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테크트리 |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일본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 영국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 독일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 소련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
| 프랑스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 프리미엄 | |
| 이탈리아 | 구축함 | 순양함 | 전함 | | 프리미엄 | |
| 네덜란드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스페인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범아시아 | 구축함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유럽 | 구축함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범아메리카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영연방 | | 순양함 | | | 프리미엄 | |
| 이벤트 군함 | 기간 한정 군함 | |||||
| 초군함 | ||||||
1. 개요
동급의 같은 함종 다른 군함과 비교한 차이점입니다.
주포
* 높은 일제사격 피해량
* 긴 사거리
* 높은 명중률
내구력
* 대어뢰 방호력 높음
대공포
* 낮은 대공포 효율
기동력
* 기동력 낮음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의 일본 전함트리.주포
* 높은 일제사격 피해량
* 긴 사거리
* 높은 명중률
내구력
* 대어뢰 방호력 높음
대공포
* 낮은 대공포 효율
기동력
* 기동력 낮음
특이하게도 티어마다 운용 스타일이 다르다. 4티어까지의 고만고만한 저티어 전함, 5티어 콘고는 발빠른 순양전함, 6티어 후소와 7티어 나가토는 다시 느려지지만 강력한 펀치력과 균형잡힌 성능을 가진 중저속 전함, 8티어 아마기는 다시 콘고 스타일의 순양전함, 9티어 이즈모는 괴악한 3번포탑 역행 배치를 가진 전방집중형 돌격 전함이다가, 10티어 야마토에 이르러서는 두터운 장갑과 파괴적인 구경, 우수한 집탄을 자랑하지만 느린 주포회전, 별로인 기동성과 부포 등의 이유로 장거리 저격전함이 되게 된다.
전체적으로 주포 스펙이 상당히 좋다. 구경이 크며 포문 수도 티어 대비 평균 이상. 일본답게 8티어까지 2연장 주포를 사용하지만 대체로 집탄이 우수하고 정밀 조준까지 있어 명중률은 상당하다. 대신 주포탑 회전은 느린 편으로, 화력이 우수하지만 근접 대응력이 낮으므로 우월한 집탄을 활용한 중장거리 저격전을 벌이자.
기동성은 안 좋은 편이다. 최고속도는 평균적이지만 가감속과 선회가 느려 빠른 대응은 불가하다. 장거리 사격을 주로 하기에 적절한 포지션에 자리잡는 정도로는 충분하다.
내구도는 9티어까지는 별로이다. 장갑이 생각보다 얇아서 같은 전함에게 취약하며 시타델 방호력은 개판이라 잘못 맞으면 훅 간다. 특히나 8~10티어 사기배들에게 시달릴 아마기와 이즈모에서 크게 체감되는 부분.
하지만 10티어 야마토가 되면 내구도가 크게 향상된다. 두꺼운 장갑, 높은 체력을 지녀 전함전에서는 상당히 강하다. 반면 장갑과 높은 체력을 무시하고 데미지를 주는 화재와 침수에 대한 저항이 타 전함에 비해 낮아 불이 더욱 잘 붙는다. 대응 사격이라도 할 만한 영국 전함이나 각종 경순양함들과 달리 방화광으로 악명높은 프리슬란트 등의 고화력 구축함에게 물리면 답도 없다.
7티어까지의 일본 전함은 시작 후 빠르게 점령지로 달려나가 순양함을 도와야 한다. 보통 전함은 둔중해 초반 캡싸움은 구축함과 순양함끼리의 쟁탈전인데 초반부터 전함이 빠르게 달려나오면 상대 순양함이 매우 큰 부담을 느낀다. 특히 7티어까지는 타국 전함이 전속이 느린 편이라 더더욱. 16문의 우월한 포문을 자랑하고 기동성이 일본 전함보다도 우수한 리옹만 조심하면 초반에 승기를 잡고 시작할 수 있다.
