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5:09:11

의정부 버스 9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downlo22adfile-4.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의정부시 일반시내버스 9번
기점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동(민락동차고지) 종점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녹양현대아파트)
종점행 첫차 05:05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30 막차 23:15
평일배차 15~45분 주말배차 15~45분
운수사명 명진여객 인가대수 4대
노선 민락동차고지 - 용암마을16단지 - 송양초교 - 의정부이마트 - 산들마을4단지 - 민락중 - 산들마을1단지 - 송현고 - 송산주공2.5단지 - 송산주공1.9단지 - 효자초교 - 경기도청북부청사 - 신곡중학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중앙초교 - 가능역(1번 출구) - 의정부여고 - 신촌교차로 - 의정부고.법원.검찰청 - 녹양현대아파트

2. 개요

명진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3. 역사

  • 1기 노선은 범골[1][2]과 구.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수요 부족으로 인해 2002년 폐선되었다.
  • 2기 노선은 2012년 5월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아래와 같다.
  • 이후 2013년 3월 14일에 '녹양현대아파트 - 남방동 - 한마음수련원입구 - 산성마을 - 복지리 - 동화옥시즌, 세아1차아파트 - 백석공단 - 서광아파트 - 가업리 - 홍죽리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또한, 의정부역, 시장 경유와 홈플러스, 천보중, 찌게거리, 녹양중~빙상장 구간 미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가스충전 문제는 1-1번에서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차량을 가져와 해결했다.
  • 홍죽리 연장된 후 오히려 수요가 줄었는지 2013년 8월, 민락2지구로 연장 및 23번과 동일한 민락동~신터미널 경로로 변경되었고, 의정부역은 안가게 되었다. 대신 다시 찌게거리를 경유한다. 기존 디젤차는 다시 1-1번으로 반환됐다. 그리고 경기운수 출신 가스차량들이 투입되었다.
  • 홍죽리 구간이 단축되고, 서광아파트 회차로 바뀌었다. (시기 미상)
  • 10-1번이 수요가 증가하면서, 9번의 대형차량과 10-1번의 중형차량을 맞교환했다.
  • 2014년(?)부터 통학시간때에 15분 간격으로 집중배차 운행한다. 단, 통학시간 지난 직후 앞차와의 간격이 30~40분 정도 벌어진다.
  • 2014년 11월에 녹양 현대아파트로 단축되었고 신곡중학교 경유로 바뀌었다.
  • 2015년 1월 10일에 폐선되었고, 동시에 8-1번(2기 노선)이 신설되었다.

4. 특징

  • 신설 당시 9번 노선은 당시 2번과 성모병원~의정부 시내 구간이 동일해 수요가 꽤나 있었다. 특히 홈플러스와 금오동 수요. 뿐만 아니라 평일에 의고, 의여고 셔틀버스, 주말에 빙상장 셔틀버스를 방불케 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로인해 2번 수요가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2번은 감차 되었고 이때부터 2번이 하락세를 타기 시작한다.
  • 2012년 추석이후로 2대 감차되어 기존 15~20분 배차 간격에서 45분간격으로 매우 늘었다. 당시 수요가 2번을 위협할 만큼 많았는데 2번을 살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감차시킨 것이다.
  • 2013년 3월, 홍죽리 노선연장 이후, 수요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주 수요구간인 금오지구, 홈플러스를 더 이상 경유하지 않을 뿐더라 가능역~홍죽리는 8번이 독점 했기 때문. 사실상 8번 보조 노선.
  • 2013년 8월, 민락2지구 연장이후 수요가 어느 정도 늘었다. 특히 노선의 80%가 23-1번과 겹쳐 통학수요로도 어느정도 있었고 23번도 민락동~신터미널 구간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간수요도 있었다. 다만 시간이 갈수록 감차.
  • 아침에 집중배차를 진행하면서 23-1번을 견제하였다. 당시 통학시간 대 두 노선의 경쟁은 치열했다.
  • 가업리에서 녹양동으로 단축은 사실상 통학수요로만 매진 하겠다는 의미와 다를게 없다. 신곡중학교 경유로 변경한 것도 이와 마찬가지.

5.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이다.
[1] 호원2동에 위치한 자연부락 중 하나다.[2] 이곳이 정확히 지금의 범골역인지,아님 범골입구,상우고 정류장인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