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경(드라마)|
]]
- [ 등장인물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2d2f34><bgcolor=#d0b483><color=#000000><-4>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2d2f34><tablecolor=#ffffff><nopad>
[[원경(드라마)/음악#s-2.1| Part 1그 날]]
[[소향|소향]]
2025. 01. 07.[[원경(드라마)/음악#s-2.2| Part 2안개가 지나면]]
[[유다빈|유다빈]]
2025. 01. 21.[[원경(드라마)/음악#s-2.3| Part 3꿈이여 그대여]]
[[임한별|임한별]]
2025. 01. 28.[[원경(드라마)/음악#s-2.4| Part 4단 한 순간]]
[[적재|적재]]
2025. 02. 04.[[원경(드라마)/음악#s-2.5| Full Track원경 OST]]
Various Artists
2025. 02. 11.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
|
[clearfix]
1. 개요
방영중인 tvN 드라마 《원경》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이다.크레딧 자막 순으로 정렬. |
2. 주요 인물
2.1. 원경
<bgcolor=#000000> 원경 |
배우: 차주영 |
태종의 왕비 |
|
2.2. 이방원
<bgcolor=#000000> 이방원 |
배우: 이현욱 |
조선 3대 국왕 |
|
2.3. 이성계
<bgcolor=#000000> 이성계 |
배우: 이성민[특별출연] |
조선 1대 국왕, 태상왕 |
|
3. 궁궐 사람들
3.1. 채령
<bgcolor=#000000> 채령 |
배우: 이이담 |
후궁 |
|
- 방원이 원경과 다툰 후 일부러 원경의 사람이던 채령을 골라서 합궁하게 되는데, 채령은 합궁을 위한 목욕재개 전 지밀상궁에게 원경에게 먼저 고해야겠다며 거부의 의사를 표하나, 지밀상궁에게서 궁궐의 모든 여인은 왕의 것이라는 말과 함께 제지당한다. 이 모든 일을 알고 있던 원경은 정상궁에게 채령이 천한 출신이라 다른 궁녀들이 업신여길 수 있으니 기강을 잡아달라고 당부하며, 처소로 돌아간 채령에게 그녀가 나인시절 입던 의복과 머리 장신구를 내어 주게 한다. 정상궁의 방문 이후, 채령은 간밤의 일을 통해 자신이 원경을 배신한 것이라 생각하여 원경에게 달려가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빈다.[2] 이에 원경은 그런 채령에게 "너의 잘못이 아니라 너를 취한 자의 잘못이며, 어젯밤에 잠자리가 어찌했을지... 그런 잠자리는 너를 업신여긴 것이니 승은을 내려주셨다 기뻐할 일이 아니라 노여워해야 한다" 고 차갑게 말하며 자리를 떠난다.
- 이후 채령은 본인과 비슷한 입장이라고 생각한 영실을 찾아갔다가 전날 원경에게 뺨을 맞아 부어있는 그녀의 모습을 보게 되고, 영실과 교하댁으로부터 영실의 편에 서길 종용 받게 된다. 그러나 원경을 향한 충심을 버리지 않은 채령은 나인의 차림으로 원경을 다시 찾아가 예전처럼 원경 곁에서 그녀를 보좌하며 함께 지내고 싶다고 간청하지만 더욱 매몰차게 거절당한다. 이에 채령은 원경이 본인을 버렸다며 난동을 벌이지만 제지하던 정상궁에게 승은을 입었으니 이제 중전의 사람이 아닌 전하의 여자라는 일침을 듣고 낙심하며 처소로 돌아오게 된다. 이후 채령은 무언가 결심한 듯이 지밀상궁을 찾아가 자신은 잊혀진 채 뒷방에서 늙어가기 싫으니 기회를 만들어 달라며 원경이 선물한 머리 장신구를 뇌물로 건네준다. 이후 지밀은 영실의 뺨에 멍이 든 이유를 묻는 방원에게 그 이유를 채령이 알고있다며 채령에게 또 한번의 합궁 기회를 만들어준다.
- 채령을 불러들인 방원이 영실의 뺨에 대해 묻자 말할 수 없다 말하면서도 중전께서 마음의 상심이 깊으셨던것은 아닌가 싶다며 넌지시 얘기를 던진다. 이에 태종이 원경의 동생들이 원경과 어떤 모의를 하고 있냐며 묻고, 채령은 이에 대한 답은 하지 않은 채 알고 싶다면 달에 두 번은 자신의 처소를 들러 달라 요청한다. 방원이 너는 중전이 가장 아끼던 아이가 아니였냐고 물으나 이 역시 대답하지 않는다. 이후 방원과 관계를 가지며 지밀상궁에게 들은 그의 성감대를[3] 자극하려하나 거부당한다.
- 중전에게는 중전의 사람이라고 하면서 방원에게는 그녀의 비밀 정보원이 있다는 걸 누설하는 등, 뒤통수를 치고 권력욕에 취해서 자신보다 품계높은 후궁에게 무례하게 굴거나 인사에도 관여하면서 결국 중전에게 궁에서 나가라는 통보를 듣고, 방원에게도 매달리지만 중전의 명에 따르라는 통보를 들으며 믿고있던 방원에게도 버려졌다.