반면 8~10티어 일본 전함은 초반에 너무 나가지 말고 적당히 뒤에서 주포를 쏴주는 것이 낫다. 이쯤 되면 타국 전함들도 고속 전함으로 바뀌고 프랑스 전함이 높은 DPM을 보여주기 때문에 빠르게 앞으로 가면 똑같이 달려나온 상대 전함을 상대해야 한다. 미국 전함처럼 튼튼한 것도 아니고 프랑스 전함처럼 딜량을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또한 구축함 유저들의 숙련도가 높아지고 순양함의 생존성, 화재율이 증가해 초반에 살아남기가 쉽지 않다.
2. 함선
2.1. 카와치 - 3티어
| | 군함명 | Kawachi | |
| 함급 | Kawachi급 | ||
| 건조 | 1912 | ||
| 배수량 | 21,823톤 | ||
| 전장 | 160.3m | ||
| 전폭 | 25.6m | ||
| 출력 | 25,000마력 | ||
| 군함 스킬 | 군함 특기 | ||
| Kawachi는 일본 해군의 첫 드레드노트급 군함이다. 305mm 주포는 재장전 속도가 느렸지만, 최신 152mm 부포로 이를 보완하였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26,269 | 10% | 1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2% | 12%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18.89knot | 21.55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90도/초 | 12.3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305 mm L/50 MK 11 305 mm L/45 MK 10 | 2×2 4×2 | 19.50초 | 10.35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850 | 9% | - | |
| 철갑탄 | 1,079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2 mm L/45 1910 | 10×1 | 9초 | 5.16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392 | 3%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28 | 3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0.08km | 13.68km | ||||||||||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일본 전함, 카와치다.
주포는 상당한 편. 사거리가 10km 대에다 2연장 주포탑 6개를 장착하고 있다. 배치상 최대 4개까지밖에 쓰지 못하지만 대기중인 포탑으로 반대편의 적을 대처 가능해 장점도 있다.
아직 3티어인 만큼 다른 전함들과 비슷비슷하다. 다만 좀 느리고 어뢰에 약하다는 것이 함정.
2.2. 이시즈치 - 4티어
| | 군함명 | Ishizuchi | |
| 함급 | Ishizuchi급 | ||
| 건조 | 1913 | ||
| 배수량 | 27,500톤 | ||
| 전장 | 214.6m | ||
| 전폭 | 28.04m | ||
| 출력 | 45,000마력 | ||
| 군함 스킬 | 군함 특기 | ||
| Kongō의 초기 시제 군함으로 Ishizuchi는 HMS Invincible의 뒤를 잇고 있다. 305mm 양용포로 무장하였으며 화력과 방어가 조화를 이룬 성능을 자랑한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29,904 | 10% | 1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0.50% | 10.50%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4.31knot | 21.57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80도/초 | 12.9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305 mm L/50 1908 | 5×2 | 20초 | 11.13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874 | 11% | - | |
| 철갑탄 | 1,120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2 mm L/45 1910 | 16×1 | 9초 | 5.28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03 | 3%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47 | 3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0.14km | 13.74km | ||||||||||
공고급 순양전함의 초기 디자인 중 하나이다.
PC버전에서는 묘기지만, 블리츠에선 어쩐지 PC에서 골쉽인 이시즈치가 정규 트리에 와있다. 묘기의 절망적인 성능을 생각해본다면 이는 매우 다행이다. 단 PC판과는 다르게 속도가 약 24.3노트 정도 밖에 안된다. 주포탑 수가 다음 티어인 공고보다도 많다.
인게임에서에 성능은 미국 전함에겐 동네북 신세. 상대 전함(와이오밍)이 바보가 아닌 이상 선빵을 걸어도 와이오밍에서 비수처럼 날아오는 포탄비 때문에 살아남기 힘들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순양함은 충분히 이기니 걱정말자.
