생활권이기라도 하지만, 춘천과는 거리가 멀고 심지어 의정부시와 붙어있기까지 한 포천시가 의정부교구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된다.
지구장 신부는 본당 사목을 맡지 않고 지구장 소임에 전념하면서 교구장 주교 의전 사제단 업무도 같이 수행하고 있다. 단, 서울대교구와는 다른 점은 지구장 신부가 지구 중심 본당에 상주한다는 것이다.
7.1. 1지구
지구 중심 본당 |
평내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금곡성당 | 1991년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1015번길 29 (금곡동) | 최상훈(라파엘) | ||
덕소성당 | 1989년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수레로 88-21 (덕소리) | 이범주(사도요한) | 박성호(베드로) | |
마석성당 | 1985년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로 38 (마석우리) | 김형국(요셉) | ||
수동성당 | 2006년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남가로 1482 (운수리) | 라병국(아우구스티노) | ||
진건성당 | 1993년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372번길 23 (용정리) | 이현승(다미아노) | ||
창현성당 | 1996년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수레로 1171-49 (창현리) | 최종환(베드로) | ||
천마성당 | 1999년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먹갓로38번길 7 (묵현리) | 하정호(안드레아) | ||
평내성당 | 1990년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1256번길 17 (평내동) | 류달현(베드로) | ||
호평동성당 | 2000년 | 경기도 남양주시 늘을1로73번길 27 (호평동) | 김우성(비오) | 양종석(베다) |
7.2. 2지구
지구 중심 본당 |
지금동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갈매동성당 | 2018년 | 경기도 구리시 산마루로 76 (갈매동) | 김익호(욥) | ||
광릉성당 | 2009년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해밀예당3로 146 (금곡리) | 안창길(레오) | 이승룡(이냐시오) | |
구리성당 | 1974년 | 경기도 구리시 안골로64번길 42 (수택동) | 최성우(세례자요한) | 강석현(라파엘) | |
다산성당 | 2020년 | 경기도 남양주시 미금로 91 (다산동) | 김유철(요한보스코) | ||
별내성당 | 2013년 | 경기도 남양주시 송산로 121 (별내동) | 김동훈(미카엘) | 차풍(요한드라살) | |
오남성당 | 2002년 |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진건오남로808번길 20-28 (양지리)[건립중] | 박민우(마태오) | ||
인창동성당 | 1997년 | 경기도 구리시 건원대로99번길 80-11 (인창동) | 신기배(사도요한) | 류동열(펠릭스) | |
지금동성당 | 1995년 |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476번길 28 (다산동) | 송영준(비오) | 장원제(안드레아) | 김규봉(가브리엘) |
진접성당 | 1995년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천로 58 (장현리) | 강태현(안드레아) | ||
토평동성당 | 2001년 | 경기도 구리시 벌말로128번길 40 (토평동) | 왕태언(요셉) | ||
퇴계원성당 | 1987년 |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로59번길 35 (퇴계원리) | 장세훈(시몬) |
7.3. 3지구
지구 중심 본당 |
호원동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고산동성당 | 2024년 | 경기도 의정부시 잔돌길 30 (산곡동) | 안성남(안드레아) | ||
녹양동성당 | 1992년 | 경기도 의정부시 비우로 99 (녹양동) | 성세현(바르톨로메오) | ||
민락동성당 | 2018년 |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351번길 7 (낙양동) | 이상진(바오로) | ||
송산성당 | 2003년 | 경기도 의정부시 부용로219번길 29 (용현동) | 정택찬(마르티노) | ||
송추성당 | 2010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 477-31 (교현리)[건립중]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가마골로 270 (부곡리)[황사영순교순례지] | 김연상(비오) | ||
신곡1동성당 | 1998년 | 경기도 의정부시 동일로506번길 26 (신곡동) | 김도현(요셉) | 최건봉(바오로) | |
신곡2동성당 | 1997년 | 경기도 의정부시 금신로296번길 61 (신곡동) | 이현섭(안사노) | 이동현(베드로) | |
용현동성당 | 1996년 |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21번길 23 (용현동) | 전형석(루카) | ||
