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커의 면모가 강화된 전함 트리다. 내구성이 높고 장갑효율이 높으며 부포가 우수하다. 재장전이 다른 전함에 비해 빠르고[2] 대공은 별로 좋지 않다. 기동성 면에선 최고 속도는 높지만 가감속이 썩 좋지는 않다. 독일 전함의 돌격전함 컨셉이 저격전 위주인 블리츠의 메타에 맞지 않다. 블리츠 유저의 7할 정도는 어그로분산을 전혀 신경 안 쓰고 저격만 하기 때문에 돌격전함 플레이를 하면 다굴을 맞고 순식간에 침몰한다. 난이도가 꽤 높은 트리다.
독일 전함의 특성상 크기가 거대하고 근접전에 강하지만 사거리가 짧아 맵이 넓은 pc판에서는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블리츠 버전에서는 맵이 작아지면서 밀집된 화력이 상대팀 선두에 집중되기 때문에 독일 전함이 또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블리츠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전함트리다. 6티어와 8티어 외에는 동티어에서 약체로 꼽히는데다 운용법이 어렵고, 아군 플레이어와 합을 맞춰 독일 전함 특유의 운용을 해주어야 제 빛을 발하기에 전대의 의존도가 높은 전함. 여러 가지 이유로 숙련된 플레이어는 독일 전함보다는 더 높은 성능을 쉽게 이끌어내는 일본 전함이나 미국 전함 또는 프랑스 전함을 주로 플레이하고, 미숙한 플레이어들이 독일 전함으로 최후방에서 저격만 하거나 생각 없이 돌격하는 그림이 자주 나오기 때문에 이미지가 안 좋다.
터틀백이라 전티어보다 더 튼튼하다. 전티어 카이저의 단점인 좋지 못한 주포배치를 극복했고, 튼튼해진 장갑 덕에 5티어 전함들의 주력 함포인 14인치 주포도 잘 견뎌낸다. 주포는 12인치 10문으로 쓸만한 편이다. 또 대공이 좋은 편이다. 그러나 저티어에서 방공이 좋아 봤자 고티어 방공함들마냥 함재기를 지워버리는 수준은 아니니 너무 들이대지는 말자.
갑자기 포가 12인치에서 15인치 8문으로 훌쩍 뛰어올랐다. 6티어중 가장 강력한 주포 화력을 자랑하고 있다. 다만 그 대가로 주포 회전속도는 동티어 전함들보다 조금 느린 편이다. 월드 오브 워쉽의 바이에른 B헐 선체를 그대로 가져왔기에 디자인이 실제와는 완전 딴판인 도이칠란트급 장갑함 뤼초의 선체와 바이에른급 전함의 함포를 합쳐놓은 듯한 혼종의 모습을 하고 있다.
주포는 15인치 2연장 3개, 총 6문을 보유하고 있다. 주포가 아주 안 맞는 편은 아니지만, 안 그래도 포문 적은 독일 전함중 독보적으로 적어서 항상 적은 포문이 발목을 잡는다. 그리하여 그나마 좀 더 빠른 주포 장전속도란 한 줌 이점을 가지고 거리를 좁혀 부포와 어뢰를 적극 활용하는 운용법이 강제되는데, 그나마 부포는 독일 전함답게 티어 대비 상당히 우수하고, 한쪽당 3발의 어뢰로 근접전 화력을 보강할 수 있다.
선체는 독일 전함답게 터틀백이라 튼튼하고, 방뢰가 높아 어뢰에 비교적 강하다. 다만 슬슬 7티어부턴 고관통 15인치나 16인치 거포가 튀어나오기 시작하고, 운 나쁘면 8티어의 화력도 견뎌야 하는 7티어 특성상 대놓고 탱킹하기엔 아직 무리가 있는 편.
기동성은 직빨에 올인한 타입. 거듭된 버프로 가감속이 티어 대비 평타는 치는 수준까지 올라왔고, 최고 속도는 30노트 초반대로 높지만 선회가 느리고 길쭉한 선체 탓에 적 구축함이나 뇌격기의 공격 방향을 미리 예측하는 심리전이 필요하다.