2.3. 공고 - 5티어
| | 군함명 | Kongō | |
| 함급 | Kongō급 | ||
| 건조 | 1913 | ||
| 배수량 | 27,500톤 | ||
| 전장 | 214.6m | ||
| 전폭 | 28.04m | ||
| 출력 | 64,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영국에서 구매한 Kongō는 고속 전함으로 2연장 포탑에 신형 356mm 주포 8문을 장착했다. 기동력과 화력이 뛰어난 Kongō는 일본 해군에서 30년 동안 활약했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36,624 | 1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2% | 12%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9.31knot | 20.43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5.60도/초 | 13.8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356 mm L/45 41 | 4×2 | 21초 | 12.21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986 | 12% | - | |
| 철갑탄 | 1,400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2 mm L/50 41 | 14×1 | 9초 | 5.28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26 | 4%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108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60 | 1.5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1.34km | 14.94km | ||||||||||
주포는 14인치 연장포 8문을 탑재하고 있는데 화력도 좋고 집탄도 굉장히 우수하다. 순양함을 최대 사거리에서 찢어놓는 건 물론이고 매칭 내 모든 전함에게 유효타를 먹일 수 있다. 부포는 5티어가 다 그렇듯 포곽식으로 적당히 쓸만한 편.
하지만 순양전함의 한계로 방호력은 미흡하다. 동티어 타국 전함들의 단단함을 생각하면 꽤 아쉬운 점으로, 일전 특유의 답없는 시타델 방호 때문에 체자레 같은 고성능 전함에게 얻어터지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다. 그탓에 후술할 기동성을 이용해 탄을 적극적으로 회피하는 운용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순양전함인 덕에 최고속력이 상당히 빨라서 전함은 물론이고 일부 순양함들도 추노할 수 있다. 게다가 블리츠는 컴쉽보다 제한시간이 짧아 공고의 30노트 쾌속질주가 더욱 특별하다. 타 5티어 전함들은 길을 잘못 들면 나중에 제한 시간 내 전선 합류가 불가능하므로 복잡한 동선으로 움직일 수 없지만, 공고는 높은 기동성을 위시하여 이러한 걱정없이 유연한 기동이 가능하다. 타 5티어 전함들이 모루로서의 역할만 수행할 때 공고는 망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2.4. 후소 - 6티어
| | 군함명 | Fusō | |
| 함급 | Fusō급 | ||
| 건조 | 1915 | ||
| 배수량 | 29,326톤 | ||
| 전장 | 205.1m | ||
| 전폭 | 28.65m | ||
| 출력 | 40,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Fusō는 일본이 독자적으로 건조한 슈퍼 드레드노트급 군함이다. 화력에 중점을 두고 설계하여 2연장 포탑에 356mm 주포 12문을 장착했지만, 상대적으로 항속과 방어력이 열세였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38,640 | 1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2% | 13.50%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3.90knot | 24.69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60도/초 | 14.7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356 mm L/45 41 | 6×2 | 21초 | 12.38km | 4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012 | 12% | - | |
| 철갑탄 | 1,438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2 mm L/50 41 | 14×1 | 9초 | 5.40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37 | 4%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110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107 | 1.5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2.36km | 16.32km | ||||||||||
356mm 2연장 주포가 6개나 달려있다. 그러나 12문 전체를 활용하기 위해 옆면을 드러내서 시타델이 터져도 컴쉽에 비해 큰 피해를 입지 않는 폰쉽의 특성상 굉장한 이득으로 들어온다. 따라서 침몰할정도의 큰 피해는 입지 않으면서 적에겐 12발의 일제사격의 딜을 보여줄 수 있다.
속도도 타국의 전함과 비교했을때 약 4~5노트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 다만 함교가 높아서 잘 발각되고, 노르망디는 조심하자.