의정부1동성당 | 1980년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로135번길 30 (의정부동) | 고민수(루카) | ||
의정부주교좌성당 | 1945년 | 경기도 의정부시 신흥로265번길 27 (의정부동) | 이석재(바오로) | 오정석(라이문도) | 최대환(세례자요한) |
청학성당 | 2002년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로68번길 67 (청학리) | 윤관영(시몬) | ||
호원동성당 | 1996년 | 경기도 의정부시 호암로 167 (호원동) | 성준한(바르나바) | 김승찬(미카엘) | 배경민(베드로) |
7.4. 4지구
지구 중심 본당 |
덕정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고읍동성당 | 2009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로 56 (고읍동) | 정원식(요셉) | ||
광적성당 | 2005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65번길 122 (광석리) | 정종희(필립보) | ||
덕계동성당 | 2011년 | 경기도 양주시 덕계서안길 7 (덕계동) | 김시용(베드로) | ||
덕정성당 | 1997년 |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457-17 (고암동) | 최중복(베드로줄리앙) | 백병훈(요셉) | |
동두천성당 | 1959년 | 경기도 동두천시 동광로 64 (생연동) | 이종원(바오로) | ||
상리성당 | 2004년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상리로34번길 19-1 (상리) | 최종운(토마스) | ||
송내동성당 | 2008년 | 경기도 동두천시 중앙로33번길 12 (송내동) | 정호영(요셉) | ||
신암리성당 | 2008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감악산로489번길 27-32 (신암리) | 허영민(세례자요한) | ||
양주2동성당 | 2003년 |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58번길 258-5 (삼숭동) | 홍상범(다니엘) | ||
양주백석성당 | 2002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고릉말로 127-34 (오산리) | 신기훈(그레고리오) | ||
연천성당 | 1992년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308번길 19 (현가리) | 장광훈(안드레아) | ||
옥정성당 | 2020년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로8길 28 (옥정동) | 김민우(클레멘스) | ||
전곡성당 | 1979년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평화로673번길 5 (은대리) | 금기종(안드레아) |
7.5. 5지구
지구 중심 본당 |
화정동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고양동성당 | 1994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푸른마을로 36 (고양동) | 강동진(알로이시오) | ||
관산동성당 | 2009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통일로966번길 38 (관산동) | 나인구(스테파노) | ||
능곡성당 | 1982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로78번길 7-14 (토당동) | 김학수(비오) | ||
도래울성당 | 2015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도래울3로 10 (도내동) | 강명호(마르코) | ||
신원동성당 | 2014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원1로 89 (신원동) | 김여명(토마스아퀴나스) | ||
원당성당 | 1988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대로1369번길 68 (성사동) | 박성욱(엘리야) | 박재형(도미니코) | |
원흥동성당 | 2017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1로 46-20 (원흥동) | 정재웅(마티아) | ||
지축동요한성당 | 2010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로221번길 5-7 (지축동) | 조병길(이시도로) | ||
행신1동성당 | 1997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중앙로472번길 68 (행신동) | 김부섭(실베스텔) | ||
행신2동성당 | 1997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현로5번길 40 (행신동) | 김용석(아우구스티노) | 정석현(베드로) | |
행주성당 | 2004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144번길 50 (행주외동) | 홍유선(임마누엘) | ||
