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6:41:17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893>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사
슬로베니아/역사, 크로아티아/역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역사, 세르비아/역사, 코소보, 몬테네그로/역사, 북마케도니아/역사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주요 사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티토-스탈린 결렬, 유고슬라비아 전쟁(크로아티아 독립전쟁, 슬로베니아 독립전쟁, 보스니아 전쟁, 코소보 전쟁)
외교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기타
범슬라브주의, 남슬라브, 슬라브족이여, 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

남유럽의 통화
파일:유럽중앙은행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유로
(스페인 페세타, 포르투갈 에스쿠도, 이탈리아 리라, 그리스 드라크마)
(슬로베니아 톨라르, 몰타 리라, 키프로스 파운드, 크로아티아 쿠나)
(바티칸, 산마리노, 안도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유로(비협약)
(몬테네그로, 코소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불가리아 레프 루마니아 레우 세르비아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태환 마르카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알바니아 레크 튀르키예 리라 지브롤터 파운드파일:영국 원형.png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통화 변천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영토 및 지역 1918 ~ 1919 1920 ~ 1940 1941 ~ 1943 1944 ~ 1991 1992 1994 1995 ~ 1997 1998 ~ 1999 2000 ~ 2001 2002 2003 ~ 2006 2007~2022 2023
마케도니아
(남부 세르비아)
세르비아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KJ 디나르)
불가리아 레프(동부)
알바니아 레크(서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기 ~ 3기)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 세르비아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4기 ~ 7기 1차)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2차)
세르비아 디나르
코소보 알바니아 레크 독일 마르크 유로 유로 유로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페르페르 이탈리아 리라
슬로베니아 유고슬라비아 크로네 독일 제국마르크 슬로베니아 톨라르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쿠나 크로아티아 디나르 크로아티아 쿠나
크라이나 크라이나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 태환 마르카
스릅스카 스릅스카 디나르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7기 1차)
}}}



1. 소개2. 언어별 명칭3. 역사
3.1. KJ 디나르 (1918 ~ 1941)3.2. 1기 (1944 ~ 1966)3.3. 2기 (1966 ~ 1990)3.4. 3기 (1990 ~ 1992)3.5. 4기 (1992 ~ 1993)3.6. 5기 (1993 ~ 1993)3.7. 6기 (1994)3.8. 7기 1차 (1994 ~ 1999)3.9. 7기 2차 (최종, 2000 ~ 2003)

1. 소개

과거 유고슬라비아에서 사용된 통화로 약칭은 유고 디나르. 보조단위로 파라(Para, пара)[1]가 있긴 한데 사용된 시기는 그다지 길지 않다. 기호는 앞에서 3글자를 따와 사용했다.

ISO 4217 코드는 YUD를 시작으로 YUN, YUR, YUO, YUG를 거쳐 최종적으로 YUM이었다.

보유하고 있어도 유고슬라비아 디나르가 사용되었던 국가에서는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에서 전환 기한 시절 또는 짧은 시절의 유로화 전환 기간이 끝났기 때문에 모든 국가에서는 전환은 불가능하며 휴지조각에 불과하다.

2. 언어별 명칭

3. 역사

3.1. KJ 디나르 (1918 ~ 1941)

Kraljevina Jugoslavija 혹은 Краљевина Југославија.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 사용하던 통화이다. 정식 유고 디나르라고 치기에는 왕국 형태가 건재하던 시기인지라 예외로 치는 경향이 있다. 전신인 유고슬라비아 크로네와의 교환비는 4 : 1이었다.

환율은 56.4디나르/USD(1931년), 44디나르/USD(1933년)의 고정환. 외국인에게는 별도로 250디나르/GBP(대략 120디나르/USD, 통상의 3배수준)를 책정하는 이중환율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3.2. 1기 (1944 ~ 1966)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갈갈이 찢어졌던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코소보 외 찌그레기까지 뭉쳐 만들어진 첫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선보인 통화다. 그래서 별칭은 연방 디나르. 중간에 두 번 가량 체제가 바뀌긴 했지만(연방 인민 공화국,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통화 자체는 건재했다. 50디나르/USD의 고정환을 지정하긴 하였으나 별로 오래가지는 못했다. 전신들과의 교환비는 20세르비아 디나르 = 40크로아티아 쿠나 = 1연방 디나르.

3.3. 2기 (1966 ~ 1990)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 좀처럼 물가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흔들리다보니[2] 거래단위가 커져져서 100:1의 개혁을 한 번 거쳤는데, 그래서 이 시기의 디나르를 빡센 고정(Hard) 디나르라 부르고 있다.