2.5. 나가토 - 7티어
| | 군함명 | Nagato | |
| 함급 | Nagato급 | ||
| 건조 | 1920 | ||
| 배수량 | 32,720톤 | ||
| 전장 | 215.8m | ||
| 전폭 | 28.96m | ||
| 출력 | 80,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Nagato는 4기의 2연장 포탑에 410mm 주포가 장착되어 있었으며 Nagato와 자매함 Mutsu는 동급의 다른 군함과 비교해 방어력이 뛰어나 당시 최고의 군함이 될 수 있었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43,585 | 12.5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5% | 18%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4.87knot | 22.28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5.10도/초 | 15.9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10 mm L/45 3-year | 4×2 | 21초 | 13.67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150 | 13% | - | |
| 철갑탄 | 1,817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40 mm L/50 3-year | 18×1 | 7.50초 | 6.08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391 | 4%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110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259 | 1.5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1.76km | 15.72km | ||||||||||
애매한 속도와 장갑은 약점으로 화력도 티어 대비 압도적이진 않아 후소까지 보이던 타 국가 전함에 대한 우위가 사라지는 시점. 게다가 항모가 워낙 깽판을 치는 7티어다 보니 사이판이나 카가에게 두들겨맞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다. 전함전에서도 생각을 많이 하면서 플레이해야 웨스트버지니아, 폴타바 같은 악랄한 골전함들에게 안 당한다.
여담으로 전티어 후소의 충격적인 함교로 인한 균형이 안잡힌 디자인과는 다르게 나가토는 매우 훌륭한 디자인으로 7티어로 넘어왔을때 항구에서 쳐다보게 되는 일이 더 많다.
3. 1차 트리 (전함 트리)
3.1. 아마기 - 8티어
| | 군함명 | Amagi | |
| 함급 | Amagi급 | ||
| 건조 | 1924 | ||
| 배수량 | 40,000톤 | ||
| 전장 | 251.8m | ||
| 전폭 | 30.8m | ||
| 출력 | 131,2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매우 강력한 함포로 무장한 순양전함이다. 동시대 다른 전함보다 장갑은 취약하였지만, 속력은 훨씬 빨랐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47,318 | 12.5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3.50% | 18%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8.06knot | 25.15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80도/초 | 16.8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10 mm L/45 3-year | 5×2 | 21초 | 13.86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109 | 13% | - | |
| 철갑탄 | 1,959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40 mm L/50 3-year | 16×1 | 7.50초 | 6.21km | 1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01 | 4% | -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227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301 | 1.8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2.36km | 16.56km | ||||||||||
일본 해군의 고속 순양전함 아마기다.
주포는 410mm 2연장포 5문으로 상당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다. 집탄은 괜찮으며, 정밀 조준 스킬도 있어 저격하기 좋다. 다만 2연장인 만큼 포각이 좋지 않다. 다만 포탑 버그 패치 이후로 포각은 그럭저럭 괜찮아졌다.
내구력은 낮다. 순양전함인 만큼 좋다고 하기엔 애매한 감이 있다. 동티어 프랑스 전함 가스코뉴에게 시타가 몇개씩 터져나갈 정도이니 근접전은 하지 말자. 다행히 어뢰 방호력은 괜찮아 어뢰는 한두발 맞아 줄 만 하다.
기동성은 애매하다. 전속 약 28노트에 가감속과 선회가 별로다. 그래도 전함 치고는 괜찮은 편이며, 장갑이 얇은 만큼 최대한 회피기동을 해주도록 하자.
대공은 일본 치고는 높다. 비행기 한두대는 떨굴 수 있다. 동티어 미국 전함 노스 캐롤라이나와 비교하긴 좀 그렇지만 보통 전함의 대공은 함재기를 지속적으로 소모시킬 정도만 되도 충분하다.