- 이후 아들이 장가갈 나이가 되자 자식의 혼례는 마땅히 어미가 치뤄져야 한다면서 중전이 5년만에 채령을 다시 궁으로 불러 들이고, 채령 역시 그동안 반성을 많이 했는지 김 상궁을 내치는 한편, 진심으로 중전에게 충성을 다 하는 모습을 보인다.
3.2. 영실
<bgcolor=#000000> 영실 |
배우: 이시아 |
후궁 |
|
- 방원이 즉위 후 원경의 반발을 무시하며 그녀를 궁으로 불러들이게 되고, 아들인 이비와 함께 입궁하였다. 하지만 원경이 아직 어리고 학식이 부족한 비에게 강압적인 교육을 시도하다 회초리까지 들게 된다. 아들의 부운 종아리를 본 그녀는 분노하여 원경의 처소에 쳐들어가 이비는 어차피 왕이 될 수 없으니 힘들게 공부를 시키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왜 자신의 아들에게만 가혹하게 대하는지에 대해 따져묻는다. 그녀의 말에 원경은 비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않았기에 다른 왕자들의 공부에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해 그런 것이라고 답하자, 영실은 중전마마는 제가 싫으셨기에 아들 비에게 매질을 한 것이며, 본인이 방원에게 사랑받는 것이 싫어 아이에게 분풀이를 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후 원경이 너는 내게 은혜를 입었으나 나를 밟고서라도 왕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싶었을 테니 나는 나쁜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네가 가책을 덜 느낄 거라고 말하며 그녀를 힐난하자, 영실은 그렇게 잘 아시는 분이 어찌 전하를 외롭게 만들었냐며 주상은 민씨들의 집(원경의 친정)에서 살때 숨이 막혔다 했다며 도발하고, 결국 분노한 원경에게 수차례 따귀를 맞고 내쫓긴다. 영실은 원경에게 맞아 멍이 들고 부은 얼굴을 일부러 가리지 않은 채 방원을 맞이하고, 영문을 묻는 방원에게 애처로운 표정으로 여인들의 일이라고 말을 아끼며 동정심을 유발한다.
3.3. 하륜
<bgcolor=#000000> 하륜 |
배우: 최덕문 |
영의정 |
|
3.4. 이숙번
<bgcolor=#000000> 이숙번 |
배우: 박용우[4] |
안성부원군 |
|
4. 궁궐 상궁
4.1. 정 상궁
<bgcolor=#000000> 정 상궁 |
배우: 소희정 |
제조상궁 |
|
4.2. 서 상궁
<bgcolor=#000000> 서 상궁 |
배우: 정의순 |
중궁전 지밀 |
|
4.3. 김 상궁
<bgcolor=#000000> 김 상궁 |
배우: 김정 |
대전 지밀 |
|
5. 원경의 가족
5.1. 민무구
민무구 |
|
배우: 한승원 |
여강군 |
|
5.2. 민무질
민무질 |
|
배우: 김우담 |
여성군 |
|
5.3. 민제
민제 |
|
배우: 박지일[5][6] |
여흥부원군 |
|
5.4. 송씨
송씨 |
|
배우: 동효희 |
민제의 처 |
|
6. 주변 인물들
6.1. 교하댁
교하댁 |
|
배우: 황영희 |
영실의 친척언니 |
|
6.2. 판수
판수 |
|
배우: 송재룡 |
점쟁이 |
|
7. 기타 인물
- 이방석 (배우: 박시원)
이성계(태조)의 막내아들.
- 원범 (배우: 박기덕)
이성계(태조)의 측근.
- 남정 (배우: 조재룡)
이방과(정종)의 측근.
- 숙직상궁 (배우: 변중희)
- 권홍 (배우: 오륭)
- 황엄 (배우: 박수영)
- 밤골 김씨 (배우: 윤지혜)
- 명선대부 (배우: 최병모)
8. 특별출연
엔딩 크레딧 기준 출연 회차 정리. 상세 작중 행적은 해당 문단 참고. |
<rowcolor=#ffffff> 회차 | 특별출연 |
<colbgcolor=#f5f5f5,#2d2f34> 1 | |
2 | |
3 | |
4 | |
12 | |
단오의 인연 | |
2 |
[특별출연] [2] 원경은 채령이 어린시절, 조실부모하고 구걸과 좀도둑질을 하며 어렵게 살아가던 그녀를 거둬준 은인이었다.[3] 귓불[4] 드라마 대행사와 오아시스에 출연했던 89년생 연극 배우로, 71년생 배우 박용우와는 동명이인이다. 극중 민제 역을 맡은 박지일의 실제 아들이며,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 이후 두 번째 동반출연이다.[5] 같은 여말선초 시대 배경인 드라마 정도전에선 신진사대부 목은 이색을 연기했다.[6] 극중 이숙번 역을 맡은 박용우의 실제 아버지이며,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 이후 두 번째 동반출연이다.[특별출연] [특별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