향동성당 | 2021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기5로 88 (향동동) | 박명기(다미아노) | ||
화전마을성당 | 2008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중앙로78번안길 88 (화전동) | 조문혁(안드레아) | ||
화정동성당 | 1996년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신로260번길 10 (화정동) | 김성길(마르티노) | 소현준(루엘리노) | 최인혁(비오) |
7.6. 6지구
지구 중심 본당 |
백석동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마두동성당 | 2001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254 (마두동) | 상지종(베르나르도) | 김주헌(토마) | 원재현(프란치스코살레시오) |
백석동성당 | 1994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강석로 25 (백석동) | 이재화(안셀모) | 정영빈(가브리엘) | 김재근(대철베드로) |
식사동성당 | 2010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위시티로 153 (식사동) | 문형균(클라로) | 김문식(마티아) | |
정발산성당 | 2000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419 (정발산동) | 조해인(바오로) | 김혁빈(안드레아) | |
중산성당 | 2001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162 (중산동) | 남궁경(알베르토) | 이민혁(마태오) | 김승범(사도요한) |
풍동성당 | 2006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숲속마을로 49-69 (풍동) | 김동수(야고보노엘) | 함현호(다니엘) |
7.7. 7지구
지구 중심 본당 |
일산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가좌동성당 | 2005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송포로391번길 10 (가좌동) | 염동국(루카) | ||
대화동성당 | 1997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성저로 58 (대화동) | 정현준(요한크리소스토모) | 이용권(안드레아) | |
대화마을성당 | 2004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1로 12-14 (대화동) | 강신모(프란치스코) | 김오석(라이문도) | |
일산성당 | 1958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원일로 57 (일산동) | 김경모(야고보) | 백종하(바오로) | 이승익(아우구스티노) |
주엽동성당 | 1995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48 (주엽동) | 조성호(라우렌시오) | 김지수(아우구스티노) | 김인석(시메온) |
탄현동성당 | 2000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로 119-11 (탄현동) | 임용훈(티모테오) | 김민준(빈첸시오아바오로) | |
후곡성당 | 2001년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로 592 (일산동) | 김준영(미카엘) | 이재현(도미니코사비오) |
7.8. 8지구
지구 중심 본당 |
교하성당 |
본당명 | 설립년도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갈곡리성당 | 2018년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화합로466번길 25 (갈곡리) | 김영석(베드로) | ||
광탄성당 | 2009년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심궁로 76-38 (신산리) | 한종운(시몬) | ||
교하성당 | 2009년 | 경기도 파주시 책향기숲길 62 (동패동) | 도현우(안토니오) | 맹제영(로마노) | |
금촌2동성당 | 2005년 | 경기도 파주시 한마음1길 12 (금촌동) | 이재원(율리오) | ||
금촌성당 | 1978년 | 경기도 파주시 금정28길 13-17 (금촌동) | 김경민(레오) | ||
다율동성당 | 2022년 | 경기도 파주시 범벅들길 89 (다율동) | 이동섭(가브리엘) | ||
목동동성당 | 2020년 | 경기도 파주시 교하로159번길 52 (목동동) | 서근수(비오) | 오재우(미카엘) | |
문산성당 | 1973년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향로67번길 38 (문산리) | 조지훈(힐라리오) | ||
법원리성당 | 1963년 |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사임당로 872-2 (법원리) | 안종찬(나보르) | ||
봉일천성당 | 1999년 |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송비말길 79-5 (봉일천리) | 유경재(요셉) | ||
야당맑은연못성당 | 2010년 | 경기도 파주시 동서대로 696-27 (야당동) | 김민철(안드레아) | 김영훈(히지노) | |