약점인 얇은 장갑과 빠른 속력, 그리고 은근히 괜찮은 선회를 볼 때, 끊임없이 진행방향을 구불구불하게 꼬는 피탄 거부 방식의 플레이가 권장된다. 집탄율이 전티어 나가토보다 월등히 좋아진지라 선체를 비틀어대도 탄이 빗나가거나 하지는 않는다.
총평하자면 강한 화력을 지녔으며 애매한 기동성으로 낮은 내구력을 커버해야 하는 전함이다. 비슷한 컨셉의 가스코뉴와 비교하면 높은 한방 화력과 좋은 집탄으로 중원거리 저격전에 특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1]
3.2. 이즈모 - 9티어
| | 군함명 | Izumo | |
| 함급 | Izumo급 | ||
| 건조 | 1938 | ||
| 배수량 | 50,000톤 | ||
| 전장 | 270m | ||
| 전폭 | 32m | ||
| 출력 | 153,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초전함 설계 초안 중 하나로 Yamato급 전함과 같은 외형으로 설계되었다. 두꺼운 장갑과 빠른 속력을 자랑했으며 선수에 장착된 포탑 3개에 강력한 주함포가 독특하게 배치되어 있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52,684 | 15%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5% | 21%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7.51knot | 26.55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60도/초 | 18.6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10 mm L/50 10-year | 3×3 | 21초 | 14.39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156 | 14% | - | |
| 철갑탄 | 2,053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5 mm L/50 3-year | 3×3 | 9초 | 6.90km | 7.5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543 | 5%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
| 127 mm L/40 | 8×2 | 9초 | 3.80km | |||
| 탄종 | 공격력 | 화재 확률 | ||||
| 고폭탄 | 295 | 1%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227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330 | 1.8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2.42km | 16.62km | ||||||||||
선체 앞에 주포가 몰린, 기기괴괴하게 생긴 전함이다.
주포는 전방 410mm 3연장 3개 총 9문으로, 앞쪽에 모두 배치되어 있어 3번 포탑이 정면을 보지 못한다. 7티어 프리미엄 영국 전함 넬슨을 생각하면 된다. 전티어 아마기에 비하면 주포 구경은 그대로지만 포문은 1문 줄었다. 대신 3연장으로 바뀌기는 했는데 일본 전함이 원래 집탄이 좋았던 걸 생각해보면 큰 장점은 아니다. 게다가 앞쪽에 주포가 몰린 특성상 포각이 매우 나쁘다. 안그래도 선체가 약한데 주포를 온전히 활용하려면 측면까지 드러내야 한다.
내구도는 미묘하다. 전티어 아마기에 비해 나아지긴 했는데 시타델 위치가 이상해 시타델이 잘 터진다.
라이벌격인 9티어 정규미전 아이오와에게는 전체적인 성능을 따졌을 때 우세를 점하지 못한다.
총평하자면 화력은 강하지만 일본 전함의 단점을 극대화시키는 주포 배치와 심심하면 터지는 시타델이 모든 장점을 말아먹은 비운의 전함이다.[3]
3.3. 야마토 - 10티어
| | 군함명 | Yamato | |
| 함급 | Yamato급 | ||
| 건조 | 1941 | ||
| 배수량 | 64,000톤 | ||
| 전장 | 263m | ||
| 전폭 | 38.9m | ||
| 출력 | 153,553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일본 해군의 마지막 전함인 Yamato와 자매함인 Musashi는 배수량이 64,000톤이며 460mm 주포 9문을 장착했다. 이 두 전함은 일반적으로 동시대 최강으로 간주되었다. | |||
| 전설 장비 | | 조준 시스템(Yamato): 주포 포탄 최대 분산도: -10%, 주포 회전 속도: -10%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60,500 | 17.5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6.50% | 27%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26.67knot | 27.24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60도/초 | 19.2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60 mm L/45 94 | 3×3 | 23초 | 15.78km | 4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428 | 15% | - | |
| 철갑탄 | 2,299 | - | 30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55 mm L/50 3-year | 2×3 | 9초 | 7.05km | 7.5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557 | 5%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
| 127 mm L/40 | 12×2 | 9초 | 3.88km | |||
| 탄종 | 공격력 | 화재 확률 | ||||
| 고폭탄 | 303 | 1%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348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397 | 1.8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2.60km | 16.80km | ||||||||||
거함거포주의의 상징이자 한때 최강의 전함이었던 야마토이다.