총평하자면 낮은 주포 화력을 부포와 어뢰로 보충해야 하는 전함이다. 거듭된 버프로 근접만 하면 부포와 어뢰 난사로 8티어 전함도 능히 잡아낼 수 있으나 공방 특성상 독일 전함 돌격에 호응해주는 아군은 보기 힘드므로 붙기 전에 두들겨맞고 가라앉을 가능성이 높아 그 상황을 만들기가 힘들다. 전대 플레이에서 좀 더 빛을 보는 편.
이래저래 타기 쉽지 않은 그나이제나우를 뚫고 올라온 독일 전함 함장들을 위한 선물, 비스마르크이다.
주포는 전티어에서 2문 늘어나 8문을 보유하고 있다. 독일답게 철갑탄이 우수해 맞춘다면 딜량은 그럭저럭 나오지만, 샷건 집탄덕에 최고 사거리에서 쏘면 3발 맞추면 다행인 수준. 정밀조준 스킬을 잘 활용하고 중근거리 교전으로 적을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부포는 거의 6티어 순양함급 화력을 뿜어내는 수준으로 꽂아놨다. 수동 부포는 부포 주제에 철갑탄을 쓰는데다 부포 강화 장비를 껴주면 사거리도 엄청 길어진다. 해저에서 돌아오다 위장을 끼면 사거리가 8km를 넘게 된다. 상대방 전함과 근접전으로 돌입 시 8km의 우월한 사거리와 함께 상갑판이나 선수 선미를 집중적으로 때려주면서 들어가면 상당한 도움이 된다. 게다가 구경이 6인치급이라 구축 상대로도 과관통이 아닌 관통 판정이 난다. 자동 부포 역시 5km 대의 넉넉한 사거리를 자랑하며, 부포 과부하 스킬 등의 버프 이후 비스마르크의 근접전 성능은 9티어 전함이라도 큰 피해를 강요당할 정도로 위협적인 수준까지 올라왔다.
내구도는 역시나 독일 전함답게 튼튼하다. 약 5만 정도의 넉넉한 체력과 우수한 어뢰 방호를 지녔다.
기동성은 좋다는 말은 못 들어도 보통은 간다. 거듭된 버프로 가감속 성능이 좋아져 예전처럼 최고 속도 뽑는 데까지 20초씩 걸리는 추태는 볼 수 없으며, 30노트 근처까지는 가는 최고 속도와 나쁘지 않은 선회력을 갖고 있다.
총평하자면 중근거리 난타전에서 강한 탱커이다. 사거리가 길고 강력한 부포, 소나/정밀 조준/부포 과부하 등 각종 소모품을 잘 살린다면 더욱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6월에 신규 10티어 전함이 출시될 것이라고 하여 6월에 pc에서의 18인치 8문을 장착한 프로이센으로 교체되고 그로서 쿠어퓌르스트는 프리미엄 함선으로 변경될 것으로 보였으나, 5.2패치를 통해 그로서 쿠어퓌르스트가 18인치 연장포 8문으로 변경되었다. [3] 초창기에는 PC버전 그로서 쿠어퓌르스트의 420mm 3연장 주포탑 4기, 12문을 장착하지 않고 타국 함선들보다 빈약한 화력인 420mm 주포 8문을 탑재하고 있었으며 사거리도 짧았기에 10탑방 최약체라는 오명을 가졌지만, 지속적인 상향과 5.2패치를 통한 주포 변경으로 더 이상 약체가 아니게 되었다.
일단 주포성능은 기존 420mm(16.5인치)에서 457mm(18인치)로 구경이 커져 딜을 넣는데 있어 주포의 비중이 전에 비해 커졌다. 집중 방호구역 피해율도 전의 250%에서 300%로 올랐기에 독일 철갑탄 특유의 강력한 성능과 맞물려 시타델 타격 시 6000에 가까운 높은 데미지를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재장전 시간이 구경 대비 매우 빠른 19.5초라서 빠른 재장전을 보유하지 않은 전함들을 상대로 우세를 점할 수 있다. 다만 독일 전함의 약점인 낮은 명중률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기에 탄이 많이 분산된다는 느낌이 없지는 않으며 9티어 프리드리히 데 그로세부터 나빠진 후방포탑의 발사각도 그대로라 모든 포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체를 크게 틀어야 하기에 피격면적이 넓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거리는 원래 14.25km, 역사위장 장착시 14.82km라는 크렘린과 같아서 콜롬보 등과 함께 티어 내 하위권의 사거리였으나, 주포 변경과 함께 사정거리도 0.2km 연장되어 최대 15.02km의 사거리를 갖게 되어 그런 대로 숨통이 트이게 되었다.