하지만 물가가 잡히기는 커녕 오일쇼크가 겹치며 물가상승률은 연 20~30%대를 찍었고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제3세계를 강타한 외채위기와 고질적인 통화량 증가가 이어졌고 또한 1985년경에 물가통제조치를 해체한 이후로 물가가 미칠듯이 오르기 시작하며 각 지역별로 민족주의 세력들이 발흥하기 시작했으며[3] 더욱 더 인플레에 가속도가 붙어서 후반기에 들어서는 "고정"이라는 단어가 거의 무색하게 되고 말았다.

도중(1973년)에 ISO 4217 코드가 만들어져 부여받았는데, YUD이다.

3.4. 3기 (1990 ~ 1992)

ISO 4217 코드는 YUN. 구권과의 교환비는 10,000 : 1이었다. 3기와 4기를 통합하여 꼴랑 2년간 발행했다.

당초에 물가를 잡을려고 발행했지만[4] 그 취지가 무색하게 민족주의 세력들이 잇따라 집권하기 시작하면서 다시 가치가 폭락하기 시작했다. 내전까지 처지면서 내수시장이 완전히 마비되어 물가가 폭등했기 때문이었다. 10디나르부터 10,000,000,000디나르까지 등장할 정도로 막장행보를 걸었다. 지금이야 검은 대륙의 위엄때문에 묻혔지만, 원조는 라이히스마르크펭괴[5], 그리고 경제정책의 실패로 인해 붕괴된 사례는 이 디나르화가 대표로 꼽혔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8.jpg 10дин 소녀 문자와 숫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1.jpg 50дин 소년 장미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9.jpg 100дин 아줌마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3.jpg 500дин 아저씨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4.jpg 1,0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코일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305.jpg 5,000дин 이보 안드리치 메흐메드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

3.5. 4기 (1992 ~ 199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디나르, 크로아티아 디나르, 마케도니아 데나르, 슬로베니아 톨라르, 스릅스카 디나르, 크라이나 디나르로 붕괴한 후 등장한 시리즈로, 3기에서 이어진다.

ISO 4217 코드는 YUR, 별칭은 개정 디나르로 구권과의 교환비는 꼴랑 10 : 1이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00.jpg 100дин 아줌마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0401.jpg 500дин 아저씨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0402.jpg 1,0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코일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0403.jpg 5,000дин 이보 안드리치 메흐메드 파샤 소콜로비치 다리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0404.jpg 10,000дин 소녀 문자와 숫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0405.jpg 50,000дин 소년 장미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07.jpg 100,000дин 아줌마 해바라기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08.jpg 500,000дин 아저씨 코파오니크 스키장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09.jpg 1,000,000дин 소년 붓꽃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0.jpg 5,000,0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코일
수력발전소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1.jpg 10,000,000дин 이보 안드리치 국립 도서관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2.jpg 50,000,000дин 소녀 베오그라드 대학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3.jpg 100,000,000дин 아저씨 세르비아 과학예술아카데미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4.jpg 500,000,000дин 아줌마 베오그라드 대학교 농학부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5.jpg 1,000,000,000дин 소녀 연방 의사당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416.jpg 10,000,000,0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코일

3.6. 5기 (1993 ~ 1993)

위 연도 표기는 절대 오류가 아니다. 정확하게 1993년 10월 1일부터 동년도 12월 31일까지 발행했으니까.(...)

ISO 4217 코드는 YUO, 구권과의 교환비는 100만 : 1이다. 그런데도 검은 대륙의 위엄 이전까지 유명세를 떨치던 "실제로 "0"이 가장 많이 박혀있는 지폐"[6]가 발행되는 기염을 토한 시리즈이다. 사실 도리어 2007~8년경에 그 나라가 과연 이 기록을 깰 수 있을까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었을 정도였으니, 말 다했다. 이 시리즈가 조금 독특한 면이 있는데, 거의 대부분 5단위 지폐만 발행했다는 사실이다. 1만 디나르만 제외하고 전부 5단위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00.jpg 5,0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박물관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02.jpg 10,000дин 부크 카라지치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11.jpg 50,000дин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 체티네 수도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12.jpg 500,000дин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호포보 수도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13.jpg 5,000,000дин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07.jpg 50,000,000дин 미하일로 푸핀 전화교환국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14.jpg 500,000,000дин 요반 츠비이치 베오그라드 대학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08.jpg 5,000,000,000дин 듀라 야크시치 브라즈체브스니자 수도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09.jpg 50,000,000,000дин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대저택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510.jpg 500,000,000,000дин 요반 요바노비치 즈마지 국립 도서관

3.7. 6기 (1994)

이것도 오류가 아니다. 기간도 5기 보다 더 짧아서 고작 22일간 유통되었다. 구권과의 교환비는 아예 10억 : 1로 화끈하게 잡았다.