운정성당 | 2004년 | 경기도 파주시 운정벌판길 72 (상지석동) | 이영재(요셉) | ||
적성성당 | 1996년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칠중5길 18-5 (구읍리) | 조주환(알베르토) | ||
참회와속죄의성당 | 2014년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로 111 (성동리) | 하정용(요셉) | 오근(다니엘) |
8. 미사 있는 성지
본당명 | 주소 | 전담신부 | 부주임신부 | 협력신부 |
마재성지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 698-44 (능내리) | 지정태(요한보스코) | ||
양주성지 | 경기도 양주시 부흥로1399번길 62 (유양동) | 최민호(마르코) | ||
황사영순교순례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가마골로 270 (부곡리) | 민형기(안셀모) |
9. 미사 있는 공소
공소명 | 관할 본당명 | 주소 | 담당 신부 |
대광리공소 | 상리성당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연신로 1186 (대광리) | |
백학공소 | 적성성당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백두2길 2 (두일리) | |
장파공소 | 적성성당 |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장마루로 270 (장파리) | |
주내공소 | 법원리성당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파발로 33-31 (파주리) |
10. 교포사목
본당명 | 주소 | 주임신부 | 부주임신부 |
대련한인성당 | 大连市 西岗区 西安街 31号 | 강주석(베드로) |
11. 기관 및 단체
11.1. 동북아평화연구소
주소 | 소장신부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로 111 (성동리) | 이은형(티모테오)[9] |
11.2. 민족화해센터
주소 | 센터장신부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로 111 (성동리) | 남덕희(베드로) |
11.3. 사목연구소
직책 | 이름 |
소장 | 강한수(가롤로) 신부 |
11.4. 대건카리타스
직책 | 이름 |
회장 | 이정우(도미니코) 신부 |
11.5. 신앙교육원
직책 | 이름 |
원장 | 이승엽(미카엘) 신부 |
부원장 | 김승훈(가브리엘) 신부 |
11.6. 한마음청소년수련원
주소 | 원장신부 | 부원장신부 |
경기도 양주시 버들로 147-142 (어둔동) | 노경득(블라시오) | 김현균(야고보) |
12. 사제 양성
교구 신학교를 따로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에 위탁하여 양성하고 있다.==# 연혁 #==
- 1945년 12월: 의정부성당 신설
- 1958년 6월 25일: 일산성당 신설
- 1959년 5월 24일: 동두천성당 신설
- 1974년 5월 9일: 구리성당 신설
- 1979년 6월 17일: 전곡성당 신설
- 1980년 9월 20일: 의정부1동성당 신설
- 1980년: 의정부성당에서 의정부2동성당으로 명칭변경
- 1985년 2월 25일: 마석성당 신설
- 1987년 2월 6일: 퇴계원성당 신설
- 1989년 2월 4일: 덕소성당 신설
- 1990월 8월 22일: 평내성당 신설
- 1991년 5월 19일: 금곡성당 신설
- 1992년 9월 24일: 녹양동성당, 연천성당 신설
- 1993년 10월 18일: 진건성당 신설
- 1995년 3월 3일: 진접성당 신설
- 1995년 3월 4일: 주엽동성당 신설
- 1995년 9월 6일: 지금동성당 신설
- 1996년 2월 23일: 용현동성당 신설
- 1996년 9월 24일: 창현성당, 호원동성당 신설
- 1997년 9월 26일: 신곡2동성당 신설
- 1997년 10월 10일: 덕정성당 신설
- 1998년 9월 25일: 신곡1동성당 신설
- 1999년 2월 18일: 천마성당 신설
- 1999년 9월 7일: 인창동성당 신설
- 2000년 12월 28일: 호평동성당 신설
- 2001년 10월 5일: 토평동성당 신설
- 2002년 9월 19일: 청학성당, 양주백석성당 신설
- 2002년 11월 20일: 오남성당 신설
- 2003년 9월 4일: 송산성당, 양주2동성당 신설
- 2003년 9월 16일: 상리성당 신설
- 2004년 2월 19일: 운정성당 신설
- 2004년 6월 24일: 교황청 교령으로 서울대교구에서 분가
- 2004년 9월 24일: 법인 설립 (55개 성당)
- 2004년: 의정부2동성당 - 주교좌 의정부성당 으로 명칭변경,
- 2004년 9월 9일: 경기북부지구, 경기동부지구, 경기서부지구 (3개지구)
- 2004년 10월 5일: 종교법인 등기
- 2004년 10월 11일: 초대교구장 이한택 요셉 주교 착좌
- 2004년 10월 11일: 지구장 신설 1지구(남양주시, 구리시) ,3지구(의정부시) , 4지구(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5지구(고양시 덕양구, 일산동구) , 6지구(고양시 일산서구, 파주시)
- 2005년 4월 2일: 하늘의 문(납골당) 축복식
- 2005년 4월 10일: 갈곡리공소 성전건립 50주년 기념 미사
- 2005년 5월 26일: 가좌동, 금촌2동성당 신설
