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000,#e0e0e0><colbgcolor=#f5f5f5,#2d2f34><tablewidth=100%><width=22%><tablebgcolor=#fff,#1c1d1f> 패션 용어 ||기본템 · 룩북 · 드레스 코드 · 패스트 패션(SPA) · 부티크 · 하이패션 · 오트쿠튀르 · 프레타포르테 · 럭셔리 · 매스티지 · 컨템포러리 · 미니멀리즘 · 코스프레 · 프릴 · 슈퍼모델 · 옷차림 · 톤온톤 · 톤인톤 · 오버핏 ||
스타일 갸루 · 고스 룩 · 고프코어 · 그런지 패션 · 남친룩 · 놈코어룩 · 독기룩 · 로리타 패션 · 록 패션 · 메탈 룩 · 미니멀룩 · 밀리터리 룩 · 상수룩 · 스쿨룩 · 스트리트 패션 · 시밀러룩 · 아메카지 룩 · 애슬레저 · 올드머니 룩 · 워크웨어 룩 · 캐주얼 · 커플룩 · 펑크 룩 · 페미닌룩 · 포멀룩 · 프레피 룩 · 오피스룩 직업 패션 디자이너 · 스타일리스트 · 패션 모델 · 피팅 모델 행사 패션쇼 · 패션 위크 · 멧 갈라 · 트렁크쇼 패션 잡지 보그 · 하퍼스 바자 · W · 엘르 · 마리끌레르 · 코스모폴리탄 · GQ · 데이즈드 · 에스콰이어 · NYLON · i-D · 인터뷰 · 얼루어 패션 스쿨 센트럴 세인트 마틴 · 에스모드 · 파슨스 디자인 스쿨 · 런던 패션 대학 · 패션 공과대학교 · 앤트워프 왕립예술학교 · 프랑스 패션학교 커뮤니티 스타일쉐어 기타 패션·뷰티 관련 정보 · 패션 외교 · 금수저 모델 · 입을 옷이 없다 · 패션의 완성은 얼굴 · 옷이 날개 · 패션쇼 제작사 · 꽉끈 · 공항 패션 · 머슬핏 · 올블랙 · 청청 패션 · 꾸안꾸 · 미시룩 · 언더붑 · 하의실종 · 단벌신사
| |
언어별 명칭 | |
영어 | Old Money Look |
한국어 | 올드머니 룩 |
1. 개요
자산이 많은 전통적인, 유서깊은 상류층을 뜻하는 '올드머니(Old Money)'와 '룩(Look)'의 합성어다. 과시적이지 않고 절제된 스타일을 통해 품위와 교양을 드러내는 패션을 의미한다.2. 특징
| |
과거 보수적인 서구 상류층 집안에서 많이 입었던 분위기의 세련되고 품위가 느껴지는 스타일로 해외에서는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라고도 불리며 클래식하고 심플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비싼 원단 자체의 고급스러움을 강조된다. 명품 브랜드 제품임에도 브랜드 로고가 강조되지 않고 원단의 질이 실크나 캐시미어처럼 척 보기에도 우수해야 한다. 참고로 올드머니 룩의 모태는 여피다.
로로피아나나 토즈, 델보, 브루넬로 쿠치넬리 등과 같이 제품에 브랜드 로고를 각인시키는 로고 플레이를 거의 하지 않는 명품 브랜드가 대표적인 올드머니 패션에 부합하는 브랜드로 꼽힌다. 디자인도 상대적으로 수수하고 일상복에 가까운 것들이 많다. 에르메스, 루이 비통, 샤넬, 크리스챤 디올, 구찌, 프라다 등 흔히 알려진 명품 브랜드들은 올드머니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는 로고 플레이 위주지만 에르메스 버킨백, 샤넬 빈티지백, 구찌 뱀부백, 펜디 피카부백 등 로고를 강조하지 않은 제품군이 올드머니룩에 부합한다.
3. 역사
올드머니룩은 본래 특정 시대의 상류층 복식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20세기 초반 유럽과 미국의 프레피룩과 여피(Yuppie) 패션 에서 파생된 흐름으로 볼 수 있다.2022년 이후 서구 패션계에서 Quiet Luxury라는 키워드와 함께 다시 주목받았고 2023년부터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MZ세대를 중심으로 트렌드로 재유행하고 있다.
4. 여담
- 올드머니 룩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로고가 드러나는 제품으로 꾸미는'뉴머니룩'이 있다. 올드머니룩이 절제된 스타일과 보이지 않는 부를 강조한다면 뉴머니룩은 자신의 부를 드러내기 위해 브랜드 로고가 큰 제품, 화려한 장식, 과시적 패션을 선호한다. 대표적으로 패리스 힐튼,킴 카다시안 등의 스타일이 뉴머니룩에 가까운 것으로 거론된다.
- 로고리스 스타일의 올드머니 룩은 원래 전통적인 재벌가나 교양 있는 정재계 인사 부인들이 입어서 고급졌지만 최근에는 졸부들이나 심지어 문신충들도 입기 시작하면서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이 때문에 한때는 영국 왕실 룩으로도 알려졌으나 이미지 퇴색의 여파로 왕실 여성들의 복장이 자유화되는 의도치 않는 계기가 되었다. 그 시작은 다이애나 스펜서.