주포는 460mm 3연장포 3개 총 9문으로 사실상 블리츠 최고의 주포이다. 구경이 정규 트리 전함 중에서는 최대 구경이라 강력한 화력과 관통력을 가졌으며, 명중률 또한 쏜 방향으로 무조건 날아가 작은 구축함마저 맞춰버리는 무시무시한 정확성을 가지고 있다. 이 주포의 유일한 단점은 느린 회전으로, 근접전에서 살짝 곤란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근접전에 유리한 전함이 접근하면 어느 정도 거리를 벌리고 싸워 주는 것이 중요하다.
부포는 2문의 155mm 3연장포와 자동부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유의미한 딜량을 기대하긴 어렵다. 애초에 중원거리 저격전을 벌이는 야마토 특성상 부포를 활용할 일은 적다.
대공은 일본 전함답게 썩 좋지는 않으나, 그래도 독일 전함처럼 전투기 없이는 아무런 비행기도 못 떨어트리지는 않는다.
선체는 최고. 어마어마한 체력과 어뢰 방호, 튼튼한 장갑을 지녀 중거리 이상에서 좋은 효율을 발휘한다. 하지만 이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으니, 바로 너무나도 낮은 화재 내성. 프리슬란트나 스몰렌스크같은 고폭탄 주력의 군함을 만나면 수시로 불이 붙어 고통받는다.
기동성은 그닥 좋지 않다. 전속은 평범하지만 가감속과 선회가 끔찍하다.
총평하자면 파괴적인 주포와 단단한 내구로 대순양/전함에서 우위를 점하는 강자이다. 우수한 집탄을 활용해 중거리 저격전을 벌이면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반대로 접근전을 할 시 느린 포 회전과 끔찍한 기동성이 드러난다. 우수한 DPM을 가진 전함과 고폭탄 주력의 군함만 조심하면 상대 전함을 박살낼 수 있다. 다만 화재/침수 저항이 약하므로 항모 상대로는 몸을 사려야 한다.
4. 2차 트리 (순양전함 트리)
동급의 같은 함종 다른 군함과 비교한 차이점입니다.
주포
* 높은 명중률
* 긴 사거리
* 정밀 조준 스킬 사용 가능
피탐지
* 낮은 피탐지율
내구력
* 대어뢰 방호력 낮음
* 내구도 낮음
* 집중 방호 구역 방호력 낮음
대공포
* 높은 대공포 효율
기동력
* 기동력 높음
* 최고 속도 빠름
주포
* 높은 명중률
* 긴 사거리
* 정밀 조준 스킬 사용 가능
피탐지
* 낮은 피탐지율
내구력
* 대어뢰 방호력 낮음
* 내구도 낮음
* 집중 방호 구역 방호력 낮음
대공포
* 높은 대공포 효율
기동력
* 기동력 높음
* 최고 속도 빠름
전체적으로 보면 8티어 아마기를 기반으로 더 강력한 주포를 주고, 높은 대공 수치를 준 대신 더 낮은 내구도와 정밀 조준을 빼앗은 느낌이다. 순수하게 저격 능력만 보자면 정규중에서는 최고 수준이나, 그 이상으로 내구도가 처참하기에 라인전 시 위치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4.1. 유미하리 - 8티어
| | 군함명 | Yumihari | |
| 함급 | Yumihari급 | ||
| 건조 | 1945 | ||
| 배수량 | 40,200톤 | ||
| 전장 | 254m | ||
| 전폭 | 32.4m | ||
| 출력 | 132,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러일 전쟁이 종식되고 일본은 88함대 계획을 채택하였다. 일본은 88함대에 전함 8척, 고속 장갑순양함 8척을 포함하고자 하였으나 추진 과정에서 장갑순양함이 순양전함으로 교체되거나 군함 수가 줄어드는 등 상당 부분이 변경되었다. 새로운 군함의 건조 작업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다시 시작되었다. 해당 신식 순양전함의 설계안은 Kongō급 군함의 개량형에 해당하였다. 이후 본 기획은 수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Amagi급 군함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45,076 | 10% | 1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3.50% | 12.50%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30.01knot | 21.97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5.40도/초 | 15.6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10 mm L/50 10-year | 4×2 | 19.50초 | 14.19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156 | 11% | - | |