부포는 주포 못지않게 강력하다. 철갑탄을 쓰는 150mm 연장 부포탑은 2기가 줄어 4문이 감소했으나 고폭탄을 사용하는 128mm 연장부포탑이 자동부포로 한쪽측면에 5기, 총 10기가 달려 있어 여타 군함들과 1대 1로 교전을 벌이면 미친듯이 날아오는 자동 부포 덕에 적 군함에 불 붙이는 게 수월하다. 여기에 주포와 철갑탄 부포를 같이 쏴주면 약한 장갑의 군함이 쉽게 걸레짝이 되어버리기 십상이다.
선체는 모든 배를 통틀어서 최강. 어뢰방호는 야마토에 비해 좋지는 않지만, 10티어 전함 최고의 내구도와 터틀백이 적용되어 있어 시타델 방호에 유리하며 장갑효율 24%, 집중방호구역 보호 25%의 매우 좋은 장갑효율로 철갑탄에 대한 내탄성이 매우 뛰어나다. 다만 화재 내성은 약해 불이 나버리면 버틸 수가 없게 되어버리고, 10티어 전함 중 두 번째로 큰 피탐지[4] 때문에 어그로가 심해 금세 눈에 띄어 두들겨맞기가 쉽다.
4.4 패치 이전에는 38.06초라는 느려터진 가감속을 가지고 있었으나. 패치 이후 32.28로 상당히 개선된 가감속을 가지게 되었다. 가감속 이큅을 장착할 경우 꽤나 빠른 가감속으로 전장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기동성은 최대 28.7노트의 빠른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가감속이 개선된 이후로는 좀 더 기동전을 하기 수월해진 편.
대공은 10티어 전함 중에서 최악의 수준. 야마토보다도 구린 대공능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선체도 매우 커서 항모에게 사랑을 받기 쉬운 전함 중 하나이다. 항모가 있는 방에 매칭이 된다면 절대로 혼자 돌아다니지 말고 아군 대공함이나 전투기의 지원을 받으며 이동하자.
스킬셋으로는 정밀 조준 I × 3, 소나 II × 3, 부포 과부하[5] I × 2를 가지고 있다. 교전 시에 정밀 조준과 부포 과부하를 통해 화력을 상승시켜주고, 소나의 주 목적이 어뢰 탐지라는 점을 이용해 구축함이 눈에 보인다면 소나를 켜 어뢰가 자신에게 오는지 수시로 확인해주자.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최신형 독일 순양전함으로, 적층식 포탑에 설치된 305mm 주포로 무장되어 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33,376
10%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2%
12%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25.84knot
17.73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40도/초
11.73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305mm L/50 SK C/08
4×2
21초
11.38km
4.50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672
8%
-
철갑탄
1,176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45 SK L/45
12×1
8.20초
5.94km
8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36
2%
-
철갑탄
504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88mm L/45 Flak
8×1
4.50초
4.62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168
1%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81
3km
소구경 대공포
34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8.88km
13.26km
정규 전함들이 너도나도 14인치를 들고 오는 시점에서, 12인치로 살아남긴 상당히 버겁다. 부포 과부하를 주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부포의 포각과 DPM이 좋지 않아 제대로 써먹지 못하는 것이 현실. 거기에 기동력은 더 저하된데다 포탑 회전도 아직은 느려터졌으니 빠르게 마켄젠으로 넘어가자.
