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3 02:32:09

민무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사
,
,
,
,
,

<colcolor=#FFD400> 민무휼
閔無恤
본관 여흥 민씨
생몰년 생년 미상 ~ 1416년(태종 16년) 1월 13일
가족 아버지: 민제
누나: 원경왕후
형: 민무구, 민무질
동생: 민무회
사돈 심온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인물. 본관은 여흥(驪興). 민제(閔霽)의 아들이자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무회 4형제 중에는 3번째이다.

2. 생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좌정승 민제의 아들이며 태종원경왕후의 동생으로 세종대왕의 외삼촌.

두 형이 죽고난 뒤에 태종의 두 타겟은 남은 두 처남이었는데 한 번은 황주목사 염치용이라는 자가 민무회에게 와서 씩씩거리더니 태종이 판결한 노비 송사 문제로 패소하자 불만을 토했다. 친구인 민무회가 태종의 판결에 대한 친구의 불만을 눈치없이 조카 양녕대군에게 꼬질렀고 양녕대군은 아버지 태종에게 소상히 아뢰었는데 양녕대군의 소를 받은 태종은 분노하여 염치용을 데리고 와서 국문하였다. 태종이 화가 난게 왕이 노비의 청탁을 받아 승소했다는 얘기인데 염치용은 곤장 50대를 맞고 귀양갔고 이에 대해 민무휼의 장인 이직이 염치용을 두둔하는 발언을 하다 태종에 분노를 사 지방으로 안치되었다. 이 일로 태종은 남은 처남들의 의심의 빌미를 주었다.

이 때문에 원경왕후의 힘을 얻어 지돈녕부사까지 승진하는 등 외척으로써 권력의 중심에 다가가지만 왕권 강화를 위해 방해가 되는 권신들을 숙청하던 태종 입장에서는 가장 무서운 자들이 바로 외척들인 민씨 집안. 결국 태종이 양위 파동으로 인해 왕명을 거역했다는 죄목으로 두 형 민무질, 민무구가 사사당하고 이를 항소하다가 동생과 함께 귀양을 당해 그곳에서 교수형으로 죽는다.[1]

이때 세자였으며 원경왕후의 의사에 따라 민씨 집안에서 의탁하여 어린 시절을 보냈던 양녕대군에게 하소연을 했던 것[2]을 두고 양녕대군이 태종에게 고자질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여기에 덧붙여 그들이 유배형에 처해진 지 얼마 안 돼서 태종이 효빈 김씨가 임오년에 경녕군을 낳았을 당시에 원경왕후에게 학대당한 일[3]도 밝히면서 더욱 탄핵을 당해 본인과 동생인 민무회도 형들이 겪은 것처럼 자결하라는 명령을 받아야만 했다.

3. 대중매체에서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김광영이 연기했다.[4] 조선 건국부터 조사의의 난으로 이어지는 전반부까지는 등장하지 않다가 형인 민무구민무질이 조정 중신으로 권세를 부려 와병 중인 민제의 걱정을 살 무렵 "저 아이들 말고 두 아이가 더 있는데"하는 민제의 대사를 운을 띄운 뒤에 동생 민무회와 함께 등장한다. 태종 즉위까지 많은 공을 세우고 한 때 권세를 누리기라도 했던 형들과 달리 형들이 사사당하고 민씨 가문의 위세가 떨어져 능력이 없지 않음에도[5] 운신의 폭이 매우 좁고 하루하루 전전긍긍하며 살아간다. 형들의 죽음을 억울해하지만 어디가서 대놓고는 말 못하니 집에서 자기들끼리 삭히고 가끔 누나인 원경왕후에게 털어놓고는 했는데 외척의 권세를 믿고 전횡한 죄인의 집안이라 하여 원경왕후를 자주 찾아가지도 못해서 원경왕후의 생일같은 특별한 날에나 초대받아 문안했다. 세자인 양녕대군은 실제 역사와는 달리[6] 그들을 안타깝게 여겨 정치에 대한 환멸로 온갖 일탈을 일삼으면서도 이들에게만큼은 따뜻하게 대하지만 정작 태종의 눈에는 이들 역시 눈엣가시였다. 물론 사적인 감정이야 태종도 이들이 안타까웠겠지만 형들과 마찬가지로 군왕의 눈에는 가슴에 한을 품고 세자를 충동질하며 후일을 도모하는 역적 무리였다. 태종은 그들에게 "외숙을 잃고 마음상해 있을 양녕의 마음을 위로해주라" 해놓고도 한편으로는 프락치 최 내관을 통해 이들의 행각을 낱낱이 주시하고 있었다.[7] 양녕대군이 계속해서 비행을 일삼던 어느 날 양녕대군 및 원경왕후와 이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신세 한탄을 하며 "언젠가 좋은 날이 올 것"이라는 말을 하게 되는데 이를 엿들은 최 내관이 태종에게 이를 일러바치면서 일이 터지게 된다.[8] 태종은 양녕대군의 계속되는 비행 또한 결국 이들의 존재가 밟혀서라 여겨 완전히 끝을 내야겠다 마음먹고 이 발언을 빌미삼아 이들을 역모로 몰아 국문하게 된다.[9] 이미 죽음을 각오한 두 형제는 "좋은 날이란 무엇인가? 역모를 꾸민게 아니었는가?"라는 위관 유정현의 질문에 역모 사실은 부인하면서도 "했다고 하시구려. 어차피 결론은 정해진 것 아니었소이까?"라며 반항하다 마침내는 "했소이다"라며 거짓으로 이실직고를 하고 투옥된 뒤 얼마 안 가 사형당하게 된다.[10][11][12] 하지만 이들의 죽음은 오히려 양녕대군을 더욱 폭주하게 하였으며 결국 태종은 끝내 양녕대군을 폐세자시키고 충녕대군을 세자로 세워 양위하게 된다.