- 2005년 6월 5일: 지구장 분리 1지구(남양주시 대부분), 2지구(남양주시 일부, 구리시) 3지구(의정부시, 양주시 양주1동 대부분, 장흥면(송추), 남양주시 별내면), 4지구(동두천시, 연천군 대부분 ,양주시 대부분), 5지구(고양시 덕양구, 고양시 일산동구 일부(벽제), 양주시 장흥면(일영)), 6지구(고양시 일산동구), 7지구(고양 일산서구), 8지구(파주시, 연천군 장남면, 백학면)
- 2005년 7월 14일: 소아암 환아 돕기 콘서트
- 2005년 11월 24일: 광적 성당 신설
- 2005년 11월 24일: 동두천성당과 송내동성당이 동두천성당으로 잠정 통합
- 2005년 12월 5일: 이사응 안토니오 신부 은퇴 미사[10]
- 2006년 8월 31일: 풍동성당 신설
- 2006년 11월 16일: 수동성당 신설
- 2007년 9월 11일: 순교자공경위원회 신설
- 2008년 8월 28일: 화전마을성당 신설
- 2008년 9월 9일: 의정부교구 청년성서모임 신설
- 2008년 9월 12일: 신암리 준본당 신설
- 2008년 10월 13일: 제4회 연천 성당 국화축제
- 2008년 11월 20일: 갈곡리(칠울) 강당 축복식
- 2008년 11월 26일: 중산성당 성전봉헌 미사
- 2009년 9월 8일: 광릉, 고읍동, 관산동, 광탄, 교하 성당 신설, 송내동성당이 동두천성당에서 재분리
- 2009년 10월 10일: 제5회 연천성당 국화축제
- 2009년 10월 25일: 제2회 구리시 다문화 축제 "아내의 나라, 엄마의 나라"
- 2010년 3월 15일: 의정부교구 군종후원회
- 2010년 4월 26일: 초대교구장 이한택 요셉 주교 퇴임 감사미사
- 2010년 5월 4일: 제2대 이기헌 베드로 주교 착좌
- 2010년 8월 12~16일: 제2회 한국청년대회(KYD) 의정부교구 개최
- 2010년 9월 28일: 성직자실 신설
- 2010년 9월 28일: 지구장 본당 지정(1지구: 덕소, 2지구: 지금동, 3지구: 신곡1동, 4지구: 덕정, 5지구: 화정동, 6지구: 백석동, 7지구: 일산, 8지구: 금촌)
- 2010년 9월 28일: 식사동, 야당맑은연못, 지축동요한성당 신설
- 2010년 9월 28일: 송추공소에서 송추준본당으로 승격
- 2010년 10월 8일: 제6회 연천 성당 국화축제
- 2011년 6월 8일: 한반도 평화기원 미사
- 2011년 7월 1일: 여성긴급전화 1366 경기북부센터 개소
- 2011년 8월 29일: 의정부교구 사회교리학교 개설
- 2011년 9월 2일: 제1회 U-festival
- 2011년 9월 6일: 덕계동성당 신설
- 2011년 10월 7일: 제7회 연천성당 국화축제
- 2011년 10월 11일: 의정부교구 이주민축제
- 2012년 2월 16일: 교구청사 신축 기공식
- 2012년 2월 21일: 마재성지성당 신설
- 2012년 2월 21일: 정의평화위원회 신설
- 2012년 3월 18일: 호원동성당 성전봉헌식
- 2012년 4월 16일: 제2기 의정부교구 사회교리학교 (4/16~7/16)
- 2012년 8월 25일: 고읍동성당 성전봉헌식
- 2012년 9월 4일: 이주사목 특성화 본당 지정(1지구: 천마, 2지구: 구리, 진접, 토평동 3지구: 녹양동 4지구: 광적, 동두천, 8지구: 금촌, 봉일천)
- 2012년 9월 24일: 제2회 U-Festival
- 2012년 10월 12일: 한반도 평화통일 기원의 밤(평화통일기원 묵주기도 7,000만단 봉헌)
- 2012년 11월 9일: 교구청사 축복식
- 2013년 2월 6일: 의정부교구 법원 임시 개소 - 사법대리, 부사법대리 임명
- 2013년 8월 22일: 별내성당 신설, 신암리준본당 - 신암리본당으로 승격
- 2014년 9월 4일: 신원동성당, 참회와속죄의성당 신설
- 2015년 8월 27일: 도래울성당 신설
- 2017년 8월 25일: 원흥동성당 신설
- 2018년 8월 24일: 갈매동성당, 민락동성당 신설
- 2019년: 갈곡리공소 - 갈곡리성당으로 승격
- 2020년 2월 6일: 다산, 목동동, 옥정성당 신설
- 2021년 2월 4일: 향동동성당 신설
- 2022년 2월 8일: 당하동성당 신설
13. 여담
- 특이하게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있는데도, 한국 천주교에서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을 지닌 성직자들이 가장 많은 교구로 알려져 있다. 서울대교구에서 분리될 때 의정부교구에서 사목할 사제인력을 자원 형식으로 받았는데, 이때 이른바 북방·통일선교에 뜻을 두었던 사제들이 다수 지원했던 연혁적 이유 때문인 듯하다.
- 타 교구와는 달리 의정부교구에는 보좌신부가 없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나 천주교 부산교구처럼 부주임신부가 있으나, 보좌신부 기간이 끝나고 주임신부로 가기 전에 거치는 서울대교구, 수원교구, 부산교구와는 달리 의정부교구에서는 부주임신부를 보좌신부라고 보면 된다.
- 위에서 언급한대로 보좌신부가 없는 대신 주임신부와 부주임신부의 중간급인 '협력사목신부'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협력사목이 신설될 당시 주임신부를 지냈던 신부들 사이에서 말이 많았으나 이 체제가 정착되면서 비판이 사그러들었다.
* 한번 본당 주임신부를 하면 특수사목이나 협력사목을 해야 다시 주임신부를 할 수 있다.
* 의정부교구는 투명한 재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고 특히 미사예물은 전액 교구로 보낸 후 관리국에서 체계적으로 분배한다.
* 손희송 주교 부임 후 인사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