1차 세계대전에 당시 건조된 순양전함이다. 이전 군함과 비교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350mm 주포로 전환하여 향상된 화력이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38,525
10%
1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2%
12%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27.51knot
18.58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30도/초
12.27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350mm L/45 SK C/14
4×2
20초
11.87km
6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794
9%
-
철갑탄
1,553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45 SK L/45
14×1
8.20초
6.08km
8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45
3%
-
철갑탄
518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88mm L/45 Flak
8×1
4.50초
4.73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173
1%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83
3km
소구경 대공포
46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9.12km
13.50km
동형함 프린츠 아이텔 프리드리히가 매우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만큼, 이쪽도 그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괜찮다.
우선 주포는 6티어에서 평균 수준으로 평가받는 14인치 8문을 탑재하는 탓에 화력과 사거리가 아쉬운 편이지만, 주포 회전 속도가 6도로 크게 상향되었을 뿐더러 그 이상의 강력한 유틸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구축의 어뢰 난사가 주요 게임 체인저 중 하나인 6티어에서 소나의 존재는 생각보다 크고, 무엇보다도 계륵 수준이었던 부포 화력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제대로 근접을 붙기만 한다면 상대 전함의 체력이 훅훅 갈려나가는 게 보일 정도. 그리고 21노트 굼벵이 전함들이 넘쳐나는 6티어에서 높은 기동성 또한 큰 도움이 된다.
"고속 전함"이란 구상을 실제로 적용한 선구자로 자리한 Ersatz Yorck급 순양전함이다. Mackensen급 군함의 개량형으로 Bayern급 전함과 동일한 주포를 장착하였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40,825
12.50%
12.5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5%
13.50%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27.51knot
19.48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10도/초
12.82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380mm L/45 Drh LC/1913
4×2
22초
12.32km
6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920
9%
-
철갑탄
1,656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45 SK L/45
12×1
8.20초
6.75km
8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80
3%
-
철갑탄
575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105 mm L/65
6×2
4초
5.40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230
1%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75초
3,335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8.70km
50.02knot
11%
16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179
3.30km
소구경 대공포
41
1.5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9.36km
14.04km
그래도 주포 위주였던 저티어와 본격적으로 부포 위주가 되는 고티어의 분기점과도 같은 함선이다.
우선 주포의 경우 동티어 최하위권으로 확실히 내려왔다. 관통력은 구경도 더 낮고 16문을 쓰는 리옹과 비슷한 수준이고, 장전 시간은 SAP탄을 쓰면서 트리 내 최악의 기뢰라고 평가받는 카라치올로를 빼면 가장 느린 수준이니 말 다했다. 대신, 부포가 그야말로 환골탈태한 수준으로, 부포 과부하 사용 시 수동부포는 8km 중반대, 자동부포는 6km 후반대에 달하는 사거리에 더해 어뢰까지 있으니 웬만한 전함은 확실하게 근접전으로 갈아버릴 수 있다.
피탐지는 아직까지 부포 사거리에 비해 많이 넓은 편인지라 특유의 피탐 플레이를 완벽하게 살리기는 힘들다. 이큅에 군수물자까지 풀세팅을 해도 8km 초반대인지라 고티어만큼 완벽한 피탐 플레이를 가져가기는 힘들다. 대공은 확실히 이전 티어보다는 강해졌지만, 플레이 스타일상 항모에게 탐지당하는 순간 끝장이니 매칭에 항모가 걸리지 않기를, 걸렸다면 제발 이쪽을 무시하기만을 기도하자.
406mm 함포 6문을 탑재한 고속 전함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에 설계된 순양전함 기획과 동일한 구조 및 함포 배치를 갖추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46,728
12.50%
12.5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5%
15%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29.45knot
19.90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30도/초
13.36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406mm/52 SK L/52
3×2
17.50초
13.21km
6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1,050
9%
-
철갑탄
1,853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 L/55 SK C/28
4×2 4×1
8.20초
6.90km
10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89
3%
-
철갑탄
590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105 mm L/65
8×2
4초
5.52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236
1%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2×4
75초
4,13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9.60km
50.02knot
11%
16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245
3.30km
소구경 대공포
170
1.8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9.60km
14.88km
이전 티어 하인리히까지는 그래도 상황이 정 안되면 포격전을 한다는 선택지가 있었지만, 치텐부터는 본격적으로 적 전함과 근접전에 몰빵하게 된다.