| 철갑탄 | 2,030 | - | 2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40 mm L/50 3-year | 12×1 | 7.50초 | 6.21km | 7.5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01 | 4% | 150%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243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301 | 1.8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2km | 16.80km | ||||||||||
전체적으로 보면 아마기에서 내구성을 더욱 약화시키고 정밀조준과 포문수를 빼앗아간 대신, 대공과 기동력을 강화시키고 주포를 9티어 이즈모의 주포로 강화시켰다.
주포의 경우 포문 수가 줄어들고 정밀 조준이 뺏기긴 했지만, 광학 정찰기가 그럭저럭 쓸만한데다 9티어에서도 명품으로 평가받는 이즈모의 주포를 채용한 관계로 관통력과 탄속, 집탄 모두 우월하다. 부포는 아마기보다도 너프당한데다 플레이스타일 상 쓸 일이 거의 없다.
대공의 경우 대공 수치 자체는 아마기와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대공 경보의 존재로 인해 후방에서 방공망 형성 시 상대 항모를 껄끄럽게 할 정도는 된다.
내구도는 처참하다. 원래부터 빈약했던 아마기의 내구도에서 더 칼질을 해놨으니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다. 상대 라인이 거의 무너진게 아닌 이상 앞으로 나갈 일이 없다.
기동은 준수하다. 8티어의 몇 안되는 30노트 고속전함으로, 작정하고 도망치면 웬만한 순양함도 따라오기는 어렵다.
종합적으로 보자면 정석적인 저격전함. 아마기를 잘 탄 사람이라면 유미하리도 그럭저럭 잘 탈 수 있을 것이다.
4.2. 아다타라 - 9티어
| | 군함명 | Adatara | |
| 함급 | Adatara급 | ||
| 건조 | 1945 | ||
| 배수량 | 44,950톤 | ||
| 전장 | 256.8m | ||
| 전폭 | 35.2m | ||
| 출력 | 150,000마력 | ||
| 군함 스킬 | | 군함 특기 | |
| 1919년 미국이 야심 찬 군함 건조 계획을 공표하자 일본은 해군 강화 계획을 수정하고 전함 4척과 순양전함 4척의 건조를 추가로 발주하였다. 이에 따란 전함과 순양전함 기획 13개가 고안되었으며 그중 Project A 기획은 전함 기획으로 채택되어 Kii급 전함으로 발전하였고, Project K 기획은 순양전함 기획으로서 채택되었다. 건조는 1922년부터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이 체결되며 해당 순양전함은 기공되지 못하였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50,268 | 12.5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2.50% | 12.50%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30.01knot | 22.34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5.20도/초 | 15.9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57 mm L/50 5-year | 4×2 | 20.50초 | 14.65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274 | 11% | - | |
| 철갑탄 | 2,100 | - | 275%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40 mm L/50 3-year | 12×1 | 7.50초 | 6.56km | 7.5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425 | 4% | 1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
| 100 mm L/65 Type 98 | 6×2 | 4초 | 3.45km | |||
| 탄종 | 공격력 | 화재 확률 | ||||
| 고폭탄 | 224 | 1%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283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352 | 2.1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1.52km | 15.42km | ||||||||||
우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9티어에서 쓰는 18인치 8문. 당연하게도 그 위력은 실로 절륜해서 같은 일본 전함인 무사시를 만나는게 아닌 이상은 거의 모든 9티어 전함들의 시타델을 털어버릴 수 있다. 장갑은 아직도 빈약하긴 하지만, 대공이 상당히 좋아졌기에 정석적인 저격전함 플레이를 유지하면 된다.