[1] 사돈인 심온도 세종이 왕위에 오른 뒤에 숙청된다.[2] 다만 당시의 발언을 보면 해석에 따라 위험해 보일 수도 있는 발언이었다. 물론 양녕대군이 먼저 그들의 형인 민무구, 민무질 형제가 죽은 것은 당연했다는 식으로 말하긴 했지만, 세자에게 '세자는 우리 가문에서 자라지 않으셨습니까?'라는 말을 했으니 말이다. 다만 이 말을 한 것은 민무휼의 동생인 민무회였고, 민무휼은 동생에게서 그 말을 듣자 그 자리를 뜬 양녕대군을 쫓아가서 그 말을 잊어달라 말한 게 전부인지라 약간 억울한 면이 없잖아 있다.[3] 태종 15년 12월 15일 무인 1번째기사[4] 태조 왕건에서는 왕건의 사촌아우이자 후백제에 볼모로 갔다 죽게 되는 왕신을 연기했고, 똑같이 여말선초를 다룬 태종 이방원에서는 양녕대군을 모시는 내관인 송 내관을 연기했다.[5] 형들이 사사된 뒤에도 군부에서 고위직은 아니지만 관직을 역임했는데 태종이 신료와 종친들 모두를 동원한 소집 훈련을 실시했을 때 차질없게 잘 준비해 대신들에게 칭찬을 들었다.[6] 실제 역사에서 양녕대군은 이들을 아주 매몰차게 대했으며 죽을 때도 "그래도 싸다"고 냉소적인 반응으로 일관했다.[7] 이 임무를 위해 최 내관은 자기 손이 닿은 상궁 내관들을 중궁전에 집어넣어 중전 민씨의 행적까지 감시했다.[8] 이들이 내뱉은 "좋은 날"이란 특정한 의미없이 그저 암울한 날이 끝날 것이라는 의미에 불과했지만 "절대로 잊지 않겠다"는 민무구의 유언을 그 때까지 기억하고 있던 태종은 가슴의 한을 품은 자들의 역적 모의로 받아들였다.[9] 이 사실을 안 양녕대군은 최 내관에게 발길질을 하며 "언젠간 죄값을 치를 것"이라며 일갈한다. 원래부터 프락치인 최 내관과 사이가 좋지는 않았지만 이 때만큼 험악하게 대한 적은 없었다.[10] 이 때 국문 과정이 정말 모질고 잔인한데 고문이 적나라하게 묘사되는 <용의 눈물>에서도 거의 최고급으로 고문을 당한다. 주리틀기는 물론이며 인두형, 고문 중의 최악이라는 압슬형까지 안 당하는 고문이 없다. 매형이라는 사람한테 남보다 심지어 정적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당한 것. 이들보다 더 심한 고통을 받은 사람은 후에 심온 집안 사람들 정도인데 심온 가문도 압슬형까지 당하는 묘사는 없다.[11] 고문이 끝나고 유배 조치되어 말을 태워서 도성 밖으로 나가게 되는데 민무회가 "웬일로 전하께서 우리를 살려주셨다"고 한다. 하지만 민무휼은 "너 지금 뒤에 의금부 관리가 들고오는 짐짝 못 봤니? 우리는 글렀어..."라고 답하고 이에 민무회는 충격을 받고 어두운 허공을 응시하는 장면이 백미이다.[12] 이 때 형들과 마찬가지로 내금위장 정만쇠가 사형을 집행하게 되었으며 교수형과 사약 중 하나를 양자택일하게 되는데 형들과는 달리 교수형을 선택하고 도성 뒷산의 나무에 목이 매달려 죽는다. 이 때 정만쇠는 처음으로 눈물을 보였으며 이들의 억울한 죽음을 매우 안타까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