우선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기동성의 향상. 이전 티어 하인리히는 27노트라는 애매한 속력으로 인해 적 전함에게 달려드는 시간이 꽤나 걸렸지만, 치텐은 거의 30노트에 달하는 속력으로 인해 각만 잘 잡으면 순식간에 적 전함과 근접전을 할 수 있다. 순양함과의 추격이나 대구축에서도 도움이 되는 부분. 또한 여전히 티어 대비 물장갑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장갑이 상당히 쓸만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무지성으로 측면을 때릴 경우 데미지가 들어가는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
화력은 주포와 부포 모두 크게 바뀌었는데, 우선 주포는 포문 수는 줄었으나 장전 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투사량은 그닥 줄지 않았고, 그래도 명색이 16인치라고 관통력은 꽤 잘 나와준다. 근접전에서 상당히 단단한 전함들의 시타델도 털어버릴 정도. 부포는 일부가 연장포로 변경되었는데, 여전히 포각은 좋지 않지만 꾸준한 상향 덕분에 피탐 플레이가 훨씬 수월해진다. 피탐지율을 감소시켜주 위장과 함께라면 더더욱.
406mm 주함포 8문을 장착한 고속 전함으로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중 개발된 순양전함의 개량형이라 할 수 있다.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50,150
15%
12.5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5%
16.50%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0.84knot
20.83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40도/초
13.64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406mm/52 SK L/52
4×2
21초
13.34km
6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1,050
9%
-
철갑탄
1,853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 L/55 SK C/28
6×2
8.20초
7.59km
10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89
3%
-
철갑탄
590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105 mm L/65
8×2
4초
6.21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236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4×4
90초
4,13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9.60km
50.02knot
11%
16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307
3.30km
소구경 대공포
170
1.8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9.72km
15.06km
치텐에서 묘하게 불편했던 부분들(무장의 발사각, 떨어지는 한방, 2% 아쉬운 기동력)이 전부 보강되면서, 사실상 트리의 완성형으로 자리잡았다. 우선 기동력은 드디어 기본 30노트를 넘겼으며, 주포는 다시 8문으로 되돌아왔고, 무엇보다도 자동부포의 화재율이 1.5%로 늘어나고 사거리가 6km을 넘긴데다 어뢰가 현당 8문을 발사하게 되어 초근접 화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것이 고무적이다. 거기에 수동부포 사거리도 대폭 늘어나 피탐 플레이가 더욱 편안해 진 것도 주목할 부분.
또한 9티어 랭크전이 격월 주기로 한달 내내 열리면서 재평가를 받고 있다. 항모의 매칭 비중이 낮고 전함의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피탐을 이용해 근접전을 강제하고 그 근접전에서 확실하게 1킬 이상을 따내줄 수 있는 루프레히트의 가치는 높은 편.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순양전함의 다양한 특징을 계승한 고속 전함으로 420mm 주포를 장착하였다.
전설 장비
개량 피해 복구 시스템: 화재 및 침수 저항: +20%, 화재 및 침수 시간: -25%
선체
생존
내구도
집중 방호 구역 보호
화재 및 침수 저항
55,660
15%
12.50%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장갑 효율
어뢰 방호 장갑
15%
18%
}}}
기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고 속력
최고속력 도달시간
32.79knot
21.81초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최대 선회 속도
조타 시간
5.20도/초
13.36초
}}}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420mm/50 SK L/50
4×2
20초
13.86km
6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1,113
9%
-
철갑탄
2,081
-
250%
부함포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포탑 회전 속도
150mm L/55 SK C/28
8×2
7.10초
7.76km
10도/초
탄종
공격력
화재 유발 확률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고폭탄
399
3%
-
철갑탄
605
-
150%
부함포(자동)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사거리
105 mm L/65
12×2
4초
6.70km
탄종
공격력
화재 확률
고폭탄
242
1.50%
어뢰
명칭
탑재 수
재장전 시간
어뢰 공격력
533 mm Vierling
4×4
90초
4,235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속력
침수 유발 확률
어뢰 발사관 회전 속도
10.50km
50.02knot
11%
16도/초
}}}
대공포
DPS
사거리
대구경 대공포
378
3.30km
소구경 대공포
247
2.40km
<colbgcolor=#808080><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기본 피탐지 범위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10.26km
15.60km
함장의 실력에 따라 아무것도 못 하고 항구로 사출되는 트롤 전함이 될 수도, 게임을 다 때려부수고 6자리 딜량으로 순경과 훈장을 쓸어담는 슈퍼 하드캐리 롤을 맡을 수도 있는 전함.