4.3. 분고 - 10티어
| | 군함명 | Bungo | |
| 함급 | Bungo급 | ||
| 건조 | 1945 | ||
| 배수량 | 56,700톤 | ||
| 전장 | 276.9m | ||
| 전폭 | 37.25m | ||
| 출력 | 215,000마력 | ||
| 군함 스킬 | 파일:WOWSB_High-Precision_Spotter_II.png3 | 군함 특기 | |
| 일본 해군은 개발 계획을 수정한 이후 새로운 전함과 순양전함을 발주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이후 Kii급 전함 개발 기획이 되는 Project A 계획의 확장형, Project L 기획이 고안되었다. 해당 군함은 457mm 주함포 포탑 5개를 장착할 예정이었지만 Kii급 군함보다 배수량이 9,000톤 높아 예상 건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Kii급 군함과 Project L 기획 군함 모두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일정 기간 전함 건조 금지와 총 배수량 제한 등 제재가 적용되면서 건조되지 못하였다. | |||
| | ||||
| 생존 | 내구도 | 집중 방호 구역 보호 | 화재 및 침수 저항 | |
| 57,112 | 12.50% | 12.50%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장갑 효율 | 어뢰 방호 장갑 | ||
| 12.50% | 12.50% | }}} | ||
| 기동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고 속력 | 최고속력 도달시간 | ||
| 30.01knot | 22.54초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최대 선회 속도 | 조타 시간 | ||
| 4.80도/초 | 14.10초 | }}}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457 mm L/50 5-year | 5×2 | 20.50초 | 15.05km | 5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1,307 | 11% | - | |
| 철갑탄 | 2,154 | - | 275%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탑 회전 속도 |
| 140 mm L/50 3-year | 12×1 | 8초 | 7.05km | 7.50도/초 |
| 탄종 | 공격력 | 화재 유발 확률 | 집중 방호 구역 피해율 | |
| 고폭탄 | 508 | 4% | 150% | |
| | ||||||
| 명칭 | 탑재 수 | 재장전 시간 | 사거리 | |||
| 100 mm L/65 Type 98 | 8×2 | 4초 | 3.88km | |||
| 탄종 | 공격력 | 화재 확률 | ||||
| 고폭탄 | 254 | 1% | ||||
| 대공포 | DPS | 사거리 |
| 대구경 대공포 | 399 | 3.60km |
| 소구경 대공포 | 436 | 2.10km |
| <colbgcolor=#BC002D><rowcolor=#ffffff><colcolor=#ffffff> 피탐지 범위 | 기본 피탐지 범위 | 포격 이후 피탐지 범위 | |||||||||
| 10.98km | 14.88km | ||||||||||
본가에서처럼 블리츠에서도 보급형 슬라바의 포지션을 가져간다. 차이점이라면 블리츠에서는 오버매치가 없어 순양함 상대로 관통력을 활용하기보단 라인전에서 적 전함의 시타델을 따는 플레이가 더 효율적이라는 것 정도. 그렇다고 순양함을 못잡는것은 아니니 전면에 나서기보단 우수한 주포로 저격 위주로 플레이하자.
[1] 반면 가스코뉴는 빠른 장전 스킬과 좋은 부포를 활용한 중근거리 난타전이 권장된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3] 그러니까 빨리 넘어가자.[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자동_부포] 해당 군함에는 일정 범위 내의 목표를 자동으로 조준하는 부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