ISO 4217 코드는 YUG. 그러나 하이퍼인플레는 여전히 잡히지 않은채 계속 최악의 기록적인 가치폭락이 이어졌고, 결국 정부는 자국화폐를 반쯤 포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0.jpg 10дин 요시프 판치치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2.jpg 100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박물관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3.jpg 1,000дин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 체티네 수도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4.jpg 5,000дин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호포보 수도원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5.jpg 50,000дин 카라조르제 페트로비치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6.jpg 100,000дин 미하일로 푸핀 전화교환국
파일:attachment/유고슬라비아 디나르/yugo607.jpg 500,000дин 요반 츠비이치 베오그라드 대학교
  • 10만 디나르권은 실제로 시중에 풀리지는 않았다.
  • 1,000만 디나르권도 있는데 93년판에 1994년이라고 도장찍어서 발행했었다. 이렇게까지 하지 않으면 안 될것 같았기 때문.

3.8. 7기 1차 (1994 ~ 1999)

새로운 디나르(Novi Dinar)라는 별칭을 가진 시리즈로, ISO 4217 코드는 YUM.

이 시리즈는 평범한 개혁과는 달리 아예 고정환을 외환(독일 마르크)으로 묶어놓는 방식을 사용하여 통화가 줄줄 새어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버리는데 주력하였다. 덕분에 통화부족으로 한동안 난리 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하이퍼인플레를 방어하는데는 성공한 시리즈가 되었다. 쉽게 표현하자면 온라인 게임 속에서 흔히 말하는 "골드" 대신에 "캐쉬"를 화폐로 삼은 셈. 일단 7기 디나르는 마르크와 1:1 페그를 설정해놓았기 때문에 환율값이 곧 구권과의 교환비가 되어 구 1300만 디나르 = 신 1 디나르가 되었다.

또 기존에 본인들만의 화폐를 사용했던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도 1994년 협정을 맺어 해당 시리즈를 가져다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이후 각각 1995년, 1998년부로 크로아티아 쿠나태환 마르카로 교체되었다.
1994 ~ 1999 앞면 뒷면
파일:Novi Dinar-2.jpg 5дин 니콜라 테슬라 테슬라 박물관
파일:Novi Dinar-3.jpg 10дин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네고시 체티녜 수도원
파일:Novi Dinar-4.jpg 20дин 듀라 야크시치 브라즈체프스니자 수도원
파일:Novi Dinar-5.jpg 50дин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저택
파일:Novi Dinar-6.jpg 100дин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호포보 수도원
파일:Novi Dinar-7.jpg 200дин 스테판 모크라냐크 그랜드 피아노
  • 200디나르권은 실제로 시중에 풀리지는 않았다.

3.9. 7기 2차 (최종, 2000 ~ 2003)

세르비아 디나르와 거의 동일한데, 사실상 선행판인 셈. 단 이때는 500디나르와 2,000디나르가 없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코소보몬테네그로를 반 강제로 사용가능권역에 포함하고 있어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을 써왔지만, 정작 실질적인 사용자는 세르비아 혼자였었다(...)[7]

결국 2003년 유고슬라비아가 완전히 붕괴되어 세르비아 디나르 3기로 이어진다.


[1] 튀르키예어로 돈(Money)이라는 의미가 있는데, 오스만 리라에서 파생한 것으로 발칸반도에 오스만 세력이 들어와 있었던 증거이기도 했다.[2] 거의 연 15~25% 수준의 인플레이션율을 보였다.[3]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세르비아 공산당 서기장 자리에 오른 뒤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이름을 날리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였다.[4] 이를 위해서 임금과 공공요금 동결, 고정환율제를 시행했다. 일단 준비를 단단히 하고 발행한 화폐라는 것. 물론 물가를 잡는데 초점을 마출려고보니까 상당수 기업들이 파산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5] 둘 다 세계대전 피해로 인한 붕괴.[6] 5천억 디나르[7] 몬테네그로는 1999년 말에 이미 등을 돌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