주포가 다른 전함 트리인 그로셔 쿠어퓌르스트(이하 대선제후)보다 사거리도 짧고 구경도 작은데다, 장갑 효율도 최악의 수준이라 장거리 포격전에 있어선 매우 불리하다. 부포만 쏘아도 피탐지에 걸리는 블리츠 특성상 한 번 어그로가 끌리고 일점사를 당한다면 버틸 수가 없어 항구 사출이 확정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주포는 부포 사거리 진입 이전까지 봉인해야 한다.
하지만 상술한 단점들을 모조리 씹어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바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근접전 화력. 기존 부포전함 최강자인 대선제후의 부포를 따위로 만드는 부포 화력을 보여주는데, 자동 부포 사거리 내에서 적이 탐지된다면 마치 센트리 건이 작동된 것처럼 부포가 발사된다.
그리고 양현에 4연장 어뢰발사관도 2기가 탑재되어, 미친 듯이 뿜어대는 부포로 적함에 불을 지르고 어뢰까지 먹여 침수를 터뜨린다면 그 단단한 대선제후도 항구로 사출시킬 정도이다. 어뢰 자체만 놓고 보면 독일 구축함에 탑재된 그것과 비슷하나, 독일 구축함의 주포 화력은 슐리펜의 부포 화력과 비교도 안 되는 수준이다.
게다가 여기에 날개라도 달아주듯, 스킬도 부포 과부하 3을 달고 있다. 자동 부포의 사거리를 수동 부포와 맞먹는 수준으로, 수동 부포의 사거리를 경순양함 주포와 맞먹는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장전속도도 대폭 감소시켜 사거리만 닿는다면 주포와 부포를 섞어 쏴 적을 미치고 팔짝 뛰게 만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아군의 요격 실패나 본인의 포지셔닝 미스 등의 이유로 구축함이 근접하게 되면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는 대부분의 전함들과 달리 구축함의 근접 뇌격에는 거의 완전한 면역을 자랑한다.
피탐지도 피탐셋을 하면 과부하가 안 들어간 수동부포 수준으로 줄어들어, 적들이 라인전에 정신팔려 있을 때 우회 기습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적들의 피탐지 범위 내에서 은신하고 있다가 부포 사거리에 들어오는 적들에게 고화력 부포를 먹여 적을 밀어내며 진격하면 십중팔구 라인 붕괴가 일어나 승리를 가져오기 쉽다.
그러나 정찰이 매우 쉬운 함종인 항공모함이 있다면 상황이 180도 달라진다. 은신 후 기습이 주력인 전함인데, 조기에 항공기에 발각당한다면 자연스럽게 시선이 자신에게로 쏠리게 되어 있고, 긴 팔을 가진 10티어 전함들에게 두들겨맞으며 이를 악물고 근접하려다 보면 최악의 장갑 효율로 인해 순식간에 깎여나가는 내구도를 볼 수가 있을 것이다.
[1] 기동력이 낮다고 표기되어 있지만, 속력은 꽤 준수한 편이다. 아무래도 가감속과 선회력이 타 군함 대비 낮아서 이렇게 표기해둔 것으로 추정.[2] 10티어 기준 약 19초 정도.[3] PC버전 그로서 쿠어퓌르스트의 스톡버전인 16인치 3연장포 12문을 장착한 버전은 6월 중 pc에서의 18인치 장착함선인 프로이센이라는 이름을 받고 프리미엄 함선으로 출시될 예정이다.[4] 1위는 피탐지수치 133의 크렘린과 버몬트.[5] 4.4 패치를 통해 새로 추가된 스킬로, 부포의 사거리와 장전속도를 올려준다.[6] 군수물자에 고급 석탄을, 3번 장비에 피탐지 강화 장치